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맹자의생애
2.맹자와 그의 시대
3.맹자의 사상
4.맹자의 의의
5.맹자의 사단
2.맹자와 그의 시대
3.맹자의 사상
4.맹자의 의의
5.맹자의 사단
본문내용
술에 참여한 것으로 보았다. 현재 학
술계에서는 사마천의 관점을 많이 채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편수문제에 대해서 사마천은 '
맹자'가 7편이라고 기록하고 있지만, '한서예문지'에서는 11편으로 기록하고 있다. 현존하
는 최초의 '맹자'에 대한 注는 조기의 '맹자조주'로, '맹자'를 '內書' 7편과 '外書' 4편으로
나누어 外書인 '性善辨', '文說', '孝經', '爲政' 4편은 내용에 깊이가 없고, 內篇의 내용과 어
울리지 않아 맹자가 지은 것이 아니라, 후세 사람들이 첨가한 부분으로 여겨 注를 달지 않
았다. 그 후 이 4편은 실전되어 버리고, 현재 전해지고 있는 '外書'는 明나라 姚士린의 僞
作으로 공인되고 있다.
'맹자'는 맹자사상을 연구하는 가장 중요한 자료로, 梁惠王, 公孫丑, 등문공, 離婁, 萬章,
告子, 盡心의 7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편은 상하로 나누어져 있고, 모두 261장(어떤 판
본은 260장)이다. 편명은 각 편 제1장의 몇 글자를 취하여 지어졌을 뿐, 깊은 뜻은 없다.
'맹자'에 드러나고 있는 주요한 사상으로는 성선설을 중심으로 하는 심성론과, 이 심성론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진 윤리사상, 仁政王道사상 등이다.
'맹자' 는 유가학파의 가장 중요한 저작 중의 하나이다. 서한의 文帝 때에 전문적인 傳
記박사를 둔 적이 있었고, 한나라로부터 당나라에 이르기까지 子部의 儒家類에 편입되어
있었다. 그러다가 송대부터 '맹자'의 지위는 격상되어 유가의 '십삼경' 중 하나로 인정받게
되었다. 그 후 남송의 주희에 이르러서는 '맹자'를 사서중의 하나로 편입시킴으로써, 명청
시대에는 지식인의 필독서가 되었다. 따라서 '맹자'가 중국과 동북아시아 사상과 문화에 끼
친 영향력은 쉽게 표현할 수 없을 만큼 막대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맹자'의 예리하고도
호방한 문장은 문학사에 있어서도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5. 맹자의 사단설(四端說):
사람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네 가지 마음씨.仁(인)에서 우러나오는 惻隱之心(측은지심): 남을 불쌍하게 여기는 타고난 착한 마음을 이르는 말.義(의)에서 우러나오는 羞惡之心(수오지심): 자기의 옳지 못함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옳지 못함을 미워하는 마음.禮(예)에서 우러나오는 辭讓之心(사양지심): 겸손하여 남에게 사양할 줄 아는 마음.智(지)에서 우러나오는 是非之心(시비지심): 옳음과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
술계에서는 사마천의 관점을 많이 채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편수문제에 대해서 사마천은 '
맹자'가 7편이라고 기록하고 있지만, '한서예문지'에서는 11편으로 기록하고 있다. 현존하
는 최초의 '맹자'에 대한 注는 조기의 '맹자조주'로, '맹자'를 '內書' 7편과 '外書' 4편으로
나누어 外書인 '性善辨', '文說', '孝經', '爲政' 4편은 내용에 깊이가 없고, 內篇의 내용과 어
울리지 않아 맹자가 지은 것이 아니라, 후세 사람들이 첨가한 부분으로 여겨 注를 달지 않
았다. 그 후 이 4편은 실전되어 버리고, 현재 전해지고 있는 '外書'는 明나라 姚士린의 僞
作으로 공인되고 있다.
'맹자'는 맹자사상을 연구하는 가장 중요한 자료로, 梁惠王, 公孫丑, 등문공, 離婁, 萬章,
告子, 盡心의 7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편은 상하로 나누어져 있고, 모두 261장(어떤 판
본은 260장)이다. 편명은 각 편 제1장의 몇 글자를 취하여 지어졌을 뿐, 깊은 뜻은 없다.
'맹자'에 드러나고 있는 주요한 사상으로는 성선설을 중심으로 하는 심성론과, 이 심성론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진 윤리사상, 仁政王道사상 등이다.
'맹자' 는 유가학파의 가장 중요한 저작 중의 하나이다. 서한의 文帝 때에 전문적인 傳
記박사를 둔 적이 있었고, 한나라로부터 당나라에 이르기까지 子部의 儒家類에 편입되어
있었다. 그러다가 송대부터 '맹자'의 지위는 격상되어 유가의 '십삼경' 중 하나로 인정받게
되었다. 그 후 남송의 주희에 이르러서는 '맹자'를 사서중의 하나로 편입시킴으로써, 명청
시대에는 지식인의 필독서가 되었다. 따라서 '맹자'가 중국과 동북아시아 사상과 문화에 끼
친 영향력은 쉽게 표현할 수 없을 만큼 막대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맹자'의 예리하고도
호방한 문장은 문학사에 있어서도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5. 맹자의 사단설(四端說):
사람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네 가지 마음씨.仁(인)에서 우러나오는 惻隱之心(측은지심): 남을 불쌍하게 여기는 타고난 착한 마음을 이르는 말.義(의)에서 우러나오는 羞惡之心(수오지심): 자기의 옳지 못함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옳지 못함을 미워하는 마음.禮(예)에서 우러나오는 辭讓之心(사양지심): 겸손하여 남에게 사양할 줄 아는 마음.智(지)에서 우러나오는 是非之心(시비지심): 옳음과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