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Page 3
◆ 유래 및 역사 ·································································································· Page 3 - Page 4
◆ 장비 종류 ········································································································· Page 4 - Page 7
◆ 장비를 착용한 예 ························································································· Page 7
◆ 다이빙 기술 ···································································································· Page 8
- 입수 하강법 ······························································································ Page 8
- 출수 상승법 ······························································································ Page 8
◆ 안전한 다이빙을 위한 고려사항 ··························································· Page 8 - Page 9
- 다이빙 전 고려사항 ·············································································· Page 8 - Page 9
- 다이빙 시 고려사항 ·············································································· Page 9
- 다이빙 당일의 혈당 조절 ··································································· Page 9
◆ 수중대화법 ······································································································· Page 10
◆ 참고문헌 ············································································································ Page 11
◆ 유래 및 역사 ·································································································· Page 3 - Page 4
◆ 장비 종류 ········································································································· Page 4 - Page 7
◆ 장비를 착용한 예 ························································································· Page 7
◆ 다이빙 기술 ···································································································· Page 8
- 입수 하강법 ······························································································ Page 8
- 출수 상승법 ······························································································ Page 8
◆ 안전한 다이빙을 위한 고려사항 ··························································· Page 8 - Page 9
- 다이빙 전 고려사항 ·············································································· Page 8 - Page 9
- 다이빙 시 고려사항 ·············································································· Page 9
- 다이빙 당일의 혈당 조절 ··································································· Page 9
◆ 수중대화법 ······································································································· Page 10
◆ 참고문헌 ············································································································ Page 11
본문내용
조절하여 입까지 보내 주는 장비로 레귤레이터라 한다.
아날로그 게이지
- 수심계 : 수압을 이용해 얼마나 깊이 들어갔는가의 수심을 나타내는 계기
- 잔압계 : 공기통에 공기량이 얼마나 있는가를 나타내는 계기
- 나침반 : 수중에서는 어느 방향으로 가는가를 알 수 있는 계 기
컴퓨터 게이지
아날로그 게이지보다 훨씬 진보된 기능을 갖춘 것으로 다이빙 의 전과정을 자동으로 체크하여 데이터를 만들 수 있는 인체공 학적 장비이다. 즉 잠수장비, 잠수시간, 휴식시간, 감압필요 여 부, 상승속도 경보, 잠수 후 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많이 선호하는 추세이다.
부력조절기
구명조끼와 비슷하게 생기고 공기를 넣다 뺏다 할 수 있는공 공기주머니가 있어 수중 또는 수면에서 부력을 조절한다. 또 공기통을 맬 수있는 등판역할도 겸한다.
탱크
물속에서 숨쉬기 위해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해서 저장하는 통 으로 재질은 합금 알루미늄과 합금강청 두가지이다.
신발 (Boots)
보온효과 외에도 갯바위나 조개껍질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해 변에서 자유롭게 활동하기 위해 필요하다.
납벨트
잠수하기 위해서 잠수복이 받는 부력만한 무게의 납벨트를 만 들어 허리에 차는 것
◆ 장비를 착용한 예
◆ 다이빙 기술
입수 하강법
1. 부력 조절기에 약 1/3 정도 공기를 넣고 착용한다. 부력조절기를 호흡이 답답하지 않을 정도로 바짝 조인다. 부력조절기에 공기를 넣고 빼어 부력을 조절할 때 가장 빠르고 예 민하게 부력 조절한 결과가 나타나게 하려면, 부력조절기를 바짝 조여 착용하여야 한다.
2. 물에 들어가 스노클이나 호흡기를 물고서 수면에 떠 있는다.
3. 호흡기를 물고서, 부력조절기에서 공기를 완전히 빼낸다. 오른손으로는 부력조절기를 잡 아 조이면서, 왼손으로 공기를 배출시킨다.
4. 공기가 빠져나가 헐렁해진 부력조절기를 호흡이 답답하지 않을 정도로 다시 바짝 조여 착용한다.
5. 호흡을 완전히 뱉는다. 이 때 천천히 하강하기 시작한다.
6. 2미터에서 3미터 정도 내려가면 호흡을 천천히 시작한다. 이 정도 하강하면, 잠수복이 어느 정도 압착되어 약간의 음성부력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7. 하강이 진행되는 동안 부력조절기의 급기 밸브에 손을 대고 있는데, 하강속도가 빨라지 지 않도록 다리를 벌린 자세로 핀으로 저항을 만들어 하강 속도를 제어하면서 부력조절 기에 약간씩 공기를 주입한다.
8. 목적 수심에 도달하면, 잠수복과 재킷 안의 공기가 압착되어 부력조절구가 헐렁해지므로 다시 부력조절기를 조이고 부력조절기에 공기를 주입하여 중성부력을 맞춘다. 이렇게 하 면상당한 수심 범위에서도 본인의 폐로 부력을 조절하면서 잠수 할 수 있다.
상승 출수법
1. 출수할 것을 결정하면 게이지(수심계, 잔압계)를 확인하면서, 부력조절기의 밸기밸브를 잡고 상승을 준비한다.
2. 핀 킥을 하면서 서서히 상승한다. 이 때 부력을 이용하지 않고 핀 킥으로 상승하는 것이 중요한데, 부력조절기 속의 공기가 팽창하면서 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어깨 높이 정도에 서 배기밸브를 열어준다.
3. 감압 수심에 도달하면 본인이 폐나 부력조절기를 이용하여 중성부력을 맞추고 감압한 다.(스포츠 다이빙에서는 감압잠수를 권하고 있지 않다. 부득이한 경우를 가정하여 감압 할 필요가 있을 때에 이와 같이 한다.)
4. 안전감압을 위하여 수심 6미터 범위까지 상승하여 본인의 폐로 중성 부력을 맞추고 안전 정지한다. 최소 적정 웨이트 무게를 결정하여 착용하였다면, 폐만으로 또는 약간의 공기 주입만으로 중성부력 조절이 가능하나, 과잉으로 결정되었다면 부력조절기에 공기를 주 입하여야 한다.
5. 상승하여 수면에 도달하면 바로 부력 조절기에 공기를 주입하고, 가슴이 답답하지 않도 록 부력조절기를 헐겁게 한다.
◆ 안전한 다이빙을 위한 고려사항
다이빙 전 고려사항
- 18세 이상(특별한 프로그램 참가시 16세 이상)
- 다음의 경우 기한까지 연기
인슐린 요법 시작 후 1년 경과 요망
경구용 혈당 강하제(OHA) 복용 3개월 경과 요망
- 최소 1년 이내에 제 3자에 의해 처치가 필요한 혈당 쇼크 상황이 없었을 것
- 본인이 모른 상태의 저혈당 쇼크 병력이 없었을 것
- 주요한 합병증이 없을 것
- 내과/당뇨 전문의의 연간 검진결과가 있어야 하고, 희망자가 질병에 대한 높은 이해와 운동의 효과를 알아야 함
필요시 다이빙 의학 전문가에게 상담
- 40세 이상의 환자에 대한 급격한 빈혈 여부 평가
최초 평가 이후 정기적인 평가가 기준에 부합해야 함
- 희망자가 당뇨환자를 위한 절차를 준수하고 문제발생시 다이빙을 그만두려는 의도가 있 어야 함
- 당뇨환자에게 있어 다이빙과 관련되어 발생 가능한 의학적 결과들을 찾아봐야 함
다이빙 시 고려사항
- 수심 30m, 60분을 넘기지 말고 반드시 감압정지할 것
- 수중 상황은 저혈당을 촉진할 수 있음을 주지할 것(추위, 힘듬)
- 버디나 리더는 다이버의 상태와 문제 조치 방법을 알아야 하고, 버디는 당뇨환자가 아니 어야 함
다이빙 당일의 혈당 조절
- 일반적인 자가 검진
- 입수 전 150ml/dl 이상에서 안정적이거나 상승추세에 있어야 함(150ml/dl 이하, 300ml/dl 이상이면 연기)
- 입수전 사전 혈당테스트를 최소 3회 실시할 것(입수 60분, 30분, 직전)
다이빙 전일 저녁에 경구용 혈당 강하제나 인슐린 복용은 도움이 됨
- 구호용 약품
모든 다이빙 중 예비 경구 용 글루코스를 휴대할 것
비 경구용 글루카곤을 수면(보트, 해안 등)에 준비할 것
- 수중에서 저혈당 쇼크 발생시 버디와 함께 상승하여 글루코스를 섭취하고 퇴수할 것
- 다이빙 후 12~15시간 까지 종종 혈당을 체크할 것
- 다이빙 일 적절한 수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할 것
- 혈당 테스트 결과를 포함하여 당뇨병 관리에 필요한 모든 다이빙을 기록할 것
◆ 수중대화법
◆ 참고문헌
1. http://www.kuda.or.kr (한국잠수협회)
2. http://www.seafriend.net
3. http://cafe.naver.com/scubajang
4. http://wdive.com
아날로그 게이지
- 수심계 : 수압을 이용해 얼마나 깊이 들어갔는가의 수심을 나타내는 계기
- 잔압계 : 공기통에 공기량이 얼마나 있는가를 나타내는 계기
- 나침반 : 수중에서는 어느 방향으로 가는가를 알 수 있는 계 기
컴퓨터 게이지
아날로그 게이지보다 훨씬 진보된 기능을 갖춘 것으로 다이빙 의 전과정을 자동으로 체크하여 데이터를 만들 수 있는 인체공 학적 장비이다. 즉 잠수장비, 잠수시간, 휴식시간, 감압필요 여 부, 상승속도 경보, 잠수 후 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많이 선호하는 추세이다.
부력조절기
구명조끼와 비슷하게 생기고 공기를 넣다 뺏다 할 수 있는공 공기주머니가 있어 수중 또는 수면에서 부력을 조절한다. 또 공기통을 맬 수있는 등판역할도 겸한다.
탱크
물속에서 숨쉬기 위해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해서 저장하는 통 으로 재질은 합금 알루미늄과 합금강청 두가지이다.
신발 (Boots)
보온효과 외에도 갯바위나 조개껍질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해 변에서 자유롭게 활동하기 위해 필요하다.
납벨트
잠수하기 위해서 잠수복이 받는 부력만한 무게의 납벨트를 만 들어 허리에 차는 것
◆ 장비를 착용한 예
◆ 다이빙 기술
입수 하강법
1. 부력 조절기에 약 1/3 정도 공기를 넣고 착용한다. 부력조절기를 호흡이 답답하지 않을 정도로 바짝 조인다. 부력조절기에 공기를 넣고 빼어 부력을 조절할 때 가장 빠르고 예 민하게 부력 조절한 결과가 나타나게 하려면, 부력조절기를 바짝 조여 착용하여야 한다.
2. 물에 들어가 스노클이나 호흡기를 물고서 수면에 떠 있는다.
3. 호흡기를 물고서, 부력조절기에서 공기를 완전히 빼낸다. 오른손으로는 부력조절기를 잡 아 조이면서, 왼손으로 공기를 배출시킨다.
4. 공기가 빠져나가 헐렁해진 부력조절기를 호흡이 답답하지 않을 정도로 다시 바짝 조여 착용한다.
5. 호흡을 완전히 뱉는다. 이 때 천천히 하강하기 시작한다.
6. 2미터에서 3미터 정도 내려가면 호흡을 천천히 시작한다. 이 정도 하강하면, 잠수복이 어느 정도 압착되어 약간의 음성부력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7. 하강이 진행되는 동안 부력조절기의 급기 밸브에 손을 대고 있는데, 하강속도가 빨라지 지 않도록 다리를 벌린 자세로 핀으로 저항을 만들어 하강 속도를 제어하면서 부력조절 기에 약간씩 공기를 주입한다.
8. 목적 수심에 도달하면, 잠수복과 재킷 안의 공기가 압착되어 부력조절구가 헐렁해지므로 다시 부력조절기를 조이고 부력조절기에 공기를 주입하여 중성부력을 맞춘다. 이렇게 하 면상당한 수심 범위에서도 본인의 폐로 부력을 조절하면서 잠수 할 수 있다.
상승 출수법
1. 출수할 것을 결정하면 게이지(수심계, 잔압계)를 확인하면서, 부력조절기의 밸기밸브를 잡고 상승을 준비한다.
2. 핀 킥을 하면서 서서히 상승한다. 이 때 부력을 이용하지 않고 핀 킥으로 상승하는 것이 중요한데, 부력조절기 속의 공기가 팽창하면서 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어깨 높이 정도에 서 배기밸브를 열어준다.
3. 감압 수심에 도달하면 본인이 폐나 부력조절기를 이용하여 중성부력을 맞추고 감압한 다.(스포츠 다이빙에서는 감압잠수를 권하고 있지 않다. 부득이한 경우를 가정하여 감압 할 필요가 있을 때에 이와 같이 한다.)
4. 안전감압을 위하여 수심 6미터 범위까지 상승하여 본인의 폐로 중성 부력을 맞추고 안전 정지한다. 최소 적정 웨이트 무게를 결정하여 착용하였다면, 폐만으로 또는 약간의 공기 주입만으로 중성부력 조절이 가능하나, 과잉으로 결정되었다면 부력조절기에 공기를 주 입하여야 한다.
5. 상승하여 수면에 도달하면 바로 부력 조절기에 공기를 주입하고, 가슴이 답답하지 않도 록 부력조절기를 헐겁게 한다.
◆ 안전한 다이빙을 위한 고려사항
다이빙 전 고려사항
- 18세 이상(특별한 프로그램 참가시 16세 이상)
- 다음의 경우 기한까지 연기
인슐린 요법 시작 후 1년 경과 요망
경구용 혈당 강하제(OHA) 복용 3개월 경과 요망
- 최소 1년 이내에 제 3자에 의해 처치가 필요한 혈당 쇼크 상황이 없었을 것
- 본인이 모른 상태의 저혈당 쇼크 병력이 없었을 것
- 주요한 합병증이 없을 것
- 내과/당뇨 전문의의 연간 검진결과가 있어야 하고, 희망자가 질병에 대한 높은 이해와 운동의 효과를 알아야 함
필요시 다이빙 의학 전문가에게 상담
- 40세 이상의 환자에 대한 급격한 빈혈 여부 평가
최초 평가 이후 정기적인 평가가 기준에 부합해야 함
- 희망자가 당뇨환자를 위한 절차를 준수하고 문제발생시 다이빙을 그만두려는 의도가 있 어야 함
- 당뇨환자에게 있어 다이빙과 관련되어 발생 가능한 의학적 결과들을 찾아봐야 함
다이빙 시 고려사항
- 수심 30m, 60분을 넘기지 말고 반드시 감압정지할 것
- 수중 상황은 저혈당을 촉진할 수 있음을 주지할 것(추위, 힘듬)
- 버디나 리더는 다이버의 상태와 문제 조치 방법을 알아야 하고, 버디는 당뇨환자가 아니 어야 함
다이빙 당일의 혈당 조절
- 일반적인 자가 검진
- 입수 전 150ml/dl 이상에서 안정적이거나 상승추세에 있어야 함(150ml/dl 이하, 300ml/dl 이상이면 연기)
- 입수전 사전 혈당테스트를 최소 3회 실시할 것(입수 60분, 30분, 직전)
다이빙 전일 저녁에 경구용 혈당 강하제나 인슐린 복용은 도움이 됨
- 구호용 약품
모든 다이빙 중 예비 경구 용 글루코스를 휴대할 것
비 경구용 글루카곤을 수면(보트, 해안 등)에 준비할 것
- 수중에서 저혈당 쇼크 발생시 버디와 함께 상승하여 글루코스를 섭취하고 퇴수할 것
- 다이빙 후 12~15시간 까지 종종 혈당을 체크할 것
- 다이빙 일 적절한 수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할 것
- 혈당 테스트 결과를 포함하여 당뇨병 관리에 필요한 모든 다이빙을 기록할 것
◆ 수중대화법
◆ 참고문헌
1. http://www.kuda.or.kr (한국잠수협회)
2. http://www.seafriend.net
3. http://cafe.naver.com/scubajang
4. http://wdiv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