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마르크스 주의
2. 마르크스 주의 철학
3. 사회의 구조
4. 소외론
5. 이데올로기론과 문화
2. 마르크스 주의 철학
3. 사회의 구조
4. 소외론
5. 이데올로기론과 문화
본문내용
에서 이데올로기는 구성원들의 의식을 지배함으로써 자본주의 사회의 억압 구조를 정당화하고 혁명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마르크스주의에서 이데올로기는 다분히 부정적 의미를 지닌 허위의식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실재를 왜곡하고 존재의 참된 물질적 조건을 은폐하는 근원으로 인식된다. 문화란 한편으로는 지난한 창조 과정의 산물인 예술품의 형태로 부각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이미 그 사회에 형성되어 있어서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삶에 대한 태도와 비슷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문화는 우리에게 ‘상식’ 으로 통하여 문화적 행위는 ‘당연한 행위’ 의 다른 표현이다. 이데올로기가 문화에 침투하는 것은 바로 이런 경로를 통해서다. 문화는 우리에게 제 2의 자연이다. 근본적으로 보자면 그것은 자연에 노동이 가해져서 만들어진 인공물이지만 자연과 함께 삶의 환경을 조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문화적 산물이다. 따라서 문화는 자연스럽게 다가오고 당연하게 보이며 또 상식으로 통한다. 이데올로기는 바로 이렇게 문화가 자연화되는 과정에서 작동한다. 다시 말해 문화를 또 다른 자연으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그렇기 위해서 이데올로기는 은폐된 채 작동되어야 하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