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공교육 정녕 무엇이 문제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공교육 정녕 무엇이 문제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Ⅰ
(1) 한국 공교육의 붕괴실태
3. 본론 Ⅱ
(1) 공교육 붕괴의 내적 원인
(2) 공교육 붕괴의 사회적 요인
4. 본론 Ⅲ
(1) 공교육의 위기에 대한 대안과 사례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우 폐교를 해야 하고 염철현, 「공교육의 위기와 학교 선택권의 확장 - Charter School과 Voucher Scheme을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39, 2001, p146.
, 교육이 경쟁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수하고 있지만, 정부의 개입 없이 학교의 자율성과 창의성에 기반한 운영으로 다양한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 제도를 무조건적으로 도입하기 보다는 법률제정 등을 통하여 단점을 보완하고 위험성을 최대한 고려하여 시행해야 할 것이다.
5. 결론
지금까지 공교육의 붕괴 실태를 내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그에 대한 대안과 해외사례를 제시해보았다. 교육은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 생활능력과 민주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함으로써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국가의 발전과 인류공영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에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대한민국 교육기본법 제 2조(교육이념)
하지만 이 이념에 반하여 오늘날 우리사회의 공교육 붕괴는 상당히 심각한 수준까지 와있으며 지켜져야 할 공공성이 훼손되고 있는 실정이다. 교사에 대한 학생의 역(易)폭력이 자행되고, 공교육이 사교육에 농락당하는 안타까운 현실은 제도적, 의식적 노력이 부재한 상황에서 악순환을 거듭할 것이다.
대한민국 교육기본법 제 4조에 의하면 모든 국민은 성별, 종교, 신념, 인종, 사회적 신분, 경제적 지위 또는 신체적 조건 등을 이유로 교육에서 차별을 받지 아니하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학습자가 평등하게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역 간의 교원 수급 등 교육 여건 격차를 최소화하는 시책을 마련하여 시행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처럼 모두가 행복하고 공정한 정의사회 구현을 위해 공교육은 정상화되고 내실화되어야 한다.
과연 오늘날 공교육은 공(公)교육인가? 공(空)교육인가? 전자가 되는가, 후자가 되는가는 우리의 손에 달렸다.
참 고 문 헌
김신혜(2009). 핀란드 교육제도와 교사교육제도.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14.
강무섭(1992). 입시위주 교육의 실상과 대책.
이용숙(1992). “교육 내용과 수업 방법 : 주입식 수업 실태와 원인”
김창식(1997). “위기의 교육 위기의 아이들” 인간과 자연사.
염철현(2001). 공교육의 위기와 학교 선택권의 확장 - Charter School과 Voucher Scheme을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39.
송석재(2004). 벌을 통한 도덕교육 고찰.
조병남(2010). 교사의 셀프 리더십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명희(2000). 변화하는 교육 패러다임과 인간상의 문제-한국교육의 탈맥락적 현실과 포스트모던적 재구성. 한국교육 사회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유상덕(2001). 공교육의 위기와 극복방안.
김용일(2006). 한국 공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 탐색.
신현석(2003).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학교와 정부의 역할
장형원(2008). 특집 :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 ; 해외교육 : 경쟁하지 않아요 괜찮아: 핀란드와 스웨덴의 중등 교육. 교육비평 Vol.24.
한국사회학 제 43집 5호(2009.10). 계급간 사교육비 지출 격차에 관한 연구.
이종태(2006). 교육의 공공성 개념의 재검토 - 공공성 논쟁의 분석과 개념의 명료화를 위한 논의
나병현(2002.12). 공교육의 의미와 교육의 공공성 문제.
연합뉴스(2010). 교사89% “체벌금지 후 교권 추락”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58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