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생존을 위한 전략적 제휴를 통한 집단경쟁 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3강의 법칙(Rule of Three)’: 집단경쟁
 (1) 통신업계
 (2) 인터넷업계
 (3) 항공업계
 (4) 자동차업계
 (5) 제약업계 
 (6) 금융업계
2. 경쟁과 협력 게임

본문내용

겸업화를 자극하고 겸업화는 초대형합병을 부추키는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 이를테면 미국 케미칼뱅크와 체이스맨하탄과의 합병, 뱅크원과 시카고NBD와의 합병, 시티코프와 트래블러스의 합병, 네이션즈뱅크와 뱅크아메리카의 합병, 그리고 일본의 다이치 간교, 후지, 니혼고교은행 간의 합병, 스미토모와 사쿠라은행과의 합병 등이 좋은 본보기다. 유럽측에서도 경쟁상대국인 미국과 일본의 은행들이 합병으로 거대해지자 합병을 통한 외형확장에 대한 관심 고조되고 있는데, 네덜란드 ING가 영국의 베어링은행 인수, 독일 드레스너 은행과 클라이보르트벤슨과 합병, 스위스 UBS와 SBC의 합병 등이 그 예이다. 영국 중앙은행인 뱅크오브 잉글랜드는 현재 11개 대형은행을 ‘빅4’ 체제로 유도할 방침이다. 또한 독일의 도이체 뱅크와 미국의 뱅커스트러스트가 합병해 국경의 장벽을 넘어섰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나라의 국민은행과 주택은행의 합병도 우량기업간 연합으로서 메가 게임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이번 합병으로 총 자산 1백 80조원의 세계 60위권 은행으로 발돋움하였다.
2. 경쟁과 협력 게임
과거에는 기업들이 전략수립시 경쟁기업과의 경쟁에 초점을 맞추었다. 즉 어떻게 하면 경쟁자를 물리치고 자신의 이익 극대화를 이룰 것인가 하는 제로섬(zero-sum) 게임에 몰입하였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경쟁 환경의 변화로 경쟁기업과 경쟁과 협력을 동시에 고려해야만 하는, 즉 경쟁기업과 공생공존을 도모하는 새로운 경쟁 패러다임의 승승(win-win) 게임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경쟁기업과의 협력을 경쟁전략의 일환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협력을 통해 자신의 약점을 보완하고, 위험을 공유하고, 파트너로부터 지식을 전수 받아 경쟁우위를 높일 수 있어야 한다. 문제는 결혼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결혼하여 잘 사는 것이 중요하듯이, 기업간 협력에서도 협력관계를 맺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협력관계를 잘 이끌고 갈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즉 파트너쉽 구축이 중요한데 무엇보다도 관계기업간 신뢰 조성이 제일 중요하고 실제 운영에 있어서 책임자들은 공평성과 융통성을 발휘하여 그때그때 닥치는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상호 신뢰를 쌓고 공평성과 융통성 발휘를 위해서는 양측간 긴밀한 의사소통이 전제되어야만 하는데, 최근 정보네트워크시스템의 발달은 시간과 공간 제약 없이 언제라도 정보공유와 쌍방향 의사소통을 가능케 한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0.30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37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