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발달8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인성발달 이론

1. Freud의 심리성적 이론

2. 정서적 발달

3. 기질 : 인성의 기초

4. 애착발달

5. 사회적 발달

본문내용

학습 기회 제한되고 성취감을 느낄 기회 적고 환경 통제력을 갖지 못해 두려움 / 분노 등 부정 정서 표현이 많고 안정 애착아는 어휘력이 높아지고 사교적이어서 긍정 상호 작용을 많이 하게 됨
애착 관계 질은 이 후 성장 발달에도 장기적 영향을 미쳐 안정 애착아는 또래 관계 / 인지 능력 발달하고 불안정 애착아는 행동 억제 / 부정적 정서문제 / 적대감 / 의존성이 나타나 초기 애착관계 질의 중요성 시사
5. 사회적 발달
1. 자아의 발달
영아 - 양육자 상호작용이나 인지발달과 더불어 자신을 분리된 개체로 인식하는 한편 걸음마기 동안 자아 인식 & 자아 정의 발달
1. Marhler의 분리 - 개별화 이론
영아 - 어머니 간 관계 질은 생 후 2 년 경의 자의식 기초 마련
생 후 2 개월 경 자신과 환경의 관계를 인식 못하는 공생관계를 보이는데 양육자 반응으로 자아발달 기초가 됨
4 ~ 5 개월부터 분리 - 개별화가 일어나자신과 주위를 분리해 이해하고 활동을 할수록 양육자의 정서적 지지를 받아 독립된 개체로 발달
2. 자아인식의 출현
생 후 2 년 쯤 자신의 모습을 상으로 정확히 인식하는 자아인식 나타남(거울 -> 코, 루즈)
3. 자아에 대한 정의
말을 시작하면 자아인식에서 자아 정의로 진보된 개념을 가져 자신을 말로 표현해 분명하고 정교한 자아 개념 가짐(언어적 자아)
내 것 강조를 시작해 관계 대명사를 사용하기 시작하고 행동 / 능력 묘사하는 말을 사용하는 방향으로 자신에 대한 지식 넓힘
자신에 대한 사랑 수용, 가치감인 자아 존중감은자아개념에 기초를 둔 자기 가치평가(긍정적 자아 개념일수록 높은 자아 존중감 가짐)
자아존중감이나 자아가치감은 영아 스스로가 착하다고 느끼고 부모를 기쁘게 한다는 생각이 들 때 생김
2. 자아통제력의 출현
자아통제란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행동을 하려는 충동을 억제하는 능력(도덕적 행동을 위한 필수 요소)
자아 인식은 자아 통제력의 기초가 되는데 스스로 자신행동을 지시하는 독립개체로 인식이 되야 가능하며 더불어 양육자 지시 회상 가능한 인지적 표상능력과 기억 능력이 있어야 함
초기 모습은 12 ~ 18 개월 경 순종적 행동으로 나타남
유아기까지 꾸준히 향상되 언어능력 / 주의집중이 긴 영유아가 자아통제 잘하고 어머니가 반응적 / 지지적 경우 자아통제력 높음
걸음마기에는 규칙을 재차 기억하게 일러주어야 행동 통제 가능(애정적 태도 / 합리적 요구 / 부드러우나 단호하게 규칙을 지키게 요구하는 어머니 양육행동 중요)
3. 양육자 및 또래와의 상호작용
사회화 과정을 통해 한 사회에서 요구하는 특성을 배우고 타인과 적절한 관계를 유지하며 그 사회 기준에 부합되는 삶을 영위하는 사회인으로 자람
1. 양육자와의 상호작용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본이 되는 쳐다보기 / 말하기가 제한된 영아는 양육자와 상호작용이 사회적 발달에 영향을 미침
미소, 울음, 웃음 등 정서 표현은 의사소통 기능을 함으로써 양육자의 행동 이끔
어머니가 굳은 표정을 보이면 아기는 상호작용을 멈추고 지나친 자극을 주면 시선을 회피하므로 조화로운 상호 작용 또는 상호 작용의 질은 아기가 형성할 이후의 사회적 관계의 원형이 됨
영유아는 사람과 노는 놀이 / 대상놀이 / 상징놀이를 주로 하는데 양육자와 상호 작용 중 이루어지는 놀이는 사회화에서 중요한 과정으로 영아들은 놀이를 통해 사람과 상호 작용을 하는 기술을 연습 함
사람과 노는 놀이(까꿍, 따라잡기 놀이, 모방놀이, 아버지와 하는 신체적 놀이)응 아기에게 즐거움을 줄 뿐만 아니라 상호 작용이나 의사소통의 방법을 연습하는 기회가 됨
첫 1 년 동안 어른과 하는 놀이를 즐기다가 이후에는 어른의 지원을 받으며 독립적으로 놀다가 점차 또래관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
2. 또래와의 관계
생 후 2 개월 경 아기는 다른 아기를 쳐다보기 시작해 3 ~ 4 개월에는 다른 아기에게 손을 내밀거나 만지는데 이 때의 상호작용은 간단한 시도 / 반응
아기들 간 사회적 미소나 발성은 옹알이를 하는 6 개월 경에 나타나며 장소 이동이 가능해지면서 신체적 접촉을 시작함
생 후 1 년이 가까워지면 초보적인 서로 반응을 주고받는 행동을 함
14 ~ 18 개월에는 나란히 앉아 노는 병행놀이를 시작으로 18 개월 지나서는 서로 행동을 모방하거나 쫓아다니는 관계적인 행동보임
언어가 발달함에 따라 2 세에는 선호하는 놀이 친구가 생기고 점차 또래 간 상호작용 뚜렷해 짐
18 개월부터 시작된 혼자 하는 가상놀이는 3 세가 되면 여럿이 하는 사회적 가상놀이로 발전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6.17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41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