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요리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탈리아 요리에 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이탈리아 요리

●역사

●지역별 이탈리아 요리

●이탈리아 정찬식

●음료

●명절음식

본문내용

죽을 넣어서 살짝 겉만 튀겨 먹기도 한다.
7. 돌체(Dolce)
“단것”이라는 의미의 돌체는 후식으로 아이스크림이나 과일을 비롯해 과자나 케이크를 포함하기도 한다. 아이스크림의 경우에는 생과일을 얹어 먹기도 한다.
8. 파스티체리아(Pasticceria)
단 과자를 달리 부르는 말로 돌체와 식사의 일부로 구분할 수 있다. 주로 직접 만들거나 사서 먹는데 개인 취향에 따라 요리해 먹는다.
9. 식후주(Digestivo)
원어 Digestivo는 소화를 돕는다는 뜻으로서 식후에 술을 마시면서 소화가 잘 되도록 돕는다는 뜻을 지닌다. 대개 레몬 맛이 강한 술을 주로 먹는다.
●음료
1. 커피
이탈리아식 커피(이탈리아어: caffe, 카페)는 에스프레소라고도 불리며, 세계적으로도 통용된다. 에스프레소를 만드는 커피는 대개 검은빛이 진한 커피콩을 쓴다. 이탈리아 자체적으로는 북쪽일수록 그 빛깔이 연하고 남쪽으로 내려갈수록 커피콩의 색깔이 진해진다. 최근 이탈리아에서 소비하는 커피는 거의가 브라질산이다.
대개 커피는 작은 커피 잔에 내놓으며 카페 마키아토는 위에 우유를 곁들인다. 리스트레토는 이탈리아의 전형적인 커피로서 물이 덜 들어가기 때문에 맛도 강하다. 카푸치노는 위에 우유를 거품지게 해서 모양을 만들기도 한다. 대개 아침에 많이 먹으며 카페라테는 에스프레소의 일부로 여겨지기도 한다. 대개 밀크 커피의 일종으로 생각해서 큰 잔에 마신다.
2. 포도주
이탈리아는 가장 많은 포도주를 생산하는 나라이며, 소비 및 수출 규모에서도 단연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일부 자료에서는 포도주 생산의 2/3가 이탈리아에서 생산되고, 그 제품이 독일이나 프랑스에서 증류된다고 보기도 한다. 이탈리아에서 증류되는 포도주의 자체 생산량은 신대륙 전체를 앞지른다. 하지만 이탈리아에서 생산하는 포도주의 25%만이 실제로 개인 소비자에게 판매되거나 병으로 포장되어 시장에서 팔린다. 20개 지방마다 포도주는 그 특성이 천차만별이며 극과 극을 이룬다.
최근 포도 생산자들은 과거의 낡은 농장 이미지를 청산하고 새로운 이탈리아식 포도주 생산을 목표로 뛰고 있다. 이를 위해 이탈리아 정부는 포도주 산업을 관리 및 통제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DOC(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라는 이 법은 1963년 정부 발의로 공표돼 생산 지역을 표시하기 시작한다. 정기적으로 법안이 개선되고 있으며 1980년에 DOCG(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원산지 명칭 통제 보증)로 바뀌었다. DOCG는 이탈리아에서도 최고의 질을 자랑하는 엄선된 포도주를 말한다. 원산지와 질, 생산 방법, 숙성 기간에 이르기까지 DOC 꼬리표를 보고 확인할 수 있는 제도이다.
하지만 이탈리아의 포도주 등급 체계가 근본적으로 맛 자체를 보증하지 않는다는 것은 다른 국가의 등급과 흡사한 의문점을 갖고 있기는 하다. DOCG의 경우에는 포도주 중에서도 가장 엘리트 집단이라고 하지만 관리상 허점을 드러낸 경우도 있으며, DOC의 경우에는 지자체나 농장이 직접 현대화를 꾀하고 질적 향상에 주력할 수 있게 돕고 있다. 이외에도 VdT(프랑스어: Vin de table)는 특정 규정이 필요치 않은 테이블 포도주의 일종으로서 저렴한 상품은 물론 창조적인 포도주에 도입되는 기준이다. VdT는 유럽식 기준이 이탈리아 포도주 등급 체계에 영향을 끼치게 됨에 따라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명절음식
모든 지역마다 명절이나 휴일에 먹는 음식이 다르다. 시칠리아 주나 해외 이탈리아인은 3월 19일 성 쥬세페의 날을 기념한다. 북아프리카와 남서아시아 원산의 콩인 잠두로 기근에 굶주리던 사람들이 목숨을 구했다는 것과 동시에 성 쥬세페를 기리는 날이다. 중세 기근에 시달리던 시칠리아인의 경험이 우러나온 명절이다. 그밖에도 3월 19일에는 빨간 옷을 입고 시칠리아의 전통 과자인 [제폴라]를 먹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미덕이다.
크리스마스이브에는 정찬을 먹는다. 다만 쇠고기, 돼지고기, 양고기는 먹지 않으며 해산물 정찬이나 개구리, 달팽이를 이용한 음식을 먹는다. 크리스마스에는 첫 번째에 토르텔리니를 먹는다. 크리스마스에 먹는 가장 대표적인 케이크는 판도로와 파네토네이다.
부활절에는 양고기를 사용한 음식을 먹는데 남부와 북부 모두 먹는다. 부활절 주일에 움브리아 주와 토스카나 주에서는 아침에 부활절 케이크와 피자, 포도주, 살라미, 삶은 계란을 먹는다.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2.25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99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