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Glaser의 교수모형
2. Carroll의 수업모형
3. Bloom의 수업모형
4. Gagné의 수업모형
5. Bruner의 수업모형
6. Ausubel의 수업모형
2. Carroll의 수업모형
3. Bloom의 수업모형
4. Gagné의 수업모형
5. Bruner의 수업모형
6. Ausubel의 수업모형
본문내용
습이 강조
다. Bruner 교수이론의 구성요소
1) 학습경향성
(1) 학습하고자 하는 의욕 또는 경향으로 준비성 또는 출발점행동과 유사한 개념
(2) 문화체계, 동기체계, 학습자 개인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음
(3) 과제가 최적의 불확실성을 가져야 한다.
2) 학습의 계열화
(1) 학생들이 학습내용을 이해, 변형, 전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학습과제 를 조직 제시하는 것
(2) 학습계열은 활동적, 영상적, 상징적 표현의 순서를 따라야 함
① 활동적(=행동적) 표상 : 구체적 경험 통해 학습내용사실 이해
② 영상적 표상 : 교과학습에 의해 이루어 진 것
③ 상징적 표상 : 창의성, 경제성과 관련, 학습자의 고등한 인지사고 능력발휘, 두 가지 이상의 결합-새로운 개념 형성, 최소시간 노력경비 최대효과
3) 강화
(1) 내적 동기를 강조하였다.
① 내적 동기 - 호기심, 자아개념, 성취감 ② 외적 동기 - 상, 칭찬
(2) 강화가 교정적 정보로서 활용되는 가장 직접적인 경로는 학생 스스로가 자기학습의 결과를 확인하고 거기서 만족을 느끼는 것
4) 지식의 구조화
(1) 지식구조의 세 가지 특징은 표현방식(mode of representation), 경제성 (economy), 생성력(power)이다.
① 표현양식
어떤 영역의 지식도 활동적, 영상적, 상징적 표현양식으로 표현가능
② 경제성
머리 속에 기억하고 있어야 할 정보의 양이 적은 상태를 지칭
③ 생성력
학습자로 하여금 새로운 명제를 만들어 내거나 문제해결을 위해 정보를 이용 할 때 주어진 사실을 넘어서 진행할 수 있게 하는 정도. 일반적으로 경제성 이 큰 표현양식이 큰 생성력을 지님
5) 학습자 사고의 자극
인간은 발견하려는 욕구를 가진 능동적인 존재. 사고를 자극하기 위해 벌견학습 강조
6. Ausubel의 수업모형 : 설명식 교수이론
가. 개요
학습자에게 많은 양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은 유의미 학습
1) Ausubel의 이론은 유의미 학습에 관한 이론으로서 설명학습의 원리로 특징지을 수 있음. 이 설명학습의 근거는 선행조직자(advanced organizer)라는 개념에서 발견가능
2) 교사가 의미가 높은 지식의 구조를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학생들은 기존의 인지구조와 새로운 인지구조를 잘 조화시킨 다음, 그것을 적용하는데 중점을 두는 수업이론
나. 선행조직자
1) 학습과제의 제시에 앞서 제시되는 자료로서 일반성, 포괄성과 추상성이 높은 자료
다. 유의미 학습조건
1) 유의미 학습과제는 논리적으로 유의미가를 가진 학습과제를 의미하며, 이 논리적 유의미가를 지닌 과제란 실사성과 구속성이 있는 과제를 지칭
(1) 실사성 : 어떤 명제를 어떻게 표현하더라도 그 명제의 의미가 변하지 않는 명제를 다루는 것
(2) 구속성 : 임의적으로 맺어진 관계가 시간흐름에 관계없이 변경되지 않는 성질
2) 학습자는 학습해야 할 과제를 포섭할 수 있는 관련정착지식을 소유하고 유의미 학습태세(과제를 실사적이고 구속적으로 정착의미에 관련시키고자 하는 학습태도)를 갖고 있어야 한다.
다. Bruner 교수이론의 구성요소
1) 학습경향성
(1) 학습하고자 하는 의욕 또는 경향으로 준비성 또는 출발점행동과 유사한 개념
(2) 문화체계, 동기체계, 학습자 개인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음
(3) 과제가 최적의 불확실성을 가져야 한다.
2) 학습의 계열화
(1) 학생들이 학습내용을 이해, 변형, 전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학습과제 를 조직 제시하는 것
(2) 학습계열은 활동적, 영상적, 상징적 표현의 순서를 따라야 함
① 활동적(=행동적) 표상 : 구체적 경험 통해 학습내용사실 이해
② 영상적 표상 : 교과학습에 의해 이루어 진 것
③ 상징적 표상 : 창의성, 경제성과 관련, 학습자의 고등한 인지사고 능력발휘, 두 가지 이상의 결합-새로운 개념 형성, 최소시간 노력경비 최대효과
3) 강화
(1) 내적 동기를 강조하였다.
① 내적 동기 - 호기심, 자아개념, 성취감 ② 외적 동기 - 상, 칭찬
(2) 강화가 교정적 정보로서 활용되는 가장 직접적인 경로는 학생 스스로가 자기학습의 결과를 확인하고 거기서 만족을 느끼는 것
4) 지식의 구조화
(1) 지식구조의 세 가지 특징은 표현방식(mode of representation), 경제성 (economy), 생성력(power)이다.
① 표현양식
어떤 영역의 지식도 활동적, 영상적, 상징적 표현양식으로 표현가능
② 경제성
머리 속에 기억하고 있어야 할 정보의 양이 적은 상태를 지칭
③ 생성력
학습자로 하여금 새로운 명제를 만들어 내거나 문제해결을 위해 정보를 이용 할 때 주어진 사실을 넘어서 진행할 수 있게 하는 정도. 일반적으로 경제성 이 큰 표현양식이 큰 생성력을 지님
5) 학습자 사고의 자극
인간은 발견하려는 욕구를 가진 능동적인 존재. 사고를 자극하기 위해 벌견학습 강조
6. Ausubel의 수업모형 : 설명식 교수이론
가. 개요
학습자에게 많은 양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은 유의미 학습
1) Ausubel의 이론은 유의미 학습에 관한 이론으로서 설명학습의 원리로 특징지을 수 있음. 이 설명학습의 근거는 선행조직자(advanced organizer)라는 개념에서 발견가능
2) 교사가 의미가 높은 지식의 구조를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학생들은 기존의 인지구조와 새로운 인지구조를 잘 조화시킨 다음, 그것을 적용하는데 중점을 두는 수업이론
나. 선행조직자
1) 학습과제의 제시에 앞서 제시되는 자료로서 일반성, 포괄성과 추상성이 높은 자료
다. 유의미 학습조건
1) 유의미 학습과제는 논리적으로 유의미가를 가진 학습과제를 의미하며, 이 논리적 유의미가를 지닌 과제란 실사성과 구속성이 있는 과제를 지칭
(1) 실사성 : 어떤 명제를 어떻게 표현하더라도 그 명제의 의미가 변하지 않는 명제를 다루는 것
(2) 구속성 : 임의적으로 맺어진 관계가 시간흐름에 관계없이 변경되지 않는 성질
2) 학습자는 학습해야 할 과제를 포섭할 수 있는 관련정착지식을 소유하고 유의미 학습태세(과제를 실사적이고 구속적으로 정착의미에 관련시키고자 하는 학습태도)를 갖고 있어야 한다.
추천자료
교수이론과 학습이론의 관계
켈러의 학습동기유발 교수이론과 플랜더스의 언어적 상호작용 모형
교수설계이론-Gagne의 9가지 수업사태, 롸이겔루스의 교수설계전략, Keller의 학습동기 설계...
파블로브와 스키너, 손다이크의 학습이론을 비교 설명 및 교수이론의 특징
파블로브와 스키너, 손다이크의 학습이론을 비교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교수이론의 특징...
파블로브와 스키너, 손다이크의 학습이론의 비교 설명과 이를 바탕으로 한 교수이론의 특징
구성주의이론(구성주의학습이론) 인지발달이론과 사회발달이론, 구성주의이론(구성주의학습이...
구성주의교육(구성주의학습이론)의 특성과 원칙, 구성주의교육(구성주의학습이론)의 기본가정...
교수, 학습이론 학습과이론, 교수이론과 방법 (3. 학습과 연습 4. 교수이론과 방법)
[교육심리학] 교수이론의 이해 - 글레이저(R. Glaser)의 교수이론, 브루너(Bruner)의 교수이...
[교육敎育학개론] 브루너의 교수이론에 대한 이해(브루너의 교수이론에 대한 개념과 특성(학...
교수모형(교수이론) - 글레이저의 수업과정모형, 캐롤의 학교학습모형, 블룸의 완전학습모형,...
완전학습과 이를 위한 교수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