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콜럼버스 대항해의 역사적 배경
2. 콜럼버스의 4차례 항해
3. 콜럼버스의 대항해가 유럽사회에 미친 영향
4. 마치면서...
◇ 참고문헌
2. 콜럼버스의 4차례 항해
3. 콜럼버스의 대항해가 유럽사회에 미친 영향
4. 마치면서...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필 콜럼버스의 항해가 일까? “목적지인 인도에 정확하게 도달한 바스코 다 가마의 아프리카 남회 항로나 마젤란의 역사상 첫 세계일주항해, 혹은 동양에서 가장 큰 규모의 항해였던 정화의 항해 등은 콜럼버스의 항해에 비해 가치가 떨어지는 사건인가?”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들의 항해가 콜럼버스의 항해에 비해 그 여정이 결코 순탄한 항해는 아니었다. 콜럼버스의 항해는 대서양의 순풍을 받으며 2달이 채 걸리지 않은 항해를 무사히 마칠 수 있었지만, 바스코 다 가마의 항해는 뜨거운 바다와 폭풍의 바다를 지나 콜럼버스의 항로의 3배 이상의 거리를 항해해서 얻어낸 성공한 발견이었으며, 마젤란의 항해는 그 자신이 필리핀에서 죽음을 당하면서, 결국 그의 동료에 의해 3년 만에 달성한 그야말로 목숨을 건 항해 끝에 일궈낸 성과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항해보다 콜럼버스의 항해가 사람들의 입에 더 오르내리는 까닭은 아마도 당대의 사람들이 생각했던 서쪽으로 계속가게 되면 세상의 끝이 나와 떨어져 죽는다는 미신을 타파하여 고정관념을 없앤 점과, 콜럼버스 자신은 죽는 순간까지 인도라고 믿었던 땅, 지금의 아메리카인 신대륙을 사상 처음으로 유럽인들의 역사에 기록한 점이라고 볼 수 있다. 비록 그 자신은 그가 꿈꾸던 서쪽의 인도를 발견함으로써 얻을 막대한 부를 누리지는 못했지만, 그의 후세들은 이 새로운 땅의 풍요로움을 발판으로 세계사의 중심으로 한발 더 내딛을 수 있었다. 그리고 지금 이 땅의 한쪽에는 현대의 최강국 미국이 터전을 잡고 있다. 콜럼버스의 발견 후 500여 년이 지난 오늘날 세계 정치/경제의 중심이 바로 콜럼버스의 인도에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콜럼버스의 항해가 오늘날 우리에게 큰 의미를 주는 것으로 보인다. 콜럼버스가 아니었어도 누군가에 의해 결국 발견되었을 이 새로운 땅이, 혹시 지금 그 가치가 형편없고 빈곤한 국가들만이 가득한 그런 땅이 되어있다면, 그의 항해가 지금처럼 역사상 주목받고 회자되는 항해가 되기는 어쩌면 힘들었을지도 모른다. 물론 역사에 만약이란 것은 없지만, 이런 점을 생각해봤을 때 역사는 역시 당시대의 가치관과 관심이 반영될 수밖에 없는 것이라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된다
◇ 참고문헌
◎ 안드레아스 벤츠케(윤도중 옮김), 『콜럼버스』, 한길사, 1998
◎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이종훈 옮김), 『콜럼버스 항해록』, 서해문집, 2004
◎ 민석홍, 『서양사개론』, 삼영사, 1997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항해보다 콜럼버스의 항해가 사람들의 입에 더 오르내리는 까닭은 아마도 당대의 사람들이 생각했던 서쪽으로 계속가게 되면 세상의 끝이 나와 떨어져 죽는다는 미신을 타파하여 고정관념을 없앤 점과, 콜럼버스 자신은 죽는 순간까지 인도라고 믿었던 땅, 지금의 아메리카인 신대륙을 사상 처음으로 유럽인들의 역사에 기록한 점이라고 볼 수 있다. 비록 그 자신은 그가 꿈꾸던 서쪽의 인도를 발견함으로써 얻을 막대한 부를 누리지는 못했지만, 그의 후세들은 이 새로운 땅의 풍요로움을 발판으로 세계사의 중심으로 한발 더 내딛을 수 있었다. 그리고 지금 이 땅의 한쪽에는 현대의 최강국 미국이 터전을 잡고 있다. 콜럼버스의 발견 후 500여 년이 지난 오늘날 세계 정치/경제의 중심이 바로 콜럼버스의 인도에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콜럼버스의 항해가 오늘날 우리에게 큰 의미를 주는 것으로 보인다. 콜럼버스가 아니었어도 누군가에 의해 결국 발견되었을 이 새로운 땅이, 혹시 지금 그 가치가 형편없고 빈곤한 국가들만이 가득한 그런 땅이 되어있다면, 그의 항해가 지금처럼 역사상 주목받고 회자되는 항해가 되기는 어쩌면 힘들었을지도 모른다. 물론 역사에 만약이란 것은 없지만, 이런 점을 생각해봤을 때 역사는 역시 당시대의 가치관과 관심이 반영될 수밖에 없는 것이라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된다
◇ 참고문헌
◎ 안드레아스 벤츠케(윤도중 옮김), 『콜럼버스』, 한길사, 1998
◎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이종훈 옮김), 『콜럼버스 항해록』, 서해문집, 2004
◎ 민석홍, 『서양사개론』, 삼영사, 1997
키워드
추천자료
페루의 현황
'유럽혁명 지배와 정복의 역사' 를 읽고
징기스칸,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전략과 글로벌화 전략
라틴아메리카의 건축
멕시코의 이민
사회복지법제론- 복지국가란
영상으로 보는 서양 문화사
[도미니카공화국의 역사][도미니카공화국의 수도][도미니카공화국의 가볼만한 곳][도미니카공...
신대륙발견에 대한 논증
북아메리카의 식문화
라틴아메리카(중남미)의 개념, 라틴아메리카(중남미)의 지역별 분류, 라틴아메리카(중남미)의...
콜럼버스가 서쪽으로 간 까닭은 서평
[발명공작활동, 발상기법]발명공작활동의 의의, 발명공작활동의 필요성, 발명공작활동의 발상...
중국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