목차
1. 쟁의권 보장의 법적 의의
2. 노조법상의 민사상 면책규정 형식의 문제점
3. 법규위반의 쟁의행위와 민사책임
2. 노조법상의 민사상 면책규정 형식의 문제점
3. 법규위반의 쟁의행위와 민사책임
본문내용
및 쟁의행위’라는 규정형식으로 인해 노조법상 규정을 위반한 쟁의행위는 헌법상 규범가치의 상실여부에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위법쟁의행위로 불리고(일반인들의 경우는 불법파업이라고 하면 모두 다 동일한 정도의 위법성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노조법 규정을 위반한 쟁의행위는 불법쟁의행위로서 마땅히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는 안이한 반대해석을 하고, 이를 근거로 노조법 규정을 위반하게 되면 불법파업으로 취급하여 너무나 쉽게 형사상·민사상 책임을 인정해버리는 실무 및 법원의 태도에 비추어 볼 때, 우리 현행 노조법상의 민사면책규정은 그 규정방식을 달리할 필요가 분명히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헌법상 기본권의 취지를 올바르게 반영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민사면책 규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헌법상 기본권의 취지를 올바르게 반영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민사면책 규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추천자료
노동자 측 입장에서 바라본 직장폐쇄(작업장 폐쇄)의 문제 [A+대박자료]
공무원노동조합의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전임자 급여지급 문제‘입법’규율의 정당성 문제
직장폐쇄의 정당성
노사관계론- 공무원 노조
07년 개정법에 따른 공적 조정제도 전반에 대한 쟁점 검토
조정전치주의에 대한 쟁점 검토
준법투쟁에 대한 검토
[사적조정][한국 사적조정][독일 사적조정][사적조정 활성화 장애요인][사적조정 활성화 방안...
근로3권의 보장에 대한 법적 검토
부당노동행위 유형 중 불이익취급
조합활동의 범위에 대한 법적 검토
[법률문제, 아웃소싱]아웃소싱의 법률문제, 개인정보보호의 법률문제, 인터넷상표보호의 법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