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광합성에 의한 직접 물 분해 수소생산(direct bio-photolysis)
2. 광합성에 의한 간접 물 분해 수소생산(indirect bio-photolysis or two stage photolysis)
3. 혐기발효에 의한 수소생산
4. 광합성 발효에 의한 수소생산(photo-fermentation)
5. 고찰
2. 광합성에 의한 간접 물 분해 수소생산(indirect bio-photolysis or two stage photolysis)
3. 혐기발효에 의한 수소생산
4. 광합성 발효에 의한 수소생산(photo-fermentation)
5. 고찰
본문내용
horomatiaceae, Chlrobiaceae의 3과로 분류된다.
광합성 박테리아는 또한 대사적인 다양성을 가지고 있어 호기적 및 혐기적 암조건에서도 모두 성장할 수 있고, 또한 광합성을 할 수 있는 동시에 발효에 의해서도 배양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다양성 때문에 기질의 이용 효율에 차이는 있지만 단당류, 이당류 및 각종 유기산을 모두 배양기질로 사용할 수 있다. 이론적인 수소 생성량은 glucose한 분자로부터 12 분자의 수소가스가 생성되며, acetic acid, lactic acid 및 butyric acid 각각 한 분자로부터 4, 6 및 7 분자의 수소가 생산된다. 조류나 광합성 박테리아로부터 생산되는 생물학적 수소의 양 또한 빛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는 최대 양자 효율이 높을수록 많은 수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광화학적 parameter인 균주의 reaction center 수 및 안테나 크기 등에 비례한다.
5. 고찰
미생물에 의하여 생산되는 수소는 광합성에 의한 직접 물 분해 수소생산과 광합성에 의한 간접 물 분해 수소생산, 혐기성 발효에 의한 수소생산, 광합성 발효에 의한 수소생산으로 나눌 수 있다.
광합성 박테리아는 또한 대사적인 다양성을 가지고 있어 호기적 및 혐기적 암조건에서도 모두 성장할 수 있고, 또한 광합성을 할 수 있는 동시에 발효에 의해서도 배양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다양성 때문에 기질의 이용 효율에 차이는 있지만 단당류, 이당류 및 각종 유기산을 모두 배양기질로 사용할 수 있다. 이론적인 수소 생성량은 glucose한 분자로부터 12 분자의 수소가스가 생성되며, acetic acid, lactic acid 및 butyric acid 각각 한 분자로부터 4, 6 및 7 분자의 수소가 생산된다. 조류나 광합성 박테리아로부터 생산되는 생물학적 수소의 양 또한 빛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는 최대 양자 효율이 높을수록 많은 수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광화학적 parameter인 균주의 reaction center 수 및 안테나 크기 등에 비례한다.
5. 고찰
미생물에 의하여 생산되는 수소는 광합성에 의한 직접 물 분해 수소생산과 광합성에 의한 간접 물 분해 수소생산, 혐기성 발효에 의한 수소생산, 광합성 발효에 의한 수소생산으로 나눌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