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식물 10종 * 실외식물 10종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내식물 10종 * 실외식물 10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실내식물 10종
▪ 산세베리아
▪ 관음죽
▪ 호야
▪ 개운죽
▪ 신고니움
▪ 행운목
▪ 인도고무나무
▪ 산호수
▪ 안스리움
▪ 테이블야자

■ 실외식물 10종
▪ 산구절초
▪ 산꿩의 다리
▪ 옥잠화
▪ 원추천인국
▪ 족제비고사리
▪ 좀작살나무
▪ 타래붓꽃
▪ 한라부추
▪ 옥향
▪ 까실쑥부쟁이

본문내용

그러나 점토질에서는 생육이 더디므로 주의한다.
이식
봄 3~5월과 9~10월이 좋다. 큰 나무를 이식할 때는 미리 뿌리 돌림을 하여 세근을 많이 나게 하여 심으면 이식 탈이 적게 발생한다. 심는 요령은 향나무에 준한다.
전정
전정이 수형을 좌우하므로 그 요령을 잊지 말고 철저히 하여 주어야 한다. 양성기간 중 새로 나온 순을 가위로 자르지 말로 손으로 뽑는 것처럼 하여 순을 친다. 봄에 지난해 정형된 윤곽선에서 순이 자라난다. 이때 중심에 있는 순은 실하고 길고 노끈처럼 자라며 곁순은 그다지 길제자라지 않으므로 노끈처럼 긴 순늘 손으로 뽑든가 손톱으로 집어 버린다. 옥향나무의 순치기를 전정가위로 하면 곁순까지 잘려지므로 그 마디가 말라들기 쉽다. 큰 나무의 경우가 아닐 때는 가급적이면 가위를 쓰지 말고 순치기를 하는 것이 단단하고 아름답게 째인 모양으로 기를 수 있는 비결이다.
순치기는 최저 1년에 2~3회는 필요하다. 순치기를 게을리 하면 몇 개의 실한 가지가 나와 그것을 전정하면 밑쪽에서 가지가 갈라져 눈 같은 것이 쌍이면 찢어져서 모양이 갈라지게 된다. 2~3년에 한 번씩 수관의 내부에 가위를 넣어 말라죽은 가지나 약한 가지를 잘라 준다.
번식
번식은 주로 꺽꽂이(삽목)을 이용하여 번식한다.
삽목 : 시기는 더운 지방에서는 2월부터 비닐하우스나 온실에서 시작하나, 대체적으로는 새순이 나오기 전인 3~4월에 한다. 삽수는 지난해 자란 가지를 10cm길이로 잘라 물에 담궈 물을 올린 후 발근제를 발라 밭흙에 꽂는다. 삽목 상토는 점토질이 좋다. 이는 뿌리가 사방으로 고루 나며 활착과 발육이 좋기 때문이다. 발근할 때까지 시일이 걸리므로 차광하여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때때로 관수한다.
삽수는 노쇠한 나무에서 채취한 것보다 젊은 나무에서 채취한 것이 활착률이 좋다. 활착한 것은 삽목상에서 2년 동안 비배한 후 이식하여 다시 2년 동안 기르면 상품화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삽수를 장마 때 그해 자란 가지에 지난 해 자란 가지를 붙여서 잘라 봄에 꽂는 요령으로 삽목한다. 이때에는 특히 차광과 관수에 주의하여 주어야 한다.
10) 까실쑥부쟁이 【Ageratiod aster】
학 명 Aster ageratoides Turcz.
목 명 초롱꽃목
과 명 국화과
원산지 한국
서식지 산과 들
크 기 높이 약 1m
꽃 말 옛사랑, 순정
개화기 8월,9월,10월
꽃의색 보라색
용 도 식용, 관상, 약재
이명/지방명/한약명 산쑥부쟁이, 곰의수해, 연색삼맥엽마람 까실쑥부장이,
연색삼맥마란, 껄큼취
특 성
곰의수해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라며 높이 약 1m이다. 땅속줄기를 벋으면서 번식하며 줄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에 달린 잎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진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며 긴 바소꼴로 끝이 뾰족하다. 잎 길이는 10∼14cm, 나비 3∼6cm로, 가운데에서 갑자기 좁아져 잎자루가 된다. 톱니가 있으며 밑에 3개의 맥이 있다.
꽃은 두상화로 8∼10월에 줄기 끝에서 자주색 또는 연보라색으로 피는데, 산방꽃차례이고 꽃 지름은 약 2cm이다. 총포는 달걀 모양이며 총포조각은 3줄로 배열한다. 설상화는 자줏빛이고 관상화는 노란색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11월에 익는다. 관모는 자줏빛이 도는 갈색이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한국 전역에 분포한다.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경생엽은 호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10-14cm, 폭 3-6cm로서 중앙에서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 짧은 엽병으로 되고 표면은 거칠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드물게 있고 밑부분에 3맥이 있으며 위로 갈수록 점차 작아져서 가장 윗부분의 것은 길이 5mm정도로 된다.

꽃은 8-10월에 피고 지름 20mm로서 자주색이며 원줄기 끝에 산방화서에 달리고 화경은 길이 12-30mm로서 거칠다. 총포는 난형이며 길이 5mm, 나비 8-10mm이고 포는 3줄로 배열되며 홍자색이 돌고 가장자리에 털이 약간 있으며 회포는 길이 2mm이다. 설상화는 1줄로 배열되고 화관은 길이 10-11mm, 나비 2mm로서 하늘색이며 관모는 갈자색이고 길이 3mm이다.
열 매
수과는 길이 2mm, 폭 0.8mm로서 타원형이고 털이 있으며 9-10월에 익는다.
줄 기
높이가 1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때로는 붉은빛을 띠고 털이 있거나 없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거칠다.
뿌 리
근경이 가로 뻗으면서 번식하여 군집을 이룬다.
생육환경
산비탈 돌 많은 풀밭.
이용방안
*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 관상용으로도 쓴다.
* 까실쑥부쟁이/쑥부쟁이의 뿌리가 달린 全草를 山白菊(산백국)이라 하며 약용한다.
-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신선한 것으로 사용하던가 햇볕에 말린다.
- 성분 : 전초는 kaempferol, quercetin, quercetin rhamnoside, quercetin glucoside, quercetin glucorhamnoside, kaempferol-3-glucorhamnoside 등의 flavonol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 Kaempferol과 quercetin의 止咳·祛痰效果(지해·거담효과)는 상당히 좋으며 quercetin은 독성이 낮고 안전도가 높다. 또 saponin類 및 탄수화물, ester類, 탄닌, 단백질, amino acids, 엽록소 등도 함유하고 있다. 뿌리는 주로 saponin類(주로 steroic型 saponin)를 주로 함유하고 있으나 flavonoid 배당체를 함유하지만 saponin은 없다. Saponin類는 거담작용이 뛰어나며, flavonoid 배당체는 진해작용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뿌리가 달린 전초를 약용한다.
- 약효 : 祛風(거풍), 淸熱(청열), 해독, 祛痰(거담), 止咳(지해)의 효능이 있다. 風熱感氣(풍열감기), 편도선염, 기관지염, 정·瘡·腫(정·창·종), 毒蛇咬傷(독사교상), 벌에 쏘인 刺傷(자상)을 치료한다.
- 용법/용량 : 15-60g을 달이던가 짓찧어낸 즙을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4,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0.06.22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13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