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무너지는 학교
제2부. 학교붕괴의 원인과 극복
제2부. 학교붕괴의 원인과 극복
본문내용
아서
-현재의 실패를 자신의 개인적 능력 부족이나 잘못이 아니다.
-기존의 고정 관념에서 과감히 탈피
-만병 통치약은 없다는 것을 인정
-교사들이 자신의 행복권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해야 한다.(교사 권리 찾기를 생산적인 방향으로)
★공교육의 강화가 우선이다.
-교사, 학생, 학부모의 학교 자치권이 보장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투자 확대
-초,중등 교육은 공공의 선을 추구 : 학제에 대한 전면적인 검토, 다양한 특성화 고교를 설립, 학교 교육 과정 운영의 자율권과 교과서 제도의 개편 필요
★학교 붕괴를 극복하기 위한 교육 개혁의 방향 전환
①지식 교육과 인성 교육의 결합
②교양 교육과 기술 교육의 조화
③발달주의적 이해와 처방
④인간적이고 친밀한 교실 분위기 조성
⑤자치 문화와 토론 문화의 향상
⑥학교 및 학교 규율의 민주적 제정과 실천
⑦체험 학습과 협동 학습의 고양
⑧참여적 학교 운영 모색
⑨새로운 학습법과 교수법의 마련, 교육 과정의 자율화 및 교과서의 민영화
⑩구성주의와 수행 평가의 성공을 위한 조건 마련
⑪인권 교육의 실시
⑫학생관의 변화를 수용하는 새로운 교사상의 요청
⑬대안 교육의 모색
제3부. 학교 붕괴 현상에 대한 교육 주체의 의식 조사 연구
-현재의 실패를 자신의 개인적 능력 부족이나 잘못이 아니다.
-기존의 고정 관념에서 과감히 탈피
-만병 통치약은 없다는 것을 인정
-교사들이 자신의 행복권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해야 한다.(교사 권리 찾기를 생산적인 방향으로)
★공교육의 강화가 우선이다.
-교사, 학생, 학부모의 학교 자치권이 보장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투자 확대
-초,중등 교육은 공공의 선을 추구 : 학제에 대한 전면적인 검토, 다양한 특성화 고교를 설립, 학교 교육 과정 운영의 자율권과 교과서 제도의 개편 필요
★학교 붕괴를 극복하기 위한 교육 개혁의 방향 전환
①지식 교육과 인성 교육의 결합
②교양 교육과 기술 교육의 조화
③발달주의적 이해와 처방
④인간적이고 친밀한 교실 분위기 조성
⑤자치 문화와 토론 문화의 향상
⑥학교 및 학교 규율의 민주적 제정과 실천
⑦체험 학습과 협동 학습의 고양
⑧참여적 학교 운영 모색
⑨새로운 학습법과 교수법의 마련, 교육 과정의 자율화 및 교과서의 민영화
⑩구성주의와 수행 평가의 성공을 위한 조건 마련
⑪인권 교육의 실시
⑫학생관의 변화를 수용하는 새로운 교사상의 요청
⑬대안 교육의 모색
제3부. 학교 붕괴 현상에 대한 교육 주체의 의식 조사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