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유교의 인간에 대한 해석
1. 인성론과 성선설
2. 이상적 인간상으로서의 군자론
Ⅲ. 유교 윤리의 본질적 구조
1. 인의예지의 윤리 체계
(1) 도덕성의 내적 기준으로서의 인
(2) 행위의 기준 및 절제의 원리로서의 의
(3) 도덕성의 외적 기준으로서의 예
(4) 도덕적 판단의 덕으로서의 지
(5) 인의 윤리
2. 유교 윤리와 직각론적 윤리설 및 자연주의적 윤리설과의 비교
Ⅳ. 유교 윤리의 사회적 기능
1. 유교 윤리에 있어서의 개인의 위치 : 개인의 평등과 자유
2. 개인과 공동체
Ⅴ. 맺음말 : 유교 윤리와 열린 사회의 이상
Ⅱ. 유교의 인간에 대한 해석
1. 인성론과 성선설
2. 이상적 인간상으로서의 군자론
Ⅲ. 유교 윤리의 본질적 구조
1. 인의예지의 윤리 체계
(1) 도덕성의 내적 기준으로서의 인
(2) 행위의 기준 및 절제의 원리로서의 의
(3) 도덕성의 외적 기준으로서의 예
(4) 도덕적 판단의 덕으로서의 지
(5) 인의 윤리
2. 유교 윤리와 직각론적 윤리설 및 자연주의적 윤리설과의 비교
Ⅳ. 유교 윤리의 사회적 기능
1. 유교 윤리에 있어서의 개인의 위치 : 개인의 평등과 자유
2. 개인과 공동체
Ⅴ. 맺음말 : 유교 윤리와 열린 사회의 이상
본문내용
마음이 智의 端初이며, 이것을 확충하면 지의 덕에 도달하게 된다고 역설하였다.
② 참된 智는 부자연한 인공적 智나 변론을 위한 智가 아니라, 인간의 본성에 따라 그 是非好惡의 정을 여실하게 표현하는 데서 온다고 맹자는 말한다.
③ 맹자에 의하면 당면한 行의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 것이냐 하는 것이 智의 기원인 것이다.
④ 仁義를 고수하여 실천할 때에만 智가 완성된다고 할 수 있다.
(5) 仁의 윤리
① 仁義禮智의 四德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德은 무엇이겠는가?
仁을 최고의 덕으로 보는 해석
義를 최고의 덕으로 보는 해석
體를 用보다 더욱 근본적인 것으로 이해한다면, 모든 덕의 근본은 역시 仁이다고 볼 수 있다.
② 증자는 忠恕로서 一貫之道를 해석하였다.
忠은 중심을 말하며, 자신을 속임이 없이 진심을 다하는 盡己이다.
恕는 如心이며, 자신의 마음과 같이 남의 마음을 알아주는 것이다.
2. 유교 윤리와 直覺論的 윤리설 및 자연주의적 윤리설과의 비교
① 유교 윤리의 가장 기본적인 덕은 仁이라고 볼 수 있다.
② 仁의 기본적인 원리는 같지만 그것이 나타내는 바는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③ 감각은 도덕적 지식을 얻는 궁극적 수단이 되지 못한다.
④ 도덕적 통찰을 발전시킬 수 있는 유일한 길은 惻隱·羞惡·辭讓·是非의 마음을 함양하고 기르는 것이다.
⑤ 모든 인간이 도덕을 실천할 수 있는 자연적 성향을 갖고 있으므로, 교육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우리 내부에 있는 이러한 가능성의 계발을 돕는 것이다.
⑥ 맹자가 강조하는 것은 仁·義·禮·智는 외부로부터 우리에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며, 따라서 악을 저지르는 것은 우리가 그것들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⑦ G. E. Moore의 방법론적 원리에 따라 유교 윤리를 단적으로 분류하다면, 그것은 형이상학적 윤리설이며 유교 윤리의 이러한 특징은 직각론적 윤리설을 주장하는 칸트와 자연주의적 윤리설을 대표하는 흄과의 비교에 의해서 보다 분명히 드러날 것이다.
유교 윤리와 칸트의 직각론적 윤리설
유교적 입장에서 보았을 때 도덕은 인간의 주체적 본성을 발견하고 그것을 드러내는 일이며, 이러한 주체적 본성을 실현하려고 노력하는 일이다.
유교적 도덕에 있어서 합리적인 것은 자연적인 것과 완전하게 구별되지 않는다.
유교 윤리는 도덕적 유연성을 가지며, 이러한 도덕적 유연성을 공자는 '時宜'로 표현했고, 맹자는 주어진 구체적 상황에 따라 결단을 내리는 '權道'로서 지칭했다.
유교에 있어서는 객관적 본성인 命을 변경시킬 수 있는 힘으로서의 주관적 본성인 성의 개념이 뚜렷한 반면, 칸트에 있어서는 유교에 있어서 보다 의지와 자유의 존재론이 분명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유교 윤리와 흄의 자연주의적 윤리설
흄은 인간에 관한 경험적 이론에만 기초해서 도덕 이론을 정립하여서 도덕의 선험적 조건을 설명하는 형이상학적 기초를 제시할 수 없다.
유교는 인간에 관한 형이상학적 존재론의 구조 속에서 도덕을 제시한다.
흄이 제시한 윤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유교 윤리와 매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실용성을 강조하고 도덕적 실재론을 주장한다.
도덕은 순수 이성의 산물이 아니라 감정과 정서의 산물이다.
선은 주관적 본성에 대한 자각을 포함하며, 선은 공동체에 대한 인식을 포함하며, 선은 추상적 보편성뿐만 아니라 개별적 인간의 특수성에 관한 고려까지도 포함해야 된다.
Ⅳ. 유교 윤리의 사회적 기능
1. 유교 윤리에 있어서의 개인의 위치 : 개인의 평등과 자유
① 전제 군주 체제 하에서의 잘못된 해석 때문에, 유교 윤리에 있어서의 개인의 중요성은 항상 분명하게 규명되지 못한 상태에 있었다.
② 그러나 유교 윤리는 오히려 개인의 평등과 자유 및 공동체와 개인의 상호 유기적 관계를 주장하고 있다.
③ 모든 인간은 仁의 씨앗을 갖고 있으므로, 모든 인간은 賢人도 될 수 있고, 堯舜과 같은 성인도 될 수 있다.
④ 그러나 뭇 사람은 사사로운 욕심에 빠져서 하늘이 준 성품을 잃기도 한다.
⑤ 모든 사람이 聖人이 될 수 있다는 것은 기회의 평등이며, 가능성에 있어서의 평등일 뿐이다.
⑥ 유교에 의해서 지지된 자유는 선을 행할 수 있는 자유이고, 선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이며, 결국 윤리적인 선택의 자유이다.
2. 개인과 공동체
① 유교 윤리는 개인을 뿌리로 보고 공동체를 잎으로 보거나, 혹은 개인을 기초로 보고 공동체를 상부 구조로 본다.
② 물론 유교 윤리는 공동체에 대한 개인의 의무를 강조한다.
③ 그러나 이것은 사실은 개인의 선을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④ 우리 모두는 우리의 인간성을 근원적으로는 가족으로부터 획득한다.
⑤ 우리는 孝와 弟를 통해 가족에 대한 의무를 다함으로써 우리의 인간성을 가족 안에서 도야시키고 발전시킨다.
⑥ 실제로 유교 윤리는 개인과 가족을 똑같이 중요하고 상호 의존적인 것으로 본다.
⑦ 더 나아가 유교 윤리는 개인과 공동체를 둘 다 목적으로 보며, 개인 속에 내재해 있는 仁의 실현을 통해 그 목적이 성취되는 것으로 본다.
Ⅴ. 맺음말 : 유교 윤리와 열린 사회의 이상
① 유교 윤리의 이상은 열린 사회를 목표로 하고 있다.
② 이는 유교 윤리의 핵심인 '仁의 사상'은 분명 이런 열린 사회를 지향하고 있음이 틀림없기 때문이다.
③ 후천적으로 흐려진 明德을 다시 밝게 하는 것이 明明德이다. 그러므로 明明德은 자아의 발견이며 동시에 자아의 실현이다.
④ 親民은 인간 본성의 자연적인 발전이며, 인간 자신 속에 내재한 인의 사회적 顯現이다.
⑤ 親民이란 나의 부모를 미루어서 다른 사람의 부모를 생각하고, 나의 자신을 미루어서 다른 사람의 자식을 생각하는 인의 실현이다.
⑥ 유교는 王道政治와 覇道政治를 날카롭게 대립시킨다.
⑦ 왕도 정치란 인민 본위의 정치요, 패도 정치란 군주·국왕 본위의 정치다.
⑧ 왕도 정치의 목적은 仁義의 실현에 있고, 패도 정치의 목적은 利의 추구에 있다.
⑨ 孔孟은 결국 理性에 의해 지배되는 사회, 개인의 자유와 평등이 보장되는 인본주의적 사회, 즉 열린 사회를 최고의 이상으로 삼았다.
② 참된 智는 부자연한 인공적 智나 변론을 위한 智가 아니라, 인간의 본성에 따라 그 是非好惡의 정을 여실하게 표현하는 데서 온다고 맹자는 말한다.
③ 맹자에 의하면 당면한 行의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 것이냐 하는 것이 智의 기원인 것이다.
④ 仁義를 고수하여 실천할 때에만 智가 완성된다고 할 수 있다.
(5) 仁의 윤리
① 仁義禮智의 四德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德은 무엇이겠는가?
仁을 최고의 덕으로 보는 해석
義를 최고의 덕으로 보는 해석
體를 用보다 더욱 근본적인 것으로 이해한다면, 모든 덕의 근본은 역시 仁이다고 볼 수 있다.
② 증자는 忠恕로서 一貫之道를 해석하였다.
忠은 중심을 말하며, 자신을 속임이 없이 진심을 다하는 盡己이다.
恕는 如心이며, 자신의 마음과 같이 남의 마음을 알아주는 것이다.
2. 유교 윤리와 直覺論的 윤리설 및 자연주의적 윤리설과의 비교
① 유교 윤리의 가장 기본적인 덕은 仁이라고 볼 수 있다.
② 仁의 기본적인 원리는 같지만 그것이 나타내는 바는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③ 감각은 도덕적 지식을 얻는 궁극적 수단이 되지 못한다.
④ 도덕적 통찰을 발전시킬 수 있는 유일한 길은 惻隱·羞惡·辭讓·是非의 마음을 함양하고 기르는 것이다.
⑤ 모든 인간이 도덕을 실천할 수 있는 자연적 성향을 갖고 있으므로, 교육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우리 내부에 있는 이러한 가능성의 계발을 돕는 것이다.
⑥ 맹자가 강조하는 것은 仁·義·禮·智는 외부로부터 우리에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며, 따라서 악을 저지르는 것은 우리가 그것들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⑦ G. E. Moore의 방법론적 원리에 따라 유교 윤리를 단적으로 분류하다면, 그것은 형이상학적 윤리설이며 유교 윤리의 이러한 특징은 직각론적 윤리설을 주장하는 칸트와 자연주의적 윤리설을 대표하는 흄과의 비교에 의해서 보다 분명히 드러날 것이다.
유교 윤리와 칸트의 직각론적 윤리설
유교적 입장에서 보았을 때 도덕은 인간의 주체적 본성을 발견하고 그것을 드러내는 일이며, 이러한 주체적 본성을 실현하려고 노력하는 일이다.
유교적 도덕에 있어서 합리적인 것은 자연적인 것과 완전하게 구별되지 않는다.
유교 윤리는 도덕적 유연성을 가지며, 이러한 도덕적 유연성을 공자는 '時宜'로 표현했고, 맹자는 주어진 구체적 상황에 따라 결단을 내리는 '權道'로서 지칭했다.
유교에 있어서는 객관적 본성인 命을 변경시킬 수 있는 힘으로서의 주관적 본성인 성의 개념이 뚜렷한 반면, 칸트에 있어서는 유교에 있어서 보다 의지와 자유의 존재론이 분명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유교 윤리와 흄의 자연주의적 윤리설
흄은 인간에 관한 경험적 이론에만 기초해서 도덕 이론을 정립하여서 도덕의 선험적 조건을 설명하는 형이상학적 기초를 제시할 수 없다.
유교는 인간에 관한 형이상학적 존재론의 구조 속에서 도덕을 제시한다.
흄이 제시한 윤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유교 윤리와 매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실용성을 강조하고 도덕적 실재론을 주장한다.
도덕은 순수 이성의 산물이 아니라 감정과 정서의 산물이다.
선은 주관적 본성에 대한 자각을 포함하며, 선은 공동체에 대한 인식을 포함하며, 선은 추상적 보편성뿐만 아니라 개별적 인간의 특수성에 관한 고려까지도 포함해야 된다.
Ⅳ. 유교 윤리의 사회적 기능
1. 유교 윤리에 있어서의 개인의 위치 : 개인의 평등과 자유
① 전제 군주 체제 하에서의 잘못된 해석 때문에, 유교 윤리에 있어서의 개인의 중요성은 항상 분명하게 규명되지 못한 상태에 있었다.
② 그러나 유교 윤리는 오히려 개인의 평등과 자유 및 공동체와 개인의 상호 유기적 관계를 주장하고 있다.
③ 모든 인간은 仁의 씨앗을 갖고 있으므로, 모든 인간은 賢人도 될 수 있고, 堯舜과 같은 성인도 될 수 있다.
④ 그러나 뭇 사람은 사사로운 욕심에 빠져서 하늘이 준 성품을 잃기도 한다.
⑤ 모든 사람이 聖人이 될 수 있다는 것은 기회의 평등이며, 가능성에 있어서의 평등일 뿐이다.
⑥ 유교에 의해서 지지된 자유는 선을 행할 수 있는 자유이고, 선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이며, 결국 윤리적인 선택의 자유이다.
2. 개인과 공동체
① 유교 윤리는 개인을 뿌리로 보고 공동체를 잎으로 보거나, 혹은 개인을 기초로 보고 공동체를 상부 구조로 본다.
② 물론 유교 윤리는 공동체에 대한 개인의 의무를 강조한다.
③ 그러나 이것은 사실은 개인의 선을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④ 우리 모두는 우리의 인간성을 근원적으로는 가족으로부터 획득한다.
⑤ 우리는 孝와 弟를 통해 가족에 대한 의무를 다함으로써 우리의 인간성을 가족 안에서 도야시키고 발전시킨다.
⑥ 실제로 유교 윤리는 개인과 가족을 똑같이 중요하고 상호 의존적인 것으로 본다.
⑦ 더 나아가 유교 윤리는 개인과 공동체를 둘 다 목적으로 보며, 개인 속에 내재해 있는 仁의 실현을 통해 그 목적이 성취되는 것으로 본다.
Ⅴ. 맺음말 : 유교 윤리와 열린 사회의 이상
① 유교 윤리의 이상은 열린 사회를 목표로 하고 있다.
② 이는 유교 윤리의 핵심인 '仁의 사상'은 분명 이런 열린 사회를 지향하고 있음이 틀림없기 때문이다.
③ 후천적으로 흐려진 明德을 다시 밝게 하는 것이 明明德이다. 그러므로 明明德은 자아의 발견이며 동시에 자아의 실현이다.
④ 親民은 인간 본성의 자연적인 발전이며, 인간 자신 속에 내재한 인의 사회적 顯現이다.
⑤ 親民이란 나의 부모를 미루어서 다른 사람의 부모를 생각하고, 나의 자신을 미루어서 다른 사람의 자식을 생각하는 인의 실현이다.
⑥ 유교는 王道政治와 覇道政治를 날카롭게 대립시킨다.
⑦ 왕도 정치란 인민 본위의 정치요, 패도 정치란 군주·국왕 본위의 정치다.
⑧ 왕도 정치의 목적은 仁義의 실현에 있고, 패도 정치의 목적은 利의 추구에 있다.
⑨ 孔孟은 결국 理性에 의해 지배되는 사회, 개인의 자유와 평등이 보장되는 인본주의적 사회, 즉 열린 사회를 최고의 이상으로 삼았다.
추천자료
구승회의『생태철학과 환경윤리』서평 - 환경윤리인가, 생태철학인가 ?
언론미디어의 윤리관과 언론미디어의 윤리-신문윤리,뉴미디어 윤리,방송윤리
[과외]고등 윤리-사회와윤리 08
윤리 교과 과정 내 용어 개념 정리
도덕, 윤리와 사상, 시민윤리, 전통윤리 교과서 中 한국유학사상 부분 발췌 요약정리
직업윤리의 변천과 사상적 기초,직업윤리의식, 직업윤리사상
도덕교육과 동양윤리,서양윤리 요약
[직업과 윤리] 윤리적 딜레마와 접근방법 - 야누스적 인간본성,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세가지...
기업윤리 및 사회적책임
관광윤리
[공학윤리] 윤리학자의 사상과 생애 - 맹자의 사상
윤리경영 CSR 개념,필요성,현황분석과 윤리경영 기업사례분석및 윤리경영 성공위한 전략방안 ...
장기이식의 윤리(장기이식에 대한 전통적 입장 장기이식의 윤리원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