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 부조리에 저항하는 인간의 삶에서 우리는 무엇을 깨닳을 수 있는지를...
물론 그는 다시는 회복할 수 없는 인간에 대한 신뢰를 잃었다. 하지만, 개인적인 입장에서 볼 때 결국 그가 승리를 했다고 생각한다. Evil(부조리)에 저항하여 끝까지 Faith(믿음)을 잃지 않는 그에게 찬사를 보내고 싶고, 작가 역시 그럼 심정으로 글을 쓰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물론 그는 다시는 회복할 수 없는 인간에 대한 신뢰를 잃었다. 하지만, 개인적인 입장에서 볼 때 결국 그가 승리를 했다고 생각한다. Evil(부조리)에 저항하여 끝까지 Faith(믿음)을 잃지 않는 그에게 찬사를 보내고 싶고, 작가 역시 그럼 심정으로 글을 쓰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추천자료
[영미문학] 맥베스를 읽고
[영미문학 작품분석] Harold Pinter의 The Birthday Party
[영미문학 페이퍼]- 권력의 허구적인 모습과 진정한 Oleanna의 의미
[영미문학] 영웅 아닌 영웅 더스틴 호프만(버나드 르플란트) - 리틀 빅 히어로
[영미문학분석] At First Sight - 마음의 눈으로 바라보기
[영미문학 페이퍼] 히피세대와 MTV세대...그리고 <로미오와 줄리엣>
[영미문학 페이퍼] 프랑켄슈타인(FRANKENSTEIN) 균형상실의 비극
[영미문학분석]
[영미문학페이퍼] 'Jane Eyre'의 페미니즘적인 접근
[영미문학페이퍼] Last Summer in Chulimsk - 인간의 근본 원리의 회복과 화합
[영미문학 기말페이퍼] 맥배스 - Who Can Denounce Macbeth?
[영미문학페이퍼] M. Butterfly - 사회 속의 모순과 편견 깨기
[영미문학페이퍼] The Road to Mecca를 통해 살펴보는 '삶의 의미'
[영미문학페이퍼] The Metamorphosis in Getting Out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