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절 진보주의
제 2절 본질주의
제 3절 항존주의
제 4절 재건주의
제 2절 본질주의
제 3절 항존주의
제 4절 재건주의
본문내용
측면을 보면, 고정불변하는 실재나 절대진리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재건주의자들은 지식의 본질적 대상인 실재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에 그 실재에 얼마나 정합적인가를 지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지 않는다.
가치에 관련된 재건주의자들의 견해를 보면, 행위의 도덕성 여부를 판단하는 최고의 준거는 사회적 자아현실이다. 재건주의에서 한 개인의 행위가 갖는 도덕적 가치 여부는 그가 속한 공동체 속에서 타인과의 협동적 관계를 통해 서로의 능력을 얼마나 발휘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⑵재건주의의 역사
재건주의 운동이 시작된 것은 1930년대이다. 재건주의가 하나의 교육이론으로 체계화되고 구체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브라멜드에 의해서이다. 그는 재건주의가 추구하는 이상적 미래사회는 바로 민주주의 사회라고 보았다. 브라멜드에 따르면, 이상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무엇보다 학교 스스로가 민주적으로 재건되고 재조직되어야 하며, 특히 교사들이 전위부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브라멜드가 교사교육을 치밀하게 기획한 것은 새로운 사회건설에서 교사의 역할이 그만큼 핵심적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⑶재건주의의 교육원리
첫째, 교육은 새로운 사회질서를 창조해야 한다.
둘째, 새로운 이상적인 사회는 참다운 민주주의 사회가 되어야 한다.
셋째, 아동과 학교 또는 교육은 사회적문화적 조건에 의해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넷째,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를 재건하여 이상적인 인류사회를 건설하도록 사람들을 설득해야 한다.
다섯째, 교육의 목적이나 수단은 현재의 문화적 위기가 필요로 하는 바를 충족할 수 있도록, 그리고 행동과학의 연구결과와 합치되도록 전면적으로 개혁되지 않으면 안 된다.
여섯째, 교육과정의 구성, 구체적인 교과내용과 과목, 교수방법, 행정조직, 교사양성제도 등에 대한 기존의 견해를 전반적으로 재검토해야한다.
재건주의의 교육목적은 이상적인 인류 사회 건설에 있다. 교육내용은 사회적 자아실현에 기여하는 정도에 따라 선정된다. 마지막으로 재건주의자들은 사회적 자아실현을 위해 다양한 학습방법이 동원될 수 있다고 본다.
재건주의의 몇 가지 한계는 첫째, 새로운 미래사회의 질서를 누가 수립할 것이며, 그 질서는 어떤 가치와 기준에 입각할 것인가에 관련된 문제이다.
둘째, 절충주의에서 오는 혼란과 무질서와 관련된 문제이다.
셋째, 재건주의의 지나친 낙관주의역시 비판받을 만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재건주의자들은 지식의 본질적 대상인 실재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에 그 실재에 얼마나 정합적인가를 지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지 않는다.
가치에 관련된 재건주의자들의 견해를 보면, 행위의 도덕성 여부를 판단하는 최고의 준거는 사회적 자아현실이다. 재건주의에서 한 개인의 행위가 갖는 도덕적 가치 여부는 그가 속한 공동체 속에서 타인과의 협동적 관계를 통해 서로의 능력을 얼마나 발휘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⑵재건주의의 역사
재건주의 운동이 시작된 것은 1930년대이다. 재건주의가 하나의 교육이론으로 체계화되고 구체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브라멜드에 의해서이다. 그는 재건주의가 추구하는 이상적 미래사회는 바로 민주주의 사회라고 보았다. 브라멜드에 따르면, 이상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무엇보다 학교 스스로가 민주적으로 재건되고 재조직되어야 하며, 특히 교사들이 전위부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브라멜드가 교사교육을 치밀하게 기획한 것은 새로운 사회건설에서 교사의 역할이 그만큼 핵심적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⑶재건주의의 교육원리
첫째, 교육은 새로운 사회질서를 창조해야 한다.
둘째, 새로운 이상적인 사회는 참다운 민주주의 사회가 되어야 한다.
셋째, 아동과 학교 또는 교육은 사회적문화적 조건에 의해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넷째,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를 재건하여 이상적인 인류사회를 건설하도록 사람들을 설득해야 한다.
다섯째, 교육의 목적이나 수단은 현재의 문화적 위기가 필요로 하는 바를 충족할 수 있도록, 그리고 행동과학의 연구결과와 합치되도록 전면적으로 개혁되지 않으면 안 된다.
여섯째, 교육과정의 구성, 구체적인 교과내용과 과목, 교수방법, 행정조직, 교사양성제도 등에 대한 기존의 견해를 전반적으로 재검토해야한다.
재건주의의 교육목적은 이상적인 인류 사회 건설에 있다. 교육내용은 사회적 자아실현에 기여하는 정도에 따라 선정된다. 마지막으로 재건주의자들은 사회적 자아실현을 위해 다양한 학습방법이 동원될 수 있다고 본다.
재건주의의 몇 가지 한계는 첫째, 새로운 미래사회의 질서를 누가 수립할 것이며, 그 질서는 어떤 가치와 기준에 입각할 것인가에 관련된 문제이다.
둘째, 절충주의에서 오는 혼란과 무질서와 관련된 문제이다.
셋째, 재건주의의 지나친 낙관주의역시 비판받을 만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서양의사상(아리스토텔레스).
본질주의 교육철학사조
실학주의 시대의 교육
코메니우스
실재주의 교육철학 -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 의의와 한계
교육철학 및 역사적 기초(항존주의, 재건주의)
코메니우스
존 로크의 교육사상
[교육사상][철학]엘렌케이의 교육철학(교육사상), 듀이의 교육철학(교육사상), 니일의 교육철...
교육철학(교육사상)의 교육정의와 기능, 실용주의와 교육철학(교육사상), 사회재건주의와 실...
[교육과정 공통] 항존주의 본질주의 진보주의 재건주의 교육철학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시오.
[교육사 敎育史] 교육의 역사 (고대 삼국시기부터 조선후기까지) - 고대 삼국 시기, 통일신라...
[교육과정 공통] 항존주의 본질주의 진보주의 재건주의 교육철학에 대해 자세히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