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활동한다. 교사가 유아의 역할에 따라 “울타리 안으로
들어와.”“울타리밖으로 나와.”“○○를 잡아.”“도망가”등의 언어적 신호를 준다.
6) 여우가 닭을 다 잡으면 다시 닭과 여우를 정하여 놀이를 반복한다.
⇒ 초반에는 한 가지 역할을 반복활동하고, 유아가 활동방법에 익숙해졌을 때에는 다른 역할을 맡을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나만의 특별한 점으로 별명짓기
활동영역 : 언어 집단구성 : 소집단
목 표 사회성 : 좋아하는 감정을 적절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언 어 : 모든 사람들이 들을 수 있도록 큰 소리로 명확하게 말한다.
활 동 방 법
1) 유아 1명을 뽑아서 유아의 특별한 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 다른 또래의 특별한 점을 교사가 이야기하면 교사의 말을 따라서 발표한다.
2) 특별한 점을 살려 긍정적인 별명을 짓는다.
예> 그리기를 좋아해요→화가 / 칼라믹스를 잘해요 → 믹스선생님 / 보조개가 있어요 → 보조개공주님
⇒ 유아가 좋아하는 또래의 특별한 점을 이야기해여 적극적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3) 자신의 별명을 명찰에 쓴다.
⇒ 별명을 글자대신에 그림으로 표현한다.
밑글자를 주면 따라쓰거나 보고 쓴다.
유아가 좋아하는 모양이나 색깔의 명찰을 선택한다.
또래가 유아의 별명을 써주면 유아는 명찰을 꾸민다.
4) 명찰을 달면 다른 유아들이 그 유아의 이름 대신에 별명으로 부른다.
⇒ 지어진 별명을 교사와 또래들이 의도적으로 여러번 불러주어 유아가 별명을 인식하고 반응하도록 한다.
* 참고문헌
조윤경,홍은주(2005). 장애유아통합프로그램의 실제. 서울 : 창지사.
3.현재의 문제점과 방향제시
1)문제점
장애아 보육에 대한 지식부족이 가장 큰 어려움
장애아 통합에 대한 부모의 태도나 장애아 부모와 비 장애아 부모간의
관계도 통합교육을 성공적으로 실행하는데 간과할 수 없는 요소 임
*장애아 통합보육은 장애아에 대한 인식이 아직까지는 긍정적인 작용에 대해 부족함
2)방향제시
① 통합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유아들의 장애 유형이 다양하기 때문에 장애 유형과 장애 정도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 → IQ 50~70 수준
②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비율을 고려해야 한다.
→ 장애아 <일반아 - 다양한 배려, 상호작용 할 기회를 많이 주기 위해서
③ 통합의 적절한 시기를 고려하는 것.
※ 부모교육을 통해 일반아동 부모에게 통합교육의 효과를 알리며(사례 중심으로) 편견을 버리도록 이해를 돕는다
들어와.”“울타리밖으로 나와.”“○○를 잡아.”“도망가”등의 언어적 신호를 준다.
6) 여우가 닭을 다 잡으면 다시 닭과 여우를 정하여 놀이를 반복한다.
⇒ 초반에는 한 가지 역할을 반복활동하고, 유아가 활동방법에 익숙해졌을 때에는 다른 역할을 맡을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나만의 특별한 점으로 별명짓기
활동영역 : 언어 집단구성 : 소집단
목 표 사회성 : 좋아하는 감정을 적절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언 어 : 모든 사람들이 들을 수 있도록 큰 소리로 명확하게 말한다.
활 동 방 법
1) 유아 1명을 뽑아서 유아의 특별한 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 다른 또래의 특별한 점을 교사가 이야기하면 교사의 말을 따라서 발표한다.
2) 특별한 점을 살려 긍정적인 별명을 짓는다.
예> 그리기를 좋아해요→화가 / 칼라믹스를 잘해요 → 믹스선생님 / 보조개가 있어요 → 보조개공주님
⇒ 유아가 좋아하는 또래의 특별한 점을 이야기해여 적극적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3) 자신의 별명을 명찰에 쓴다.
⇒ 별명을 글자대신에 그림으로 표현한다.
밑글자를 주면 따라쓰거나 보고 쓴다.
유아가 좋아하는 모양이나 색깔의 명찰을 선택한다.
또래가 유아의 별명을 써주면 유아는 명찰을 꾸민다.
4) 명찰을 달면 다른 유아들이 그 유아의 이름 대신에 별명으로 부른다.
⇒ 지어진 별명을 교사와 또래들이 의도적으로 여러번 불러주어 유아가 별명을 인식하고 반응하도록 한다.
* 참고문헌
조윤경,홍은주(2005). 장애유아통합프로그램의 실제. 서울 : 창지사.
3.현재의 문제점과 방향제시
1)문제점
장애아 보육에 대한 지식부족이 가장 큰 어려움
장애아 통합에 대한 부모의 태도나 장애아 부모와 비 장애아 부모간의
관계도 통합교육을 성공적으로 실행하는데 간과할 수 없는 요소 임
*장애아 통합보육은 장애아에 대한 인식이 아직까지는 긍정적인 작용에 대해 부족함
2)방향제시
① 통합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유아들의 장애 유형이 다양하기 때문에 장애 유형과 장애 정도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 → IQ 50~70 수준
②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비율을 고려해야 한다.
→ 장애아 <일반아 - 다양한 배려, 상호작용 할 기회를 많이 주기 위해서
③ 통합의 적절한 시기를 고려하는 것.
※ 부모교육을 통해 일반아동 부모에게 통합교육의 효과를 알리며(사례 중심으로) 편견을 버리도록 이해를 돕는다
추천자료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대하여
특수교육이란
친구를 주제로 한 통합교육 구성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하여 논하시오.
장애인복지의 이념, 가치, 개념, 장애인복지의 특성, 장애인복지의 기본원칙, 장애인복지사업...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하여 논하시오
통합교과
신문활용수업(NIE, 신문활용교육)의 정의와 유형, 신문활용수업(NIE, 신문활용교육)의 역사와...
유아교수학습의 계획, 통합교육과정, 주제중심 통합교육
장애인의 재활과 사회통합방안
우리나라에서는 장애아동을 특수학교에서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학교에서 일반아동과 같...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진술
맞벌이가족을 위한 체험교육프로그램 - “패밀리가 떴다” (초등자녀를 둔 맞벌이 가족대상으로...
아동안전(교통안전, 화재안전, 가정안전 등)의 여러 주제와 형식을 참고로 하여‘아동을 위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