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발달이론
- 근접발달영역
- 언어와 사고
3. 도덕교육적 함의
2. 발달이론
- 근접발달영역
- 언어와 사고
3. 도덕교육적 함의
본문내용
된다.
발달적 접근과 사회화 접근이 간과하고 있는 또 하나의 문제는 도덕교육에 있어서 교과교육으로서의 도덕교육을 올바르게 취급하지 못하는 데 있다. 교과교육으로서의 도덕교육은 체계적인 교육내용이 교사에 의해 전달되는 교육을 가리킨다.
도덕 발달적 접근에서 교과는 오로지 도덕 판단 능력의 발달을 위한 자료 이상의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 이 접근에서는 교과의 내용이 소홀히 취급된 채, 도덕 판단 능력의 발달이라는 제한된 일면을 추구하고 있다. 반면, 도덕 사회화 접근에서는 교과는 단순히 습관화 내면화해야할 내용으로서 도덕 판단 능력의 발달과는 무관한 것으로 취급되고 있다.
비고츠키는 발달과 교수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교수, 즉 교사에 의한 교육내용의 전달의 중요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비고츠키는 “교수가 오히려 학생의 발달을 이끈다.”라고 주장하며, 그의 발달이론에서 교사와 학생에 의해 이루어지는 교과 내용을 잘 설명하고 있다. 이를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교과교육으로서의 도덕교육이 추구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학생에게 행동의 도덕적 의미를 이해하도록 하는 데 있다. 행동의 도덕적 의미는 반드시 교과 활동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왜냐면 교과 활동은 일상 생활을 통한 경험 이상으로 귀중한 경험이다. 교과 교육으로서의 도덕 교육은 학생이 공적 전통에 바탕을 둔 지성의 세계에 동참하는 것이며, 삶을 총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도덕적 지식의 내면화 과정에서는 이미 지식을 마음의 한 부분으로 가지고 있는 교사의 역할이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발달적 접근과 사회화 접근이 간과하고 있는 또 하나의 문제는 도덕교육에 있어서 교과교육으로서의 도덕교육을 올바르게 취급하지 못하는 데 있다. 교과교육으로서의 도덕교육은 체계적인 교육내용이 교사에 의해 전달되는 교육을 가리킨다.
도덕 발달적 접근에서 교과는 오로지 도덕 판단 능력의 발달을 위한 자료 이상의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 이 접근에서는 교과의 내용이 소홀히 취급된 채, 도덕 판단 능력의 발달이라는 제한된 일면을 추구하고 있다. 반면, 도덕 사회화 접근에서는 교과는 단순히 습관화 내면화해야할 내용으로서 도덕 판단 능력의 발달과는 무관한 것으로 취급되고 있다.
비고츠키는 발달과 교수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교수, 즉 교사에 의한 교육내용의 전달의 중요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비고츠키는 “교수가 오히려 학생의 발달을 이끈다.”라고 주장하며, 그의 발달이론에서 교사와 학생에 의해 이루어지는 교과 내용을 잘 설명하고 있다. 이를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교과교육으로서의 도덕교육이 추구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학생에게 행동의 도덕적 의미를 이해하도록 하는 데 있다. 행동의 도덕적 의미는 반드시 교과 활동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왜냐면 교과 활동은 일상 생활을 통한 경험 이상으로 귀중한 경험이다. 교과 교육으로서의 도덕 교육은 학생이 공적 전통에 바탕을 둔 지성의 세계에 동참하는 것이며, 삶을 총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도덕적 지식의 내면화 과정에서는 이미 지식을 마음의 한 부분으로 가지고 있는 교사의 역할이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