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젊은 세대들의 식생활 패턴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식생활 패턴 변화와 청소년기 식습관의 특징
2.1 식생활 패턴 변화와 건강 문제
2.2 식과 농의 거리 확대와 먹을거리 불안감 증폭
2.3 청소년기의 식습관 특징

3. 젊은 세대의 편의점 의존증
3.1 정보수집의 장
3.2 화제성

4. 산책 식사

5. 신체 개조
5.1 식품의 선택도
5.2 전진형 발상

6. 카페 화식

7. Entertainment

8. 결 론

본문내용

. Entertainment
식은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한다. 특히 OL은 회사의 중식시간의 대화, 휴대전화 메일로 채팅, 그리고 인터넷의 소리함(의견 게시판)을 이용한 대화 등 사실적으로도 가상으로도 항상 정보를 교환하고 있다.
-체험에 설득력
맛있는 레스토랑이나 편의점에서 발견한 신제품, 백화점 지하에서 인기있는 양과자나 반찬 등이 화제로 떠오른다. 「 는 超 勸奬品」「××는 최악」 라고 하는 포지티브·네가티브 평가는 실제로 체험한 사람의 의견만으로 설득력이 있고 휴대전화나 넷트(통신망) 등의 정보망을 통해 파급되는 속도도 빠르다. 사람과 커뮤니케이션 하고 싶고 정보발신도 하고 싶은 젊은층에게 食은 그 자료(기삿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食 그것이 정보화하고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하나 하나의 식재나 식품, 음식점에 정보가 내재되어 있다(붙어있다). 미각을 토대로 맛있다, 맛없다 라는 판단뿐만이 아니라 산지나 만든자의 개성, 몸에 미치는 프라스·마이너스의 영향, 분위기나 이미지 등 많은 정보가 선택기준에 첨가되어 있는 것이다. 즉 매스컴 광고보다도 텔레비전 방송이나 잡지기사 통신망의 소리함(의견 게시판), 친구, 知人의 평판에 신뢰도가 높다.
食은 Entertainment도 제공한다. 젊은 세대 사이에서 유행했던 「심야의 라면집 기행」에서는 「줄서있는 라면집」이 친구를 유혹하는 구실이 되고 자동차에서 밖으로 나오는 이유가 되고 있다. 홈파티에서도 「바베큐」나 「찌개」가 즐거운 분위기를 연출한다. 불황이라고 말할 수 있는 먹는 것에는 어렵지 않고 풍부한 사회 속에서 食은 동료(동아리)가 모여 함께 나가는 동기가 되고있는 것이다.
-이벤트 참가
정보도 중요하지만 자기자신의 체험은 더 더욱 인상깊다. 청주의 양조장에서 「寒九の水汲み」라는 시민참가 이벤트를 개최하고 있는 곳이 있다고 들었다. 寒(소한과 대한, 소한으로부터 입춘까지의 약 30일, 여기는 小寒을 말함) 으로부터 9일째의 물이 1년중 가장 맑아 술 제조에는 최적이라는 구전에 근거해 산에서 솟아나는 물을 퍼담으러 가는 것 같다.
무거운 물탱크를 등에 짊어지고 雪山을 걷는 것은 즐거운 일이 아니지만 완성된 新酒는 참가자에게 보내져 그들은 특별히 애착을 가지고 맛볼 수 있다.
또한 갓 채취한 딸기와 갓 짜낸 우유로 만든 아이스크림을 그 장소에서 먹을 수 있는 농원겸 목장이 평판을 받고있는 것 같다.
이런 과정과 현장에 참가할 수 있는 이벤트가 더욱더 젊은층을 향해 열려있어도 좋다. 즐거운 체험이 커뮤니케이션 자료가 되고 대중으로의 파급효과를 잉태하고 있는 것이다.
8. 결 론
지난 몇 십 년간 우리 식생활 패턴은 식생활의 서구화와 외부화 등으로 크게 변화되었다. 식생활 패턴의 변화는 우리 자신과 사회에 큰 영향과 부하를 주고 있다. 장래 우리 식생활 패턴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는 우리 스스로의 상상력과 선택, 실천과 노력에 달려 있다. 먹을거리의 선택과 지구환경문제의 관계성에 대한 인식을 깊게 하면서 로컬푸드를 활성화하는 식생활교육 운동을 활발히 전개해야 한다.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2.19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16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