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학의 발전>( [한국역사입문]① 풀빛)
*전해종, 1973 <한국사를 어떻게 보는가>( [한국사의 반성] 신구문화사) 1. 1900 - 1945
1)민족주의 역사학
2)마르크스주의 역사학
3)문헌고증사학
2. 1945 -- 1950
1) 신민족주의 사학
2) 마르크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해였다는 것은 동빈의 문제의식이 얼마나 현재적 삶의 관심에서 촉발되었는가를 잘 말해준다. 랑케 사학과 한국 근대사학의 성립
문헌고증사학
동빈 김상기 [金庠基, 1901~1977]
1. 생애
2. 『동학과 동학란』(1947)
4. 평가와 한계점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2.1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학 ① 민족주의사학자 → 납북
② 사회경제사학(마르크스주의 역사학) → 월북
③ 실증사학(문헌고증사학)
▽ 사회경제사학
; 30년대 유입된 역사학, K. Marx의 역사학을 도입 - 박남운이청원김광진이북만
1) 박남운
「조선사회경제사」(1933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학사연구반/푸른역사/ 2003.6.12
·남북한 역사관의 비교/신형식/솔출판사/1993.11.01
·북한의 사회와 문화/전영선/역락출판사/2005.03.14 Ⅰ.서론
Ⅱ.본론
(1)북한의 역사관-주체사관의 등장을 중심으로
(2)남한의 역사관-문헌고증사학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10.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학에서 근대사학으로 전환하는 교량 역할을 하였고, 주관적정통론적시비학적인 사림의 역사편찬 체제의 한계를 뛰어넘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강역고>는 남인 실학자의 풍토중시 지리관으로 문헌비판과 고증을 통한 고대 강역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