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식의 특징과 문제점
2. 한정식의 특징
3. 상차림
4. 반 상
5. 죽 상
6. 장국상
7. 주안상
8. 교자상
9. 식사예절
10. 문헌 속의 예절
2. 한정식의 특징
3. 상차림
4. 반 상
5. 죽 상
6. 장국상
7. 주안상
8. 교자상
9. 식사예절
10. 문헌 속의 예절
본문내용
한국의 상차림과 식사예절
┃ 1. 한식의 특징과 문제점
┗━━━━━━━━━━─────────…
[특 징]
┌───────────────────
│ ✔ 우리나라의 전통음식
│ ✔ 채식과 육식의 조화
│ ✔ 도시 근로자들이 선호
│ ✔ 외국 : 건강식, 자연식
│ ✔ 수출 품목
│ ✔ 발효음식
│ ✔ 순수한 자연의 맛을 유지
│ ✔ 약식 동원 (藥食同原)
│ ✔ 외식산업에서 제1 점유율
└───────────────────
[문제점]
┌───────────────────
│ ✔ 조리법, 기구, 시설의 낙후
│ ✔ 가격 - 수익에서 불리
│ ✔ 음식의 온도가 맛, 품질을 좌우
│ ✔ 소비자의 기호도, 생활환경 변화
│ ✔ 연구 부족
│ ✔ 서비스, 위생관리 필요
│ ✔ 제시, 차림의 고급화 필요
└───────────────────
┃ 2. 한정식의 특징
┗━━━━━━━━━━─────────…
❏ 고급화와 전문화된 상차림
❏ 고객의 즐거움을 증대
❏ 서비스의 편의성이 증가
❏ 음식의 적정 온도 유지가 필요
❏ 다양한 반찬 수와 잔반량
┃ 3. 상차림
┗━━━━━━━━━━─────────…
❏ 한 상에 차려놓은 찬품의 이름과 수효
❏ 독상이 기본 – 1인 위주
❏ 계절에 따라 구성이 다양
❏ 상의 주식, 목적에 따라 종류가 결정
반상, 죽상, 면상, 다과상
교자상, 돌상, 큰상, 제사상
≪ … 중 략 … ≫
┃ 9. 식사예절
┗━━━━━━━━━━─────────…
❏ 숟가락, 젓가락은 한 손에 들지 않는다.
❏ 반찬그릇에 걸쳐 놓지 않는다.
❏ 밥그릇, 국그릇은 들고 먹지 않는다.
❏ 입 속에 음식을 넣고 말하지 않는다.
❏ 소리를 내고 먹지 않는다.
❏ 손을 뻗치지 않고 머리를 돌리고 기침이나 재채기한다.
❏ 밥이나 반찬은 뒤적이지 않는다.
❏ 반찬은 한쪽부터 먹고 고명을 털고 먹지 않는다.
❏ 숟가락을 너무 빨거나 이 사이에 낀 음식을 쑤셔 빼지 않는다.
❏ 가시나 돌은 조용히 뱉고 종이에 싸서 버린다.
┃ 1. 한식의 특징과 문제점
┗━━━━━━━━━━─────────…
[특 징]
┌───────────────────
│ ✔ 우리나라의 전통음식
│ ✔ 채식과 육식의 조화
│ ✔ 도시 근로자들이 선호
│ ✔ 외국 : 건강식, 자연식
│ ✔ 수출 품목
│ ✔ 발효음식
│ ✔ 순수한 자연의 맛을 유지
│ ✔ 약식 동원 (藥食同原)
│ ✔ 외식산업에서 제1 점유율
└───────────────────
[문제점]
┌───────────────────
│ ✔ 조리법, 기구, 시설의 낙후
│ ✔ 가격 - 수익에서 불리
│ ✔ 음식의 온도가 맛, 품질을 좌우
│ ✔ 소비자의 기호도, 생활환경 변화
│ ✔ 연구 부족
│ ✔ 서비스, 위생관리 필요
│ ✔ 제시, 차림의 고급화 필요
└───────────────────
┃ 2. 한정식의 특징
┗━━━━━━━━━━─────────…
❏ 고급화와 전문화된 상차림
❏ 고객의 즐거움을 증대
❏ 서비스의 편의성이 증가
❏ 음식의 적정 온도 유지가 필요
❏ 다양한 반찬 수와 잔반량
┃ 3. 상차림
┗━━━━━━━━━━─────────…
❏ 한 상에 차려놓은 찬품의 이름과 수효
❏ 독상이 기본 – 1인 위주
❏ 계절에 따라 구성이 다양
❏ 상의 주식, 목적에 따라 종류가 결정
반상, 죽상, 면상, 다과상
교자상, 돌상, 큰상, 제사상
≪ … 중 략 … ≫
┃ 9. 식사예절
┗━━━━━━━━━━─────────…
❏ 숟가락, 젓가락은 한 손에 들지 않는다.
❏ 반찬그릇에 걸쳐 놓지 않는다.
❏ 밥그릇, 국그릇은 들고 먹지 않는다.
❏ 입 속에 음식을 넣고 말하지 않는다.
❏ 소리를 내고 먹지 않는다.
❏ 손을 뻗치지 않고 머리를 돌리고 기침이나 재채기한다.
❏ 밥이나 반찬은 뒤적이지 않는다.
❏ 반찬은 한쪽부터 먹고 고명을 털고 먹지 않는다.
❏ 숟가락을 너무 빨거나 이 사이에 낀 음식을 쑤셔 빼지 않는다.
❏ 가시나 돌은 조용히 뱉고 종이에 싸서 버린다.
추천자료
현대 미술과 패션
국가주의 문화와 인권
접두사, 접미사
금강산 관광
[과외]중학 국어 3-1학기 중간 1-3단원 생활국어 기출문제
<홍길동전>의 인물 갈등 양상 -자아와 세계와의 갈등 적용하기 -
[바둑][바둑의 의미][바둑의 의의][바둑의 유래][바둑의 방법][바둑의 활성화 방안][바둑판][...
현대와 고대의 예절생활
[한국음식의 특징]
지역사회 욕구조사 설문
[탄실 김명순 소설가][김명순][소설가][문학활동][고백문학][희곡][두 여인]탄실 김명순 소설...
우리나라의 상차림과 식사예절
[영화감상문] 군도 : 민란의 시대 (KUNDO : Age of the Rampant) 2014
청소년들의 문제점과 발달과제 및 해결과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