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랑케 사학과 한국 근대사학의 성립
문헌고증사학
동빈 김상기 [金庠基, 1901~1977]
1. 생애
2. 『동학과 동학란』(1947)
4. 평가와 한계점
문헌고증사학
동빈 김상기 [金庠基, 1901~1977]
1. 생애
2. 『동학과 동학란』(1947)
4. 평가와 한계점
본문내용
점에서 보면 그의 연구는 방만하고 비체계적이며 뚜렷한 문제의식도 없는 박학에 불과한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실제 그를 이른바 실증사학자의 범주로 분류하며 평가하는 일부 논자들이 그에 대한 아쉬움을 표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인 것 같다. 하지만 그가 이룩한 연구업적을 그가 다룬 주제별로 분류해보면 그가 자신의 확고한 학문적 관심을 얼마나 일관되게 견지하였는가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그는 많은 사람들이 생존한 현재의 문제를 과감하게 역사학 연구의 대상으로 접근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그의 궁극적 목표가 불과 10년이 막 지난 3 1운동에서 동학의 후신인 천도교가 중심세력이 될 수 있었던 역사적 배경의 이해였다는 것은 동빈의 문제의식이 얼마나 현재적 삶의 관심에서 촉발되었는가를 잘 말해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