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진보주의 교육이론
1. 진보주의 교육의 의의
2. 진보주의 교육의 역사
3. 기본원리
4. 진보주의 교육의 비판
Ⅱ. 본질주의 교육이론
1. 본질주의 교육의 의의
2. 본질주의 교육의 역사
3. 본질주의 교육의 주장
4. 기본원리
5. 본질주의 교육의 비판
Ⅲ. 항존주의 교육이론
1. 항존주의 교육의 의의
2. 기본적 원리
3. 항존주의 교육의 비판
4. 본질주의와 항존주의 비교
<참고문헌>
1. 진보주의 교육의 의의
2. 진보주의 교육의 역사
3. 기본원리
4. 진보주의 교육의 비판
Ⅱ. 본질주의 교육이론
1. 본질주의 교육의 의의
2. 본질주의 교육의 역사
3. 본질주의 교육의 주장
4. 기본원리
5. 본질주의 교육의 비판
Ⅲ. 항존주의 교육이론
1. 항존주의 교육의 의의
2. 기본적 원리
3. 항존주의 교육의 비판
4. 본질주의와 항존주의 비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데 이를 사용해야 한다.
-인간은 자유로운 존재이나 이성을 계발하고 본능적 욕망을 통제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
3) 교육의 과업은 영원한 진리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는 데 있다.
-교육은 어린이를 현실세계에 적응시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진리에의 적응이 학습목표이다.
4) 교육은 생활의 모방이 아니라 생활에의 준비이다.
-학교는 실제의 생활상황이 아니라, 문화유산을 습득하기 위한 인위적 환경이다.
5) 학생은 세계의 영원성에 익숙하게 하는 기본적인 과목을 배워야 한다.
-현실적으로 중요한 과목보다 영어,어학,역사,수학,자연과학,철학,미술 등과 같은 기본적인 교과목을 공부해야 한다.
6) 학생들은 문학, 철학, 역사, 과학과 같이 여러 시대를 거쳐 인간의 위대한 소망과 성취를 나타낸 대저서를 읽어야 한다.
-학생이 배워야 할 것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학생의 피상적인 경향성을 따른다면 우리는 학생의 진정한 재능이 발전하는 것을 훼방할 수도 있다.
3. 항존주의 교육의 비판
1) 항존주의자들은 ‘지성의 귀족화’를 목표로 하고 교육을 대저서의 고전적 전통에 불합리하게 제한시켰다는 비난을 받는다. 그들은 많은 어린이들이 항존주의가 강조하는 특수한 지적인 재능이 결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훌륭한 시민과 생산자가 되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다. 뛰어나게 재능있는 대학생에게 부과하는 것과 똑같은 종류의 엄격한 학문적 훈련을 어린이에게 부과한다는 것은 인간의 능력차이를 무시하는 것이며 각 개인의 성장을 막는 것이다. 사실상 학교교육에서 그러한 지적훈련의 실시는 학문적 능력 못지 않게 가치있는 인간의 다른 특질들의 발달을 지연시킨다. 지성은 인간의 인격성의 한 측면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성적인 행동이 인간의 발전에 있어서 불가결한 것이기는 하나 정서적이고 독특한 개성적인 면도 이성적인 면에 못지않게 중요할 수 있다.(정희숙,2002)
2)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을 둘수 있다. 민주주의의 특징은 개성을 존중하고 가치의 다양성을 인정한다. 그러나 항존주의는 모든 인간에게 동일한 교육을 주장하고 절대적인 가치와 불변하는 진리를 주장하기 때문에 민주주의의 기본이념을 위협할 수 있다.
3) 현실을 경시한다. 인간은 과거를 가지고 있고 미래를 내다보기도 하지만, 일차적으로는 현재적 존재이다. 인간은 현재에 살아가면서 과거를 돌이켜보고 미래를 설계한다. 그런데 항존주의자는 현재를 영원성과 관련시킴으로써 현재의 문화적 경향성을 무가치하게 여기고 현실에 적응하려는 노력을 과소평가한다. 항존주의의 교육은 위대한 고전들을 강조함으로써 현실의 학문을 무시하고 고전의 지식들은 영원한 것으로 만든다.(조무남,2001)
4. 본질주의와 항존주의 비교
1) 본질주의는 항존주의의 전적인 ‘지적’교육만을 강조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본질주의는 어떤 상상적인 영원한 진리보다는 자연적, 사회적 환경에 대한 개인의 적응에 더 많은 관심을 갖기 때문이다.
2) 본질주의는 진보주의가 교육방법에 미친 공헌을 적극적으로 기꺼이 받아들인다는 점이 항존주의와는 다르다.
3) 항존주의자는 과거의 위대한 창조적 업적을 인간의 보편적 통찰에 대한 영원한 표현으로서 숭배하는 데 비하여, 본질주의자는 그러한 인류의 업적을 오늘날의 문제를 다루기 위한 지식의 자료로 이용한다.
<참고문헌>
김대연, 교육학개론, 형설출판사, 1993.
G,F.넬러/정희숙(역), 교육철학이란 무엇인가, 서광사, 2002.
오천석, 교육철학신강, 교학연구사, 1984.
조무남 외, 교육사.교육철학 강의, 동문사, 2001.
김정환 외, 교육철학, 박영사, 1998.
이돈희 외, 교육철학, 한국방통대출판부, 1995.
-인간은 자유로운 존재이나 이성을 계발하고 본능적 욕망을 통제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
3) 교육의 과업은 영원한 진리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는 데 있다.
-교육은 어린이를 현실세계에 적응시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진리에의 적응이 학습목표이다.
4) 교육은 생활의 모방이 아니라 생활에의 준비이다.
-학교는 실제의 생활상황이 아니라, 문화유산을 습득하기 위한 인위적 환경이다.
5) 학생은 세계의 영원성에 익숙하게 하는 기본적인 과목을 배워야 한다.
-현실적으로 중요한 과목보다 영어,어학,역사,수학,자연과학,철학,미술 등과 같은 기본적인 교과목을 공부해야 한다.
6) 학생들은 문학, 철학, 역사, 과학과 같이 여러 시대를 거쳐 인간의 위대한 소망과 성취를 나타낸 대저서를 읽어야 한다.
-학생이 배워야 할 것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학생의 피상적인 경향성을 따른다면 우리는 학생의 진정한 재능이 발전하는 것을 훼방할 수도 있다.
3. 항존주의 교육의 비판
1) 항존주의자들은 ‘지성의 귀족화’를 목표로 하고 교육을 대저서의 고전적 전통에 불합리하게 제한시켰다는 비난을 받는다. 그들은 많은 어린이들이 항존주의가 강조하는 특수한 지적인 재능이 결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훌륭한 시민과 생산자가 되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다. 뛰어나게 재능있는 대학생에게 부과하는 것과 똑같은 종류의 엄격한 학문적 훈련을 어린이에게 부과한다는 것은 인간의 능력차이를 무시하는 것이며 각 개인의 성장을 막는 것이다. 사실상 학교교육에서 그러한 지적훈련의 실시는 학문적 능력 못지 않게 가치있는 인간의 다른 특질들의 발달을 지연시킨다. 지성은 인간의 인격성의 한 측면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성적인 행동이 인간의 발전에 있어서 불가결한 것이기는 하나 정서적이고 독특한 개성적인 면도 이성적인 면에 못지않게 중요할 수 있다.(정희숙,2002)
2)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을 둘수 있다. 민주주의의 특징은 개성을 존중하고 가치의 다양성을 인정한다. 그러나 항존주의는 모든 인간에게 동일한 교육을 주장하고 절대적인 가치와 불변하는 진리를 주장하기 때문에 민주주의의 기본이념을 위협할 수 있다.
3) 현실을 경시한다. 인간은 과거를 가지고 있고 미래를 내다보기도 하지만, 일차적으로는 현재적 존재이다. 인간은 현재에 살아가면서 과거를 돌이켜보고 미래를 설계한다. 그런데 항존주의자는 현재를 영원성과 관련시킴으로써 현재의 문화적 경향성을 무가치하게 여기고 현실에 적응하려는 노력을 과소평가한다. 항존주의의 교육은 위대한 고전들을 강조함으로써 현실의 학문을 무시하고 고전의 지식들은 영원한 것으로 만든다.(조무남,2001)
4. 본질주의와 항존주의 비교
1) 본질주의는 항존주의의 전적인 ‘지적’교육만을 강조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본질주의는 어떤 상상적인 영원한 진리보다는 자연적, 사회적 환경에 대한 개인의 적응에 더 많은 관심을 갖기 때문이다.
2) 본질주의는 진보주의가 교육방법에 미친 공헌을 적극적으로 기꺼이 받아들인다는 점이 항존주의와는 다르다.
3) 항존주의자는 과거의 위대한 창조적 업적을 인간의 보편적 통찰에 대한 영원한 표현으로서 숭배하는 데 비하여, 본질주의자는 그러한 인류의 업적을 오늘날의 문제를 다루기 위한 지식의 자료로 이용한다.
<참고문헌>
김대연, 교육학개론, 형설출판사, 1993.
G,F.넬러/정희숙(역), 교육철학이란 무엇인가, 서광사, 2002.
오천석, 교육철학신강, 교학연구사, 1984.
조무남 외, 교육사.교육철학 강의, 동문사, 2001.
김정환 외, 교육철학, 박영사, 1998.
이돈희 외, 교육철학, 한국방통대출판부,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