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 양인의 대부분 을 차지
② 노비(奴婢) :
ㄱ. 매매, 상속, 증여 가능
ㄴ. 부모 중 한쪽만 노비이면 자식도 노비가 됨
ㄷ. 노비 간의 소생은 어머니쪽 소유주에 귀속됨
ㄹ. 노비의 종류
○ 솔거(率居)노비(立役노비) -- 주인집 잡역에 종사
○ 외거(外居)노비(納貢노비) -- 주인에게 신공(身貢) 납부
☞ 외거 노비는 독립된 가계(家計)를 유지 하며 토지와 가옥 등을 소유할 수 있었으므로 양인 농민과 거의 비슷한 처지에 있었다
6) 무신 정권 시기에 일어난 농민, 천민의 봉기
① 배경 : 무신들의 가혹한 수탈, 하극상의 풍조
② 봉기 : 망이 망소이의 난(공주 명학소)(1176), 전주 관노(官奴)의 난(1172)
김사미의 난, 효심의 난(1193), 만적의 난(1198)
③ 의의 : 봉건적 지배 세력의 수탈에 대한 민중의 저항으로서신분 해방 운동의 성격도 띠고 있다.
④ 영향 : 무신정권은 무력 토벌과 회유를 겸하게 되는데, 이로써 향, 소, 부곡등 천민 집단이
일반 군현으로 승격하는 계기가 됨
※ 망이 망소이의 난 : (명학소 → 충순현)
7) 고려 사회에 있어서 신분 상승의 가능성
신라의 골품제 사회는 신분의 상승 이동이 불가능한 폐쇄적 사회였으나 고려 사회는 이에 비해 개방적 사회로 발전하였고, 사회 계층의 변동이 부단히 일어나고 있었다
① 지방 향리 ---(과거)---------------> 문반 관리
② 군인 ---(군공)---------------> 무신
③ 향, 소, 부곡 ---(신분 해방 운동)--------> 일반 군현
④ 외거 노비 ---(재산의 축적)----------> 양인
② 노비(奴婢) :
ㄱ. 매매, 상속, 증여 가능
ㄴ. 부모 중 한쪽만 노비이면 자식도 노비가 됨
ㄷ. 노비 간의 소생은 어머니쪽 소유주에 귀속됨
ㄹ. 노비의 종류
○ 솔거(率居)노비(立役노비) -- 주인집 잡역에 종사
○ 외거(外居)노비(納貢노비) -- 주인에게 신공(身貢) 납부
☞ 외거 노비는 독립된 가계(家計)를 유지 하며 토지와 가옥 등을 소유할 수 있었으므로 양인 농민과 거의 비슷한 처지에 있었다
6) 무신 정권 시기에 일어난 농민, 천민의 봉기
① 배경 : 무신들의 가혹한 수탈, 하극상의 풍조
② 봉기 : 망이 망소이의 난(공주 명학소)(1176), 전주 관노(官奴)의 난(1172)
김사미의 난, 효심의 난(1193), 만적의 난(1198)
③ 의의 : 봉건적 지배 세력의 수탈에 대한 민중의 저항으로서신분 해방 운동의 성격도 띠고 있다.
④ 영향 : 무신정권은 무력 토벌과 회유를 겸하게 되는데, 이로써 향, 소, 부곡등 천민 집단이
일반 군현으로 승격하는 계기가 됨
※ 망이 망소이의 난 : (명학소 → 충순현)
7) 고려 사회에 있어서 신분 상승의 가능성
신라의 골품제 사회는 신분의 상승 이동이 불가능한 폐쇄적 사회였으나 고려 사회는 이에 비해 개방적 사회로 발전하였고, 사회 계층의 변동이 부단히 일어나고 있었다
① 지방 향리 ---(과거)---------------> 문반 관리
② 군인 ---(군공)---------------> 무신
③ 향, 소, 부곡 ---(신분 해방 운동)--------> 일반 군현
④ 외거 노비 ---(재산의 축적)----------> 양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