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성요건의 해당성
2. 위법성
2. 위법성
본문내용
의 행위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의사의 치료행위와 관련하여 문제되는 것은 '안락사'이다. 이에 관하여는 학설상 환자가 사기에 임밥하고 환자의 육체적 고통이 격심하고 환자 본인의 촉탁 또는 승낙이 있고 의사에 의하여 의료적 방법으로 행하ㅑ여지는 경우네 인정하자는 주장이 지지를 얻고 있다.
c.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
논리적으로는 모든 위법성조각사유는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이다. 따라서 위법성조각사유를 이렇게 포괄적으로 규정하는 경우에는 정당방위를 비롯하여 형법상 열거하고 있는 위법성조각사유는 의미가 없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형법상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는 다른 명문이 규정이 있는 위법성조각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보충적으로 적용하는 규정으로 해석되고 있다.
예컨대 손버릇이 나쁜 이웃집 아이에게 징계를 목적으로 종아리를 때리는 행위와 같이 타인의 자에 대한 징계행위를 예로 들 수 있다. 자기의 자에 대한 징계권은 민법상 친권의 내용으로서 인정되고 있지만 타인의 자에 대한 징계는 이를 허용하는 명문의 고정이 없다. 그러나 이는 우리나라에서 고래로 인정되어 온 관습법상의 징계권으로서 사회상고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로서 위법성이 조각된다.
c.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
논리적으로는 모든 위법성조각사유는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이다. 따라서 위법성조각사유를 이렇게 포괄적으로 규정하는 경우에는 정당방위를 비롯하여 형법상 열거하고 있는 위법성조각사유는 의미가 없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형법상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는 다른 명문이 규정이 있는 위법성조각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보충적으로 적용하는 규정으로 해석되고 있다.
예컨대 손버릇이 나쁜 이웃집 아이에게 징계를 목적으로 종아리를 때리는 행위와 같이 타인의 자에 대한 징계행위를 예로 들 수 있다. 자기의 자에 대한 징계권은 민법상 친권의 내용으로서 인정되고 있지만 타인의 자에 대한 징계는 이를 허용하는 명문의 고정이 없다. 그러나 이는 우리나라에서 고래로 인정되어 온 관습법상의 징계권으로서 사회상고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로서 위법성이 조각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