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능이론
2. 갈등이론
3. 교육을 통한 사회평등 실현 가능성에 대한 기능이론에 대한 비판
4. 교육을 통한 사회평등 실현 가능성에 대한 갈등이론에 대한 비판
2. 갈등이론
3. 교육을 통한 사회평등 실현 가능성에 대한 기능이론에 대한 비판
4. 교육을 통한 사회평등 실현 가능성에 대한 갈등이론에 대한 비판
본문내용
관계에 적응해야만 하는 것으로 여겨서 인간은 자기의지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사회가 인간을 현재의 모습으로 만들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하여 너무나 사회화의 모델에 빠져있는 것을 보여준다. 그들은 학교내외에 존재하는 계급문화나 노동계급의 역동성, 여성해방 같은 복잡한 문제에는 관심을 두지 않아 이런 문제에 대한 이론화가 부족하다. 따라서 그들은 기능이론과는 약간의 차이를 가지지만 기능이론이 가지는 사회화의 내용을 근본적으로 부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들의 대응이론은 너무나 경제 결정론 적이어서 교육이 일어나고 있는 교육적 과정을 무시하여 교육의 결과와 사회적 위치와의 밀착된 관계만을 주시하고 있다. 또한 그들은 상부구조와 하부구조간의 서로의 관계와 재생산 여부에는 소홀히 한 점이 지적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