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행동론] 집합행동론 요점정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집합행동론] 집합행동론 요점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집합행동의 정의

Ⅱ. 집합행동론

Ⅲ. 집합행동의 종류와 특성

본문내용

결과
· 산업혁명 - 대량생산, 대량 소비
· 유행의 대중화 (보편화) - 참여 계층의 확대
· 유행의 다원화 - 다품종 소량생산
· 유행상품 시장의 국제화
· 유행 변화의 속도가 빨라졌다
③ 유행산업이 당면한 차별성과 평등성의 Dilemma
· 해소책 : 1) Trickle Down Pattern
소수계층 - 소량생산 (고가성) ↓ 써먹다 밑천 떨어지면
중산층 - 생산량↑, 가격↓ ↓ 하류계층에서 다시
대중 - 대량생산, 저렴한 가격 ↓ 써먹으면서 이윤 추구
2) Royalty : 최근에는 Design에도 상표권이 적용된다
Royalty 상표권
5. 재난 행동 Disaster Behavior
(1) 재난 상황 Disaster Situations (I.L. Janis)
① 위급상황 (Threat Situations)
위험의 임박을 감지할 수 있는 객관적 신호의 지각 또는 경고의 수용
② 위험상황 (Danger Impact Situation)
직접적, 물리적 위험에 실제로 당면하고, 피해 여부가 어느 정도 자신의 방어행동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상황
③ 피해상황 (Danger Victimization Situation)
위험이 지나간 후 자신과 주변의 다른 사람들이 입은 피해를 인지하는 상황
(2) 재난시의 인간행동 (Frify & Marbs)
① 흥분된 반응 (Agitated Reactions)
1) 흥분된 상황에서 행동수준이 높아짐
2) 통제되지 않은 도피 행동 - Panic이 발생하는 상황
· 자신이 피해를 입을 지도 모르는 직접적인 위급상황
· 당장에는 도피행동이 가능하지만 곧 도피가 불가능해질 것으로 인지하는 상황
Panic 공황
② 침체된 행동 (Depressed Reaction)
충격, 혼란, 무력감 등으로 행동수준이 감소
(3) 재난시의 감정적 반응 (I.L. Janis)
① Apprehensive Avoidance (도피적, 방어적 행동)
위험으로부터의 도피 행동에 수반되는 공포의 감정
② Stunned Immobility (충격으로 인한 행동 정지)
갑작스러운 위험상황에서 짧은 시간동안의 반응으로서, 정신적, 신체적 활동의 일시 적 중지
③ Apathy and Depression (무력증, 우울증)
대규모 재난 시, 특히 피해를 크게 입은 사람들 사이에서 볼 수 있는 반응으로서 비 관적이고 체념적인 반응
④ Docile Dependency (의존성)
당국이나 다른 사람에게 피동적으로 의존하는 경향
⑤ Aggresive Irritability (공격적 흥분)
긴급 구호 활동이 지난 후 흔히 나타나는 공격적 행동
(4) 재난 행동의 결정요인 (I.L. Janis)
① 상황적 결정요인 (Situational Determinants)
1) 사전 경고와 대비의 정도
2) 위험으로 인한 피해의 정도
3) 도피의 가능성에 대한 지각 (perception)
4) 구조와 구호의 가능성에대한 지각 (認知)
5) 직접적, 개인적 관여 (involvement)
6) 재난상황의 사회적 맥락 (Social context)
· 가족 등 심리적인 보호집단의 존재유무
· 지도자의 존재 유무
· 공식적인 Communication의 존재 유무
비공식적인 Rumour
② 개인적 결정요인 ( Predispositional Determinants : 행동 성향
Predispositional Determinants)
1) 재난에 대한 개인의 관심과 태도 (평소의 Ideology)
2) 재난 극복의 방법에 대한 과거의 경험, 기대
3) 재난 상황에서의 자신의 역할에 대한 관심
4) 위험에 처한 사람들과의 개인적인 동일시 감성
5) 구조, 구호, 치료 등과 관련된 사회적 지위
6) 위험한 상황에서의 방어행동에 관한 사전훈련
7) Personality 특성
③ 재난시의 비난 행동 (Blame & Hostility) - Bucher
1) 비난의 대상
· 일반적으로 책임있는 당국자
· 인위적인 재난의 경우는 재난의 원인행위를 한 개인이나 집단
· Scapegoating (속죄양) 또는 음모설에 의한 제 삼자
2) 비난이 일어나는 경우
· 재난의 원인이 일반적인 준거로 설명이 되지 않을 때
· 책임있는 기관이 “가능하고 적절한” 대책이 부족했다고 인식될 때
· 책임있는 기관이 도덕적 표준을 지키지 않았다고 인식될 때
· 특정한 계급의 사람들 (대기업, 중역, 고위 공직자)
3) 책임의 소재에 대한 반응
· 책임 소재에 대한 반응은 시간이 갈수록 당국의 위계체계를 거슬러 올라가는 경 향이 있다.
♣ 재난시의 지각 (Perception)에 관한 몇 가지 일반화 - F.P. Kirkpatrick
① 초기에 지배적인 지각이 형성되고 모든 사실을 그 지배적인 지각에 동화
(assimilate)시키는 경향이 있다
② 행동은 상황의 지각에 적합하도록 취해진다
③ 긴장 상황에서는 자신을 진행중인 사건들로부터 분리시켜 익숙한 인지구조에 집착 하는 경향이 있다.
④ 과거의 경험에 의한 믿을만한 지침이 없을 경우의 사람들은 피암시성이 높아진다
⑤ 장기화된 지각의 갈등은 정서적으로 침체된 반응을 일으킨다
⑥ 가장 효과적인 지각의 재구성(Perceptual Reorganiztion)은 스스로의 행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 재난행동의 사례연구 (Fritz & Marks)
- Arkansas의 Tornado -
① 재난중의 반응
② 재난직후의 반응
성인 여자
성인 남자
성인 여자
성인 남자
고도로 흥분된 상태
통제된 행동
32%
28%
46%
45%
고도로 흥분된 상태
비통제적 행동
11%
3%
10%
1%
충격과 무력증
1%
3%
22%
5%
냉정하고 침착한 행동
3%
4%
4%
11%
기타
53%
62%
18%
38%
③ 재난후의 심리적 후유증
· Nervousness, Hypersensitivity - 49%
· Sleeplessness, Poor Sleep - 46%
· Inability to Concentrate - 37%
· Loss of Appetite - 29%
· Headache - 19%
· Nightmare, Anxiety Dreams - 18%
· Confused condition, Dazed - 14%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8.1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2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