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론윤리학의 성격
2) 응용윤리학의 성격
3) 윤리에 대하여
Ⅰ. 결과주의
1. 결과주의에 대한 소개
2. 결과주의의 유형들
3. 결과주의의 강점
4. 결과주의의 난점들
Ⅱ. 규칙에 의거한 도덕(규칙주의, 의무론)
1 도덕규칙에 대한 설명
2 도덕규칙들의 원천
3 규칙에 의거한 도덕의 강점과 약점
2) 응용윤리학의 성격
3) 윤리에 대하여
Ⅰ. 결과주의
1. 결과주의에 대한 소개
2. 결과주의의 유형들
3. 결과주의의 강점
4. 결과주의의 난점들
Ⅱ. 규칙에 의거한 도덕(규칙주의, 의무론)
1 도덕규칙에 대한 설명
2 도덕규칙들의 원천
3 규칙에 의거한 도덕의 강점과 약점
본문내용
닭에 우리는 그런 규칙들이 어떤 것인지를 알게 된다고 주장한다.
이런 해답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그것이 옹호될 수가 없다는 점이다. 신이 바라는 바에 대해서 여러 종교들이 서로 다른 주장들을 내세우고 있고 그들 각각이 신의 계시에 의해 밑받침된 것으로 계시된다.
② 사회통념적 접근방식은 적합한 도덕규칙은 그 행위가 속하고 있는 사회의 대부분의 성원들이 믿고 있는 규칙이라는 것이다. 무엇이 옳고 그른가를 결정해 주는 것은 바로 도덕에 대한 이와 같은 사회적 합의이다. - 히틀러의 강제수용소
③ 직관주의적 해답은, 적절한 도덕규칙이란 적절하다는 본질적 특성을 갖는 규칙이며 옳은 행위란 옳음이라는 본질적 특성을 갖는 행위라고 주장한다. 우리는 도덕적 직관을 통해서 어떤 행위와 규칙이 이런 본질적 특성을 갖는 것인가를 알게 된다. 觀音.
3 규칙에 의거한 도덕의 강점과 약점
① 결과주의 강점의 대부분은 규칙에 의거한 도덕의 약점이 되고 규칙에 의거한 도덕은 결과주의가 갖는 문제점의 대부분을 보완하는 것이다.
강점 - ② 결과주의는 사람에 대한 특수한 의무나 개인의 권리에 대한 존중, 정의에의 욕구 등 일상적인 도덕의식에 있어서 너무나 많은 중요한 측면을 무시해 버린다. 또한 규칙에 의거한 도덕은 그런 문제들을 다루기 위한 특수한 규칙들을 제시함으로써 일반적인 도덕의식의 그런 측면들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이 바로 규칙에 의거한 도덕이 갖는 명백한 한 가지 강점이다.
약점 - ③ 규칙에 의거한 도덕이 갖는 몇 가지 약점을 살펴보자.
㉠ 도덕 규칙들 간의 상충의 문제
㉡ 도덕 추론의 절차
㉢ 도덕의 목표
이런 해답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그것이 옹호될 수가 없다는 점이다. 신이 바라는 바에 대해서 여러 종교들이 서로 다른 주장들을 내세우고 있고 그들 각각이 신의 계시에 의해 밑받침된 것으로 계시된다.
② 사회통념적 접근방식은 적합한 도덕규칙은 그 행위가 속하고 있는 사회의 대부분의 성원들이 믿고 있는 규칙이라는 것이다. 무엇이 옳고 그른가를 결정해 주는 것은 바로 도덕에 대한 이와 같은 사회적 합의이다. - 히틀러의 강제수용소
③ 직관주의적 해답은, 적절한 도덕규칙이란 적절하다는 본질적 특성을 갖는 규칙이며 옳은 행위란 옳음이라는 본질적 특성을 갖는 행위라고 주장한다. 우리는 도덕적 직관을 통해서 어떤 행위와 규칙이 이런 본질적 특성을 갖는 것인가를 알게 된다. 觀音.
3 규칙에 의거한 도덕의 강점과 약점
① 결과주의 강점의 대부분은 규칙에 의거한 도덕의 약점이 되고 규칙에 의거한 도덕은 결과주의가 갖는 문제점의 대부분을 보완하는 것이다.
강점 - ② 결과주의는 사람에 대한 특수한 의무나 개인의 권리에 대한 존중, 정의에의 욕구 등 일상적인 도덕의식에 있어서 너무나 많은 중요한 측면을 무시해 버린다. 또한 규칙에 의거한 도덕은 그런 문제들을 다루기 위한 특수한 규칙들을 제시함으로써 일반적인 도덕의식의 그런 측면들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이 바로 규칙에 의거한 도덕이 갖는 명백한 한 가지 강점이다.
약점 - ③ 규칙에 의거한 도덕이 갖는 몇 가지 약점을 살펴보자.
㉠ 도덕 규칙들 간의 상충의 문제
㉡ 도덕 추론의 절차
㉢ 도덕의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