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부정하며 이성적으로 부정하려 했던 그의 욕망이 드러나게 된다. 광란의 성축제에 부정하다가 결국 자신도 석이기를 원하는 것은 그이 억압되었던 본능이다. 결국 베니스에 퍼지는 콜레라와 아센바흐의 동성애적인 감성은 모두 비밀로 부쳐진다. 이것은 사회적으로 나쁜 것, 병과 같은 것이라고 여겨지는 동성애에 대한 은유라고 볼 수 있다.
토마스 만은 이 작품을 발표하고 이 작품에 대한 비난에 대해 자신은 감각성과 도덕성의 균형을 추구했다고 밝혔다고 한다. 그가 동성애에 대해 가졌던 간절한 욕망과 반대로 억압하고자 했던 감정들은 동성애에 대해 비도덕적이라고 생각했고 평생 그 사실을 숨기고 살았던 이유였던 것 같다. 토마스 만은 자신의 삶에 동성애에 대한 욕망을 현실화 시키지 않았다. 아센바흐는 타치오를 갈망하지만 결국 제대로 말도 걸어보지 못하고 끝이나는 것처럼 말이다. 이것은 토마스 만에게 문학이 그의 욕구에 대한 배출구로서 선택한 통로이었음을 짐작하게 해준다.
참고 문헌
토마스 만 - 트리스탄
(베니스에서의 죽음)
장성현 - (토마스 만과 동성애) 고통과 영광 사이에서
리브로 www.libro.co.kr 2001.6.3 기사
이윤기 - 그리스 로마 신화 2
토마스 만은 이 작품을 발표하고 이 작품에 대한 비난에 대해 자신은 감각성과 도덕성의 균형을 추구했다고 밝혔다고 한다. 그가 동성애에 대해 가졌던 간절한 욕망과 반대로 억압하고자 했던 감정들은 동성애에 대해 비도덕적이라고 생각했고 평생 그 사실을 숨기고 살았던 이유였던 것 같다. 토마스 만은 자신의 삶에 동성애에 대한 욕망을 현실화 시키지 않았다. 아센바흐는 타치오를 갈망하지만 결국 제대로 말도 걸어보지 못하고 끝이나는 것처럼 말이다. 이것은 토마스 만에게 문학이 그의 욕구에 대한 배출구로서 선택한 통로이었음을 짐작하게 해준다.
참고 문헌
토마스 만 - 트리스탄
(베니스에서의 죽음)
장성현 - (토마스 만과 동성애) 고통과 영광 사이에서
리브로 www.libro.co.kr 2001.6.3 기사
이윤기 - 그리스 로마 신화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