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과거와 현재 제품의 쌀 함량 비교
쌀로 만든 가공식품
급식에 활용할 수 있는 쌀 가공식품
쌀 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도
쌀로 만든 가공식품
급식에 활용할 수 있는 쌀 가공식품
쌀 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도
본문내용
79.9%(국산), 찹쌀 14%(국산), 흑미6%(국산),정제염
백미 100%, 감초
급식에 활용할 수 있는 쌀 가공식품
1. 쌀고기
=> 급식을 제공할 때 양질의 단백질과 지방질이 풍부한 고기를 메인메뉴로 공급할때가 자주 있는데 이때 쌀고기를 이용하여 탕수육이나 햄버거, 스테이크, 돈까스 등을 제공하면 맛뿐만 아니라 영양적인 면에서도 우수한 공급원이 될 것 같다.
2. 쌀요플레
=> 후식으로 제공되는 과일이나 기타 음료말고 이렇게 쌀을 이용하여 요플레나 이것을 얼려 푸딩처럼 제공하면 훨씬 좋을 것 같다. 식은밥에 누룩을 부셔서 섞어 실온에 2~3일 두면 발효가 되는데 이것을 체에 한번 거른후에 끓여준다. 그리고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먹으면 되는데 이것을 급식에 활용할때는 과일이나 후르츠칵테일 또는 기호에 따라서 팥이나 젤리같은 것을 넣어 제공하면 훌륭한 후식이 될 것 같다.
3. 쌀식빵바게뜨
=> 일반적으로 급식에서 가공식품을 적게 사용하면 좋겠지만 노동력의 분배라던지, 시간적 여유가 불충분할 경우 또 급식소의 시설에 따라서 메뉴를 만들어 내지 못할 경우에 가공식품을 사용하게 되는데 요즘에는 저염, 무색소, 무방부제등 안전하고 위생적인 공정을 거친 가공식품들이 많기 때문에 어느정도는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쌀식빵바게뜨는 바게뜨빵 대신에 식빵을 이용하여 만드는 것인데 딱딱하고 씹기 힘든 바게뜨빵 대신에 식빵을 이용하여 빵을 굽게 되면 씹는 질감도 훨씬 부드럽고 소화율도 높아서 노인전문요양병원이나 아동급식에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
쌀 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도
=> 1998년부터 2002년까지를 보면 가공용쌀에 대한 소비추이가 크게 변동되지는 않았다. 다만 2001년에 6.7%로 가장 하락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2007년에는 10.1%임을 보았을 때 해가 거듭될 수록 가공용쌀에 대한 소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건강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들이 고조되면서 밀가루로 만든 제품이 아닌 쌀을 이용하여 만든 제품들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글루텐 과민성 장질환이나 아토피 피부염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특히나 쌀을 이용하여 만든 가공식품들을 더 반겨하고 기다릴 것이다. 왜냐하면 이들에게는 시중에 나와있는 대부분의 먹거리들이 천연재료가 아닌 밀가루나 다른 성분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몸에 좋지않은 영향을 많이 끼치기 때문이다.
또한 마트의 과자코너에만 가도 불량식품이나 알 수 없는 색소, 첨가물들로 만들어진 과자가 아니라 부모들이 주로 쌀이나 곡물을 이용한 신중하게 과자를 고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밀가루에 밀려 쌀의 소비가 하락했던 과거와는 달리 현재는 쌀을 이용한 쌀떡볶이, 쌀쫄면, 쌀쿠키, 쌀카레 등 다양한 가공식품들이 출시되어 있고 식품분야뿐만 아니라 샴푸, 비누, 화장품 등 다방면으로의 진출도 꾀하고 있다. 앞으로는 수입쌀보다는 순수 우리나라 쌀의 소비를 더 촉진하기 위한 적극적인 방안과 대책이 강구되었으면 좋겠고 또 쌀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품들이 낮은 생산비용과 양산체제로 생산되었으면 한다.
백미 100%, 감초
급식에 활용할 수 있는 쌀 가공식품
1. 쌀고기
=> 급식을 제공할 때 양질의 단백질과 지방질이 풍부한 고기를 메인메뉴로 공급할때가 자주 있는데 이때 쌀고기를 이용하여 탕수육이나 햄버거, 스테이크, 돈까스 등을 제공하면 맛뿐만 아니라 영양적인 면에서도 우수한 공급원이 될 것 같다.
2. 쌀요플레
=> 후식으로 제공되는 과일이나 기타 음료말고 이렇게 쌀을 이용하여 요플레나 이것을 얼려 푸딩처럼 제공하면 훨씬 좋을 것 같다. 식은밥에 누룩을 부셔서 섞어 실온에 2~3일 두면 발효가 되는데 이것을 체에 한번 거른후에 끓여준다. 그리고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먹으면 되는데 이것을 급식에 활용할때는 과일이나 후르츠칵테일 또는 기호에 따라서 팥이나 젤리같은 것을 넣어 제공하면 훌륭한 후식이 될 것 같다.
3. 쌀식빵바게뜨
=> 일반적으로 급식에서 가공식품을 적게 사용하면 좋겠지만 노동력의 분배라던지, 시간적 여유가 불충분할 경우 또 급식소의 시설에 따라서 메뉴를 만들어 내지 못할 경우에 가공식품을 사용하게 되는데 요즘에는 저염, 무색소, 무방부제등 안전하고 위생적인 공정을 거친 가공식품들이 많기 때문에 어느정도는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쌀식빵바게뜨는 바게뜨빵 대신에 식빵을 이용하여 만드는 것인데 딱딱하고 씹기 힘든 바게뜨빵 대신에 식빵을 이용하여 빵을 굽게 되면 씹는 질감도 훨씬 부드럽고 소화율도 높아서 노인전문요양병원이나 아동급식에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
쌀 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도
=> 1998년부터 2002년까지를 보면 가공용쌀에 대한 소비추이가 크게 변동되지는 않았다. 다만 2001년에 6.7%로 가장 하락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2007년에는 10.1%임을 보았을 때 해가 거듭될 수록 가공용쌀에 대한 소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건강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들이 고조되면서 밀가루로 만든 제품이 아닌 쌀을 이용하여 만든 제품들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글루텐 과민성 장질환이나 아토피 피부염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특히나 쌀을 이용하여 만든 가공식품들을 더 반겨하고 기다릴 것이다. 왜냐하면 이들에게는 시중에 나와있는 대부분의 먹거리들이 천연재료가 아닌 밀가루나 다른 성분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몸에 좋지않은 영향을 많이 끼치기 때문이다.
또한 마트의 과자코너에만 가도 불량식품이나 알 수 없는 색소, 첨가물들로 만들어진 과자가 아니라 부모들이 주로 쌀이나 곡물을 이용한 신중하게 과자를 고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밀가루에 밀려 쌀의 소비가 하락했던 과거와는 달리 현재는 쌀을 이용한 쌀떡볶이, 쌀쫄면, 쌀쿠키, 쌀카레 등 다양한 가공식품들이 출시되어 있고 식품분야뿐만 아니라 샴푸, 비누, 화장품 등 다방면으로의 진출도 꾀하고 있다. 앞으로는 수입쌀보다는 순수 우리나라 쌀의 소비를 더 촉진하기 위한 적극적인 방안과 대책이 강구되었으면 좋겠고 또 쌀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품들이 낮은 생산비용과 양산체제로 생산되었으면 한다.
추천자료
축산물 고르기(식품가공학)
농산식품학 쌀2차가공품
<동물성 식품 가공학 레포트>우유 및 유제품을 생산하는 유가공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개선방안
두류가공(식품) 종류 제조과정
4쌀의 2차 가공품
과일 . 과실 주스의 제조 / 식품가공학 토대로 작성
쌀의 2차 가공품
[곡류][곡물][곡물 종류][옥수수][곰팡이독소][농업교육][안전기준][식품재료][농산물][곡류...
식품분석 - 중화 적정법을 이용한 돼지고기, 녹차, 쌀, 설탕의 산도와 알칼리도 측정
[식품 가공 실험보고서] 과살의 총산 정량 및 산도 당도 측정
[식품 가공 실습 실험보고서] 멥쌀과 찹쌀의 판정
[식품 가공 실습] 소맥분의 글루텐량 측정
농산 식품 가공학 실습 식빵 - 식빵 제조와 글루텐 측정.pptx
냉동가공 식품과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