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시에 직면한 철학적 신앙 카알 야스퍼스저 신옥희 변선환 공저 요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계시에 직면한 철학적 신앙 카알 야스퍼스저 신옥희 변선환 공저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야스퍼스의 철학적 신앙의 이해와 수용
1. 서언
2. 철학적 신앙의 의미와 이해
3. 철학적 신앙과 그리스도교적 신앙 간의 차이
4. 초월자로서 하느님의 암호와 그리스도교적 신앙
5. 결언

본문내용

세계 내의 그 무엇으로 되어 버린다.16)
그러나 구약성서 속에는 神性의 형상들로 충만된 문장들이 있으며 어떻게 많은 神들이 진노하고 자비롭고 공정하며, 어떻게 神이 가르침을 주고 입법을 하곤 하는가 등에 대해 말해지고 있다.17) 이 문장들은 분명히 형상과 우상들로 가득 차 있다는 점에서 독단론적이다. 이러한 표현은 神性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적인 이율배반이다.18)
인간이 형상이나 우상으로 간주해서는 안 되는 초월자로서 하느님을 유한한 존재자로서 형상과 우상 가운데서 사유하지 않으면 안 되며, 즉 암호들 가운데 초월자로서 하느님에게 접근하는 것 이외의 다른 도리가 없다는 것은 인간이 극복할 수 없는 이율배반이다.19)
이러한 입장을 한국에 있어서 야스퍼스 철학을 연구하는 대부분의 철학자들이나 또는 진보주의적 자유주의적 가톨릭적인 지식인들에게는 상당히 설득력 있게 수용되고 있다.
인간은 모든 암호를 神性의 化身 또는 神性 자체로 간주해서는 안 되고, 오히려 그것에 의해서 초월자와의 접촉을 획득하기 위해 그것을 어디까지나 암호로서 듣고 보고 읽을 수 있을 뿐이다.
인간은 이러한 암호를 통해서 초월자로서 숨은 하느님을 체험한다. 인간은 이러한 암호들의 포로가 되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오히려 다른 문화의 영역으로부터 유래하는 암호들과 -특히 내재적 초월자의 불가사의를 명백히 알려줄 수 있는- 예술, 문학, 철학 등의 작품에 대해서 마음의 문을 열어야 한다.20) 그러나 인간은 본래적 신앙을 가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것을 넘어서 계속 앞으로 나아가지 않으면 안 된다. 인간은 암호의 세계 전체를 -비록 무진장으로 풍요하고 多聲的이라고 하더라도- 초월하지 않으면 안된다. 왜냐하면 암호들은 인간이 그 암호들 가운데서 추구하거나 또는 감지하거나 또는 경험하는 바의 것과 동일한 것이 결코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인간은 암호들을 넘어서 모든 암호가 중지되고 초월자가 無知의 知, 즉 성취된 침묵 가운데서 접촉되는 그러한 심오한 경지에까지 도달하도록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21)
만일 초월자로서 하느님이 암호해독을 통하지 않고 하느님을 일반화하는 여러 카테고리에 의해서 내용면으로부터 사유되고 또 그것이 직접적으로 인식된다면 이 때 하느님은 구신적인 것이 된다.22)
야스퍼스의 이러한 암호론은 한국에 있어서 그리스도교적 신앙에 내재하고 있는 우상숭배의 지향성을 부각시키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 편으로 이 암호론은 한국에 있어서 상당한 수의 그리스도교적 지식인들로부터 신랄하게 비판받고 있기도 하다.
야스퍼스의 암호 및 초월자에 대한 칼 바르트(Karl Barth)의 다음과 같은 비판은 한국의 그리스도교적 지식인들에게 대체로 효과적으로 수용되고 있기도 하다.
「우리는 너무 자주 神에 대해서 말을 하고 이 암호에 의해서 단순히 그 무엇만을, 즉 내용도 없고 성과도 없는, 근본적으로 몹시 단조로운 이른바 초월자를 생각한다…. 초월자가 인간에 대하여 일정한 의지도 가지지 못하고 또 일정한 힘과 권위도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 바로 이 초월자의 본질이다. 초월자는 현실에 구속될 수도 없고 현실에서 자유로이 지음을 지을 수도 없다.
초월자는 인간을 변호할 수도 없고 인간을 만족시킬 수도 없다. 초월자는 인간에게 자기의 삶의 명석한 의미일 수도 없고 분명한 목표일 수도 없다.」23)
야스퍼스가 말하고 있는 초월자를 암호를 통해서 체험하는 것이 내용적으로 불확정하다 라든가 또는 야스퍼스의 암호의 불가사의성을 지극히 효과적인 해석의 노력에 의해서도 제거될 수 없다라는 비판은 쿠르트 잘라문(Kurt Salamun)의 말과 같이 이해됨직 하다.24)
그러나 야스퍼스 철학적 신앙은 초월자에로 지향할 수 있는 세 가지의 길로서 형식적 초월, 실존적 사귐, 암호문자 해독 등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적어도 한국에 있어서 하느님에의 구신적 직접적 접근이 가지는 그리스도교적 독단 또는 한국적인 기복신앙의 샤머니즘을 깨우쳐 주고 있다.
5. 결언
야스퍼스에 있어서 철학적 신앙은 인간이 직면하는 한계상황을 기피하거나 망각하려고 하지 않고, 그것을 절망적 좌절에 이르기까지 고뇌하는 데서 초월자로부터 증여 받는 실존의 존재확신이다.
일상적 현존재로서의 비본래적 자기로부터 본래적 자기로서의 실존에로 비약함으로써 초월자와 관계하고 그러한 관계에서 실존의 존재 확신을 가지는 것이 야스퍼스에 있어서 철학함(Philosophieren)이라면 철학적 신앙은 바로 철학함을 뜻한다. 철학함으로서의 철학적 신앙은 그렇다고 해서 이성적 사유를 외면하고 존재 자체로서 초월자 또는 하느님을 직접적 구신적으로 만나는 것이 아니다. 철학적 신앙은 일상적 현존재에 대한 시니컬한 음미에서부터 현존재의 유한성을 깨우칠 때까지, 즉 한계상황 앞에서 좌절하여 절망하는 순간까지 이성적 사유로 일관한다는 점에서 이성적 신앙이다.
이성적 사유가 한계상황 앞에서 산산이 부서지면서 동시에 초월자의 多聲的 소리를 듣고 체험하는 가운데 실존의 존재확신을 획득한다. 실존이 듣는 초월자의 말은 다성적이기 때문에 그것은 객관적인 것도 아니고 보편적인 것도 아니고 오직 주관적일 뿐이다. 따라서 철학적 신앙은 다른 사람이 체험하는 실존적 자유 속에서의 초월자와의 관계를 언제나 존중하며 또 다른 사람이 가지는 실존적 체험에 귀를 기울인다.
철학적 신앙은 이 점에서 초월자에 대한 다른 사람의 주관적 체험에 자기의 영혼을 開顯 한다. 이 과정에서 철학적 신앙은 너와 나 간의 실존적 사귐(die existentielle Kommunikation)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철학적 신앙은 그리스도교적 신앙에서와 같은 배타적 진리주장을 가장 멀리하고 또 자기의 신앙이나 진리 주장만이 절대적이다라고 고집하는 것을 독단론으로 간주한다.
요컨대 철학적 신앙은 異論이나 다른 신앙을 통일하고자 하는 철학적 의지이면서 자기의 실존에 나타나는 초월자의 암호를 해독하는 열정이다. 철학적 신앙은 이러한 근거에서 볼 때 구신성과 독단론과 배타적 진리주장의 경향성을 드러내는 그리스도교적 신앙에서 자기 성찰 및 자기정화의 계기를 주기에 충분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3.11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97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