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EBS 아기 성장 보고서 “언어습득의 비밀”
2. EBS 다큐프라임 “언어발달의 수수께끼 1부-아이는 어떻게 말을 배울까”
3. 아이가 언어발달이 늦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4. 아이의 언어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참고문헌
2. EBS 다큐프라임 “언어발달의 수수께끼 1부-아이는 어떻게 말을 배울까”
3. 아이가 언어발달이 늦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4. 아이의 언어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게 되는 것은 대략 생후 120일째부터이다. 130일경에는 눈의 보는 작용과 손의 쥐는 작용이 일치하여 확실하게 쥘 수 있게 되지만, 이때에도 아직 새끼손가락에서 중지까지만으로 물건을 잡는다. 따라서 물건을 쥐게 할 때는 새끼손가락 쪽에 봉을 집어넣어서 잡는 방법을 연습시키는 것이 좋다. 아이는 이렇게 손으로 쥔 장난감을 입으로 가져가서 곧잘 빨지만, 이처럼 완구를 빨면 손가락을 빨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아이가 손가락을 빨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아이의 손에 항상 장난감을 들려주고, 어머니가 아이를 안고 있을 때도 반드시 장난감을 갖고 있게 하는 것이 좋다. 생후 6개월이 지나도 손가락을 빠는 것은 아이와 놀아준 적이 적고 아이를 심심하게 한 적이 많다는 표시이다. 즉, 아이를 얼러주거나 웃게 하거나 혹은 기어다니게 하는 일이 많으면 아이는 손가락을 빨지 않는다.
2) 손놀림의 발달은 언어발달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아이가 물건을 쥘 때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에 힘이 들어가는 것은 10개월 무렵부터로, 이때야 비로소 아이는 엄지와 검지를 마주보게 해서 물건을 잡을 수 있다. 물건을 잡는 능력과 말을 하는 능력은 묘하게도 일치하는데, 대개 말을 못하는 장애아는 손으로 물건을 쥐는 능력이 매우 늦게 생기는 것이 보통이다. 엄지와 검지로 물건을 잡는 능력은 인간만이 가진 능력으로서, 인간과 매우 가깝다고 하는 침팬지도 이런 손의 움직임은 없다고 한다. 아이에게는 가능한 한 일찍부터 쥐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아이의 손에 물건을 놓아주고, 물건을 두드리게 하고, 종이를 찢게 하고, 연필을 사용하게 하고, 가위를 사용하게 하는 것이 아이의 언어발달을 촉진한다. 손 놀이는 매우 다양하다. 종이를 잘게 찢거나, 밀점토로 찰흙놀이를 하고, 그림을 그리기도 하며, 종이접기 놀이, 가위를 사용한 놀이, 풀로 붙이기 놀이도 할 수 있다. 손끝의 재능과 언어능력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말을 못하던 아이가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면 말을 하기 시작하는 것은, 불가사의하게도 말의 시작과 엄지, 집게손가락의 사용이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99
참고문헌
이연섭 외, 유아의 언어교육, 창지사, 1998
이한규, 언어발달과 언어처리, 원미사, 2002
임영주, 유아 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조문화, 2002
주영희, 유아 언어 발달과 교육, 교문사, 2001
2) 손놀림의 발달은 언어발달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아이가 물건을 쥘 때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에 힘이 들어가는 것은 10개월 무렵부터로, 이때야 비로소 아이는 엄지와 검지를 마주보게 해서 물건을 잡을 수 있다. 물건을 잡는 능력과 말을 하는 능력은 묘하게도 일치하는데, 대개 말을 못하는 장애아는 손으로 물건을 쥐는 능력이 매우 늦게 생기는 것이 보통이다. 엄지와 검지로 물건을 잡는 능력은 인간만이 가진 능력으로서, 인간과 매우 가깝다고 하는 침팬지도 이런 손의 움직임은 없다고 한다. 아이에게는 가능한 한 일찍부터 쥐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아이의 손에 물건을 놓아주고, 물건을 두드리게 하고, 종이를 찢게 하고, 연필을 사용하게 하고, 가위를 사용하게 하는 것이 아이의 언어발달을 촉진한다. 손 놀이는 매우 다양하다. 종이를 잘게 찢거나, 밀점토로 찰흙놀이를 하고, 그림을 그리기도 하며, 종이접기 놀이, 가위를 사용한 놀이, 풀로 붙이기 놀이도 할 수 있다. 손끝의 재능과 언어능력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말을 못하던 아이가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면 말을 하기 시작하는 것은, 불가사의하게도 말의 시작과 엄지, 집게손가락의 사용이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99
참고문헌
이연섭 외, 유아의 언어교육, 창지사, 1998
이한규, 언어발달과 언어처리, 원미사, 2002
임영주, 유아 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조문화, 2002
주영희, 유아 언어 발달과 교육, 교문사, 2001
추천자료
[비고츠키인지이론] 비고츠키의 인지이론에 대하여 논하시오 - 아동발달B형 - 기호의 매개적 ...
발달이론에서 행동주의 학습이론, 생득적 언어발달이론, 사회학습이론, 동물생태학이론, 인지...
영유아들의 쓰기 발달에 대해 시기별로 그 특징이 다릅니다. 이에 대해 이야기하고 언어발달...
[언어검사][그림자음검사][PLS검사][초기언어발달검사]언어검사와 그림자음검사, 언어검사와 ...
[자폐성 장애(자폐증)]자폐성 장애(자폐증, 전반적 발달장애)의 성격, 언어발달, 자폐성 장애...
유아의 언어발달을 위한 문학적 접근 전략에 대해
[언어지도] 언어발달과 언어 및 언어발달 이론 (생득주의 이론, 행동주의 이론)
[언어지도] 문자 언어발달 - 문해 출현의 개념과 읽기 발달 (읽기에 대한 견해, 읽기 발달단...
[영유아기 언어발달] 영유아기 언어발달 과정, 영유아 언어교육 지침, 영유아 언어 영역, 연...
영유아의 언어발달에 적합한 좋은 동화책 선정기준을 서술하고, 좋은 동화책의 예시를 영아기...
언어발달이론에 근거한 영유아 언어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조사하세요.
유아기의 발달특성과 부모의 역할을 신체, 사회정서, 언어, 인지발달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명...
언어발달 이론 학자의 공헌점과 한계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