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명대 자본주의 맹아론
경지면적과 단위면적당 곡물생산량의 증가
인구이동의 실상
인구이동의 영향
1) 농업생산의 제고
2)중소도시의 발달
경지면적과 단위면적당 곡물생산량의 증가
인구이동의 실상
인구이동의 영향
1) 농업생산의 제고
2)중소도시의 발달
본문내용
. 청대에 사천섬서호북의 3성 접경지대에 몰려든 이주자들은 숲에 불을 질러 화전을 일구고 옥수수를 재배했다. 4~5년이 지나 지력이 고갈되면 그 땅을 버리고 다른 곳으로 옮겨가 다시 화전을 일구었다. 화전농경으로 점차 숲이 줄어들자 비가 내리면 산사태가 자주 일어나고, 산비탈에서 흘러내린 토사가 강바닥을 높여 계곡 주변에 홍수를 일으키게 되었다. 또 이주자들이 농업용수를 확보하려고 산비탈의 계곡을 막아 만든 소규모 제방은 폭우가 쏟아지면 쉽게 무너지곤 했다. 그러나 복구가 어려운 관계로 무너진 제방은 계곡에 그대로 방치되는 일이 많았고, 그러면 정상적인 흐름을 방해받은 물줄기가 엉뚱하게 농경지를 침수시키기도 하고 토양을 쓸어내려 가면서 농민들에게 피해를 주었다.
2)중소도시의 발달
인구이동은 농촌사회에 대한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또 다른 사회변화를 가져왔다. 중소도시의 발달이 그것이다. 농촌에서 도시나 수공업지역으로 이주하는 행렬이 이어지면서 중소도시의 발달에 촉진했던 것이다. 물론 대도시의 발달도 두드러졌지만 이는 이전시대에도 확인되는 현상인 만큼, 도시사의 관점에서 본다면 명청시대의 특징은 아무래도 중소도시의 발달에서 찾을 수 있다.
중소도시가 가장 발달한 곳은 소주호주항주송강 등 강남지방이었다. 이들 지역은 명대 이래 세금부담이 과중하고 신사지주 등 유력자의 대토지소유가 발달하여 일반 농민은 부업을 하지 않으면 생계유지가 힘들었다. 농민들의 가장 손쉬운 부업은 피륙을 짜서 파는 일이었다. 그런데 인근의 대도시인 소주호주항주는 전통적인 비단생산의 중심지였고 송강은 면포생산의 중심지였다. 이들 대도시 일대의 농민들은 점차 대도시 인근 농촌에 위치한 작은 마을에 모여 면포나 비단을 생산하고 이곳으로 상인들이 몰려들면서 직물 생산과 판매, 유통이 이울어지는 중소도시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소주부 오강현(吳江縣) 성택진(盛澤鎭)은 이렇게 성장한 중소도시의 전형이다. 명초에 50~60호에 불과하던 이 마을은 명 중기인 15세기 중반부터 상인과 공장(工匠)이 북적대기 시작했고 16세기 중반에는 상점과 공방이 수백 집에 달했다. 17세기 초에는 1,100집이 넘었고 17세기 말과 18세기 초에 해당하는 청대 강희연간에는 1만여 집으로 증가했다. 그리하여 건륭5년(1740)에는 마침내 진(鎭)으로 승격되었다. 이런 현상은 강소,절강 등 강남지방뿐 아니라 강서호남호북 등 중국 전역에서 발생했다.
2)중소도시의 발달
인구이동은 농촌사회에 대한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또 다른 사회변화를 가져왔다. 중소도시의 발달이 그것이다. 농촌에서 도시나 수공업지역으로 이주하는 행렬이 이어지면서 중소도시의 발달에 촉진했던 것이다. 물론 대도시의 발달도 두드러졌지만 이는 이전시대에도 확인되는 현상인 만큼, 도시사의 관점에서 본다면 명청시대의 특징은 아무래도 중소도시의 발달에서 찾을 수 있다.
중소도시가 가장 발달한 곳은 소주호주항주송강 등 강남지방이었다. 이들 지역은 명대 이래 세금부담이 과중하고 신사지주 등 유력자의 대토지소유가 발달하여 일반 농민은 부업을 하지 않으면 생계유지가 힘들었다. 농민들의 가장 손쉬운 부업은 피륙을 짜서 파는 일이었다. 그런데 인근의 대도시인 소주호주항주는 전통적인 비단생산의 중심지였고 송강은 면포생산의 중심지였다. 이들 대도시 일대의 농민들은 점차 대도시 인근 농촌에 위치한 작은 마을에 모여 면포나 비단을 생산하고 이곳으로 상인들이 몰려들면서 직물 생산과 판매, 유통이 이울어지는 중소도시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소주부 오강현(吳江縣) 성택진(盛澤鎭)은 이렇게 성장한 중소도시의 전형이다. 명초에 50~60호에 불과하던 이 마을은 명 중기인 15세기 중반부터 상인과 공장(工匠)이 북적대기 시작했고 16세기 중반에는 상점과 공방이 수백 집에 달했다. 17세기 초에는 1,100집이 넘었고 17세기 말과 18세기 초에 해당하는 청대 강희연간에는 1만여 집으로 증가했다. 그리하여 건륭5년(1740)에는 마침내 진(鎭)으로 승격되었다. 이런 현상은 강소,절강 등 강남지방뿐 아니라 강서호남호북 등 중국 전역에서 발생했다.
추천자료
식민지 시대 연구의 쟁점과 과제
한국 경제에 대한 분석 - 한국사회 재구조화와 글로벌 자본주의-민영화,자본주의 등에 관한 고찰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고찰
우리나라 인구문제
[경제사] 맬더스의 인구론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교사상(자료)
[인구][인구문제][세계인구][도시인구][도시화][출생률][사망률]인구의 증가와 변천, 인구문...
고령화시대 금융부문 정책방안
한국자본주의의 역사(한국현대사레포트)
[계층구조, 계층구조와 자본주의, 계층구조와 직업, 계층구조와 정보화, 계층구조와 산업화, ...
(경제사상과이론2E형) 토머스 맬서스(Thomas Robert Malthus)의 인구 이론에 대하여 논술하라...
경제학 입문 -시대적 변천에 따른 경제학의 흐름
식민지화가 한국경제에 미친 영향 - 식민시대 농업, 식민시대 공업, 해방 후 경제 (식민지 경...
자본주의 맹아론맹아론의 타당성맹아론의 실존적 한계맹아론의 역사적 의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