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현대적 의미의 세계사 이해
Ⅱ. 본론
올바른 유목사회의 인식
유목국가의 역사적 의의
Ⅲ. 유목사를 공부하면서 느낀점
Ⅱ. 본론
올바른 유목사회의 인식
유목국가의 역사적 의의
Ⅲ. 유목사를 공부하면서 느낀점
본문내용
강력한 군사집단이었다. 유목이란 생활 활동 또한 초원의 양치기 목동 같은 느낌으로 와 닿을지 모르지만 올해의 혹한과 내년의 가뭄까지 걱정해야 했던게 그들이며 유목사회는 철저하게 능력중심의 사회였다. 가축은 그들의 친구이자 동반자고, 그 가축에게서부터 생활에 필요한 모든걸 얻을 수 있었으니 언제 어느 초지로 이동하는지 등의 선견지명이 필요했던 것이다.
유목사를 공부하면서 느낀점
세계사를 교육하면서부터 가장 비중이 적게 다뤄진 부분이 유목사였다. 하다못해 동남아시아, 일본, 신대륙의 문명들도 간략하게 정리되는 마당에 유목사는 수업시간이나 교재에서 찾아볼수 없는 역사였다. 그나마 스키타이, 흉노, 몽고만이 동서양에 끼친 강력한 힘과 영향력으로 그 잔광을 조금 맞보는것에 그친 정도다. 그렇다 보니 나도 큰 흥미를 갖지는 못했다. 중앙 유라시아를 공부하게 된점을 많이 걱정하기도 했으나 비단 그렇게 어려운 부분도 아니었던것 같다. 오히려 어렵거나 생소하다는 느낌 보다는 유목사와 유목민에 대한 오해를 푸는 작업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이번 수업에 도움이 되고자 중학교 시절에 읽었던 ‘유목민 이야기’를 다시금 읽어보고, ‘유목민이 본 세계사’, ‘유목주의는 침략주의다’, ‘유라시아 천년을 가다’등 여러 책을 두루 읽어보고 고교시절 다운받아 본 뒤 CD로 보관중이었던 도자기 내가 전문인 서양사만큼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그 역사가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그 인식의 차이와 새로이 알게된 사실들은 위의 글로 간략하나마 서술해 보았다. 수업과 박물관 도록, 다큐멘터리등의 적절한 활용으로 유익하면서 즐거운 역사공부가 된거 같다.
유목사를 공부하면서 느낀점
세계사를 교육하면서부터 가장 비중이 적게 다뤄진 부분이 유목사였다. 하다못해 동남아시아, 일본, 신대륙의 문명들도 간략하게 정리되는 마당에 유목사는 수업시간이나 교재에서 찾아볼수 없는 역사였다. 그나마 스키타이, 흉노, 몽고만이 동서양에 끼친 강력한 힘과 영향력으로 그 잔광을 조금 맞보는것에 그친 정도다. 그렇다 보니 나도 큰 흥미를 갖지는 못했다. 중앙 유라시아를 공부하게 된점을 많이 걱정하기도 했으나 비단 그렇게 어려운 부분도 아니었던것 같다. 오히려 어렵거나 생소하다는 느낌 보다는 유목사와 유목민에 대한 오해를 푸는 작업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이번 수업에 도움이 되고자 중학교 시절에 읽었던 ‘유목민 이야기’를 다시금 읽어보고, ‘유목민이 본 세계사’, ‘유목주의는 침략주의다’, ‘유라시아 천년을 가다’등 여러 책을 두루 읽어보고 고교시절 다운받아 본 뒤 CD로 보관중이었던 도자기 내가 전문인 서양사만큼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그 역사가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그 인식의 차이와 새로이 알게된 사실들은 위의 글로 간략하나마 서술해 보았다. 수업과 박물관 도록, 다큐멘터리등의 적절한 활용으로 유익하면서 즐거운 역사공부가 된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