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지방의회의 제도적, 법률적 권한
2. 지방의회의 의결권의 개념과 범위
3. 입법에 관한 권한: 조례제정권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지방의회의 제도적, 법률적 권한
2. 지방의회의 의결권의 개념과 범위
3. 입법에 관한 권한: 조례제정권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감시권을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예는 외국의 지방의회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우리나라와 지방의회 제도가 비슷한 일본에서도 지방의회는 특정한 업무에 대한 사무조사권과 서류나 계산서를 심사하고 열람할 수 있는 권한만을 가지고 있다. 지방의회가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감시권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에 시장·군수 등 단체장을 강력하게 감시하고 비판할 수 있다. 그러나 의회의 감시권이 잘못 행사되게 되면 행정이 마비되고, 감사와 조사가 의원들의 선거에 이용될 수 있으며, 집행기관이 의회의 힘에 꼼짝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우려된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99
참고문헌
이청수(2008), 「지방의회론」, 서울; (주)지오넥스 커뮤니케이션
하승수(2007), 「지역, 지방자치, 그리고 민주주의」, 서울; 후마니타스
참고문헌
이청수(2008), 「지방의회론」, 서울; (주)지오넥스 커뮤니케이션
하승수(2007), 「지역, 지방자치, 그리고 민주주의」, 서울; 후마니타스
추천자료
[지방자치법] 지방정치와 중앙정치의 비교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우리나라 선거구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지방정부와 지방의제21
지방의원의 역할
지방자치에서의 주민과 지방의원의 관계정립 방안
자치행정과 지역개발
지방의회의 지위와 권한 및 조직과 기능, 운영(진행, 사무)
[교육자치제]교육자치제(지방교육자치제도)의 가치와 변천과정, 교육자치제(지방교육자치제도...
지방자치단체장의 부패방지 방안 - 지방자치단체 감사제도를 중심으로
지방교육자치제도의 특징, 지방교육자치제도의 변천과정, 지방교육자치제도의 현황, 지방교육...
헌법상 권한쟁의심판에 있어 지방자치단체와 그 기관의 당사자능력의 문제
지방자치 레폿
한국 지방선거 정당 공천제의 문제점 과 개선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