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재료 및 방법
2.실험결과
3.고찰
4.reference
2.실험결과
3.고찰
4.reference
본문내용
띄었다. 이유를 생각해보면 일단 크산토프로테인 반응은 벤젠고리를 가진 페닐알라닌이나 티로신 등의 아미노산이 반응하는 것이므로 젤라틴에 벤젠고리를 가진 아미노산이 없다고 추측해본다. 닌히드린 반응은 젤라틴의 n말단이 다른 아미노산과 다르게 NH₂가 없기 때문에 반응이 미미한 것 같다. 혹시 우리가 pH환경을 맞춰주지 못했거나 아니면 반응이 미세하게 일어나 육안으로 색의 변화를 감지하기 힘든 것일 수도 있다. 좀 더 치밀하게 실험했더라면 어땠을까 아쉽다는 생각을 해본다.
크산토프로테인 반응에서 알부민과 우유가 반응했다는 것을 통해 알부민과 우유에 벤젠고리를 가진 아미노산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설탕은 아무 반응도 일으키지 않으므로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다.
4. 참고문헌
생물학 및 실험1 실험서
크산토프로테인 반응에서 알부민과 우유가 반응했다는 것을 통해 알부민과 우유에 벤젠고리를 가진 아미노산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설탕은 아무 반응도 일으키지 않으므로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다.
4. 참고문헌
생물학 및 실험1 실험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