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실 실습] 정상 분만(NSVD), 흡입 분만(Vaccum delivery) 케이스 스터디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만실 실습] 정상 분만(NSVD), 흡입 분만(Vaccum delivery) 케이스 스터디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산부 간호 사정
a. 개인력
b. 입원시 간호사정
c. 임신력
d. 과거 질병력
e. 산과력
f. 분만 제 1기
g. 분만 제 2기
h. 분만 제 3기

2) 문헌고찰
산부간호
1. 분만 영향 요소
2. 분만 생리
3. 분만 간호
4. 분만 통증 완화법
5. 고위험 분만
6. 분만 관련 합병증
7. 인위적 분만 방법

3) 투약

4) 특수치료 및 검사
(1) 임상병리검사
(2) chest P-A
(3) EKG
(4) Amniocentesis
(5) NST(non-stress test)

5) 간호과정
(1) 분만진행과 관련된 통증
(2) 부적절한 산모체위와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본문내용

진입되었거나 파막이 되지 않았을 때
③ 옥시토신의 정맥투입: 강한고 규칙적인 자궁수축/자궁경관소실, 개대의 진행 및 태아하강을 촉진
④ 직장관장: 자궁수축을 자극
2) 조기분만
: 조기분만은 임신 20주 이후 37주 이전에 분만하는 것을 말함.
(1) 원인
- 50%는 원인을 잘 알 수 없으나 약 1/3분만은 조기파수 후에 발생.
① 모체의 인구학적 요소
- 연령(20세 이하 40세 이상). 흡연. 코카인, 심리적 스트레스, 피로, 장시간의 근무
② 모체의 신체적 질환
- 당뇨, 고혈압, 무증후성 세균뇨(bacturia)등의 감염
③ 산과적 이상이 있을때
- 양수 과다증, 다태임신과 같은 자궁의 과도신장, 자궁의 기형, 조산력, 자궁의 수축력
④ 태아의 기형이 있을때
(2) 간호관리
<임신 중 간호>
- 치료전 EKG를 찍도록
- 치료 중에는 왼쪽으로 누운 자세를 유지
- 태아 감시기를 이용하여 계속적으로 자궁수축 상태와 태아심박동 사정
- 활력증후측정 : 10~15분 간격으로 혈압과 맥박을 측정하여 빈맥이나 저혈압 증세가 있으면 의사에게 알림
- 적절한 수분공급 : 2500ml/일의 수분 공급
- 혈액 검사물 채취: 3~6시간마다 혈당, 칼륨, 이산화탄소, 나트륨, 혈색소치를 사정
- Propranolol 준비: 의사에 처방에 따라 저혈압이 있을 때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5분간격으로 0.25mg씩 정맥투여
<분만 시 간호>
① 분만과정
- 조산이 확실하면 보육기 간호가 가능한 병원으로 보내는 것이 안전
- 조산분만의 증세가 처음 나타나면 절대 안정시켜 파수되지 않도록
- 파수되면 내진하여 제대탈출 유무를 확인
- 미숙아 태아에게 호흡곤란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진통제 사용은 신중히
- 분만 2기 단축과 아두 보호를 위해 회음절개 필수적
- 미숙아일 경우 특히 제대혈액이 신생아에게 많이 보내지는 것은 황달의 요인이 되기 쉬우므로 일찍 혈관겸자로 잡아주기
- 출혈을 예방하도록 Vit.K 1mg을 근육주사
② 조산아의 유의점
- 생후 4일까지는 호흡기 문제, 생후 1주일 까지는 황달 문제, 그 이후 20일까지는 균감염 문제에 유의
③ 조산아 간호
- 정상아보다 두개의 발달이 불완전하여 산도를 통과할 때 압박을 받지 않도록 특히 유의
- 계속 흡인기와 산소를 준바하고 보육기를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
- 체온조절 위해 따뜻한 물주머니, 백열등을 준비하고 보육기가 없을 때는 실내온도 24~30도 습도 60~70%유지와 청결에 유의
- 체위를 자주 변경시켜주고 24시간 계속 활력증세를 관찰
- 젖을 빠는 능력이나 연하의 부족을 고려하여 출생 2시간 이후부터 수유를 시작하고 못 빨면 정맥영양이나 위관 영양을 시도.
(3) Tocolytic therapy (분만억제제 투여)
- 분만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물을 분만 억제제라고 함.
- Ethanol, Vasodilan, Magnesium Sulfate 등이 사용되며 Ritodrine hydrochloride이 가장 흔히 사용
- 전제조건 : 양수 파막이 되지 않았고 경관개대 4cm이하 경관거상 50%이하이며 자궁 수축이 20분에 3~4회 정도로 강하지 않을때
3) 과숙아 분만
: 42주 이상이 되어 태어나는 신생아
(1) 원인
① 월경주기가 긴 여성의 경우(40-45일)
② 살리실산염을 다량 사용하는 여성
: 분만시작과 관계되는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 방해
(2) 임신 시 간호
① 양수천자를 통해 태아 폐의 성숙도를 평가
② 24시간 소변채취를 하여 에스트리올치를 검사
③ 무자극 검사 실시
④ 초음파 촬영 시 태아의 대횡경이 만산 크기이면 분만 유도
(3) 분만 시 간호
① 산부의 분만준비 상태 : 자궁경관 상태등을 Bishop점수로 확인하는 것 필요 - 점수 높을수록 유도분만 가능성 높음.
② 유도분만 : 자궁경관 연화 방법, 프로스타글란딘 E2가 많이 사용됨, 양막 분리, 인위적 양막 파열, 옥시토신 사용
(4) 과숙아 간호
① 수분부족으로 인해 건조하고 갈라진 피부에 태지가 없음
② 체중 적게나가고 손톱이 잘 자라있음
③ 분만 시 태변착색, 정상보다 양수량 적음
④ 태변흡인으로 분만 시 호흡이 어려움, 출생 후 몇 시간 동안 저혈당증
⑤ 체온조절이 어려움 : 4-5세까지 지속적으로 추후검진 받을 필요 있음.
6. 분만관련 합병증
1) 다태임신 문제점과 간호관리
▷다태임신 문제점
① 자궁팽만으로 자궁근이 신전되어 분만 시 흔히 저긴장성 자궁수축 형태 보임
② 분만유도와 관련된 위험
③ 자궁근 이완 및 무력감으로 인해 산후출혈 빈도 5배 증가
④ 감염성 합병증 5배 증가
⑤ 가장 흔한 주산기 사망요인
⑥ 조산과 동반된 조기파막
▷간호관리
① 활력징후를 면밀히 평가
② 임신성고혈압(다태임신의 흔한 합병증), 부종, 단백뇨가 나타나는지 지속적이 평가
2) 제대탈출 간호중재
① 산모는 슬흉위, 트렌델렌버그, 좌측위를 취해주고 베개를 이용하여 허리를 높여준다.
② 손을 질 속으로 삽입하여 선진부위를 위로 올려서 제대를 압박하지 않도록 분리시킨다
③ 지속적으로 태아 심음을 사정한다.
④ 탈출된 제대는 다시 삽입하지 않고 따뜻한 생리식염수 거즈로 덮어 습기를 유지한다
3) 조기파막/ 만삭전 조기파막 간호중재
▷조기파막 간호중재
① 24시간 이내에 분만이 시작되므로 분만 준비
② 조기파막 후 감염이 잘 되므로 자궁 내 감염의 기회를 줄이기 위해 내진 금지
③ 감염증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태아의 빈맥, 산부의 체온상승, 악취하는 질 분비물 관찰
▷만삭전 조기파막 간호중재
① vital check 자주시행(호흡과 맥박의 상승이 체온상승보다 중요)
② 태아전자감시(태아심음의 사정은 융모약막염 암시, 종종 산부 체온상승 전에 발생)
③ 융모양막염의 증상과 징후 관찰(오한, 발연, 자궁압통, 악취나는 양수, 농성 질 분비물, WBC증가)
4)양수과다/양수과소 간호중재
① 보행금지 ② 파막전 옥시토신주입 금기
▷양수과다 : 산후출혈 발생 가능성 有, 파막후 자궁수축제 투여 준비
▷양수과소 : 유도분만 준비, 양막내 양수주입(태반조기박리 의심, 급성태아질식, 아두가 경부에 단단히 고정, 자궁내압을 측정할수 없을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2.05.21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80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