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쟁계책임의 의의
2. 조합원의 징계책임
3. 조합간부의 특별책임
2. 조합원의 징계책임
3. 조합간부의 특별책임
본문내용
와 같다.
단지 조합간부의 지위에 있다는 외형적 사실만으로 일반조합원보다 더 중한 징계처분을 받아서는 안 될 것이다.
다만, 조합임원이 위법한 쟁의행위를 현실적으로 기획·지시·지도함으로써 기업질서침해라는 결과발생에 실질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경우에는 그 현실적인 행태에 대해서 일반조합원보다 더 무거운 제재를 받는 것은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본다.
단지 조합간부의 지위에 있다는 외형적 사실만으로 일반조합원보다 더 중한 징계처분을 받아서는 안 될 것이다.
다만, 조합임원이 위법한 쟁의행위를 현실적으로 기획·지시·지도함으로써 기업질서침해라는 결과발생에 실질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경우에는 그 현실적인 행태에 대해서 일반조합원보다 더 무거운 제재를 받는 것은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본다.
키워드
추천자료
공익사업의 쟁의행위
준법투쟁에 대한 검토
세계 각국의 쟁의행위 형태와 법률적 규제 연구
단체교섭의 대상과 쟁의행위의 정당성
노조법상 쟁의행위의 정당성과 조정제도
노조법상 쟁의행위의 법률적 검토
노조법상 쟁의행위로 인정되지 않은 경우의 주요 판례
노조법상 조정전치주의 위반과 쟁의행위 정당성
노조법상 쟁의행위의 정당성 전반에 대하여
타임오프제 사용과 부당노동행위 및 쟁의행위 정당성
필수공익사업의 쟁의행위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상 쟁의행위 관련 이슈 총정리
집단노동_쟁의행위_부당노동행위강의PPT자료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 조정법, 단체교섭 및 단체협약, 울산 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