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제양 돌리와 G0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복제양 돌리와 G0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돌리의 탄생 배경

2.돌리의 탄생 원리

3.돌리의 탄생 과정

4.탄생배경중의 특징

5.복제의 응용 범위

6.돌리의 특허 출원 내용

7.돌리의 문제점

8.G0기와 복제

본문내용


돌리의 경우, 핵을 제거한 미수정란에 체세포를 핵이식하여 발생시킨 재구축배(再構築胚)는 227개, 최종적으로 암컷의 자궁에 이식한 것은 29개, 그 중에서 몇 마리가 임신하여 돌리 한 마리가 탄생한 것이다. 한편, 일본의 연구소에서는 500-600개의 재구축배를 자궁에 이식하였지만, 임신한 것 가운데 60%가 유산하였다. 32세포 중 5-10마리가 탄생하는 수정란 클론과 비교하면 출생률이 매우 낮다. 더구나 수정란 클론에서는 임신 기간 285일 중에서 약 100일이 지나면 출산까지 지속시킬 수 있다. 그러나 체세포 클론의 경우에는 150-200일이 지나도 유산을 한다. 더욱이 비록 태어난다 해도 짧은 시일 안에 죽어 버리는 예가 상당히 많다.
유산이나 출생 후 곧바로 죽음에 이르는 원인으로는, 태아가 지나치게 크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지나치게 큰 과대화는 수정란 클론에서도 일어나지만 체세포 클론에서는 더욱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 탄생한 클론 소는 일반적으로 태어난 소의 몸무게의 약 2배인 56Kg이나 되었다. 이 클론 소는 태어난 지 24시간 후에 죽었다. 또 출생 당시 몸무게가 41Kg으로 비정상 과대라 할 수 없는 클론 소도 3일 후에 죽었다. 영국의 윌머트 박사에 따르면 마찬가지 문제를 양에서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신장이나 폐가 충분히 발달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출산 후 호흡 불량으로 죽는 일이 많다.
배양이나 체세포 핵이식 등 생체 밖에서의 조작이 겹침으로써 염색체가 이상을 일으키거나, 유전자 발현에 결함이 생기기 때문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3. 미완의 복제기술
`유전자 복제 동물 1호'인 복제양 돌리가 어미 양과 유전적으로 완전히 똑같지는 않다고 과학자들이 주장했다. 통칭 유전자로 불리는 세포 핵 속의 DNA를 말할 경우 복제양 돌리는 어미 양의 유전형질을 물려받았다. 그러나 세포 DNA중 1%를 차지하는 세포 핵 밖의 미토콘드리아 DNA(mt DNA)는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 과학자들의 주장이다.
미국 뉴욕 컬럼비아대 에릭 숀 박사와 복제양을 만든 영국 로슬린연구소의 이안 윌머트 박사는 복제양 9마리의 mt DNA를 검사한 결과 모체인 어미 양의 유전자 흔적을 전혀 찾을 수 없었다고 밝혔다. 돌리는 어미 양의 체세포와 핵을 제거한 난자를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복제, 96년 7월 탄생했다. 이렇게 체세포와 핵이 없는 난자를 결합시킬 경우 체세포는 난자에 비해 훨씬 적은 mt DNA를 갖고 있기 때문에 유전형질은 대부분 난자에서 나올 수 밖에 없다는 것이 과학자들의 생각이다. 에릭 숀 박사는 연구 결과 mt DNA에서는 유전형질의 대물림을 전혀 찾을 수 없었다면서 이는 난자가 어미 양의 mt DNA를 파괴시켰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두 과학자의 이번 발견은 mt DNA 유전자 결함이 유발하는 질병을 연구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mt DNA의 결함은 시각 및 청각 장애, 정신 지체, 보행 장애 등 유전적 질환의 원인이 되며, 성인 당뇨병 원인의 2%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두 과학자의 연구내용은 `네이처 지네틱스' 9월호에 발표됐다.
4. 분화기전 구명
돌리가 완전 분화된 말단세포를 전지전능 한 기간세포로 역분화시킴으로써 세포분화의 가역성을 증명한 것 인지, 혹은 단순히 분화의 잠재력을 지닌 미분화 세포의 분화를 인위적으로 촉진한 것인지, 분화기전의 메커니즘이 명쾌히 구명 되지 않았다.
월머트박사 자신도 지난 97년 3월 사이언스지와의 인터뷰에서 돌 리가 성숙한 유선의 성체세포였는지, 유선의 발달과 함께 계속 자라고 있는 섬유아세포나 기간세포였는지 확인하기 어렵다”고 시인한 바 있다.

키워드

복제양,   돌리,   세포주기,   G0,   유전공학,   복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6.03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66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