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버렸다.
조별과제는 팀워크를 중점적으로 보는데 우리 조는 최하점수를 얻게 되었다. 학기말에 나의점수는 D가 나와 너무 화가 나고 눈물이 났다.
실험에 앞서 피험자 고으리의 맥박을 3회 테스트한 결과 각각 72 / 75 / 70이 나왔다.
성인 평균 맥박수는 60~80정도 나오는데 평균치에 맞는 정상적인 결과가 나왔다.
(2) 본 실험 단계
시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8
23
맥박
71
69
73
78
84
86
81
84
80
79
76
72
70
65
66
< 표 1 >
1) 첫 3분간 : 기저율 측정시기
편안한 마음을 가지기 위해 의자에 앉아 휴식을 가졌다.
실험이라는 생각을 안 하고 상황에 몰입하려고 노력하였다.
눈을 감고 심호흡을 하며 안정을 찾아갔다.
2) 다음 6분간 : 흥분시기
상황 기술과 동시에 머릿속에서 그때의 일을 상상하였다.
점점 흥분도가 높아져 갔다.
몸에서 열이 나는 것이 느껴졌다.
3) 다음 4분간 : 회복시기
상황 몰입을 중지하고 심호흡을 크게 하여 몸이 이완되도록 편안하게 앉았다.
4) 다음 5분 간격으로 2회 : 최종 기저율 시기
거의 다 회복이 된 후 5분 간격으로 최종적으로 맥박을 두 번 측정하였다.
(3) 실험 후 주관적 보고서
1. 이완되었는지?
앞의 피험자보다 기저율 시기의 맥박이 높지 않아 흥분도가 많이 올라가지 않을거라 생각했다.
흥분시기에서 기저율 때보다 높은 맥박수로 몸이 뻐근하고 몸에서 열이 나는 것이 느껴졌는데,
상황몰입을 중단 하고 나서 심호흡을 하였을 때 어느 정도 이완되는 느낌이 들었다.
경직된 몸이 약간 풀어졌고 맥박도 정상으로 돌아오며 체온도 다시 낮아졌다.
2. 잔여 긴장(residual tension)이 남아 있는지?( 찌뿌둥한 곳은 없는지? )
머릿속에 스트레스지수가 올라간 것 같았다.
맥박수는 정상으로 돌아왔으나 그때 그 상황의 흥분도가 가시지 않았다.
뒷목이 약간 뻐근했고 속이 약간 더부룩하였다.
잔여 긴장도가 많이 남아 있었다.
3. 논의하고 싶은 특이한 감각이 있는지?
이미 지난 일인데도 그때의 흥분이 채 가시지 않아 맥박이 올라가는 원리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야 흥분도가 가라앉아 몸이 이완되는지 알게 되었다.
실험자체가 맥박을 위주로 설명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가슴이 답답하고 더부룩한 느낌과
같은 증상들이 제대로 반영이 되는지 의문이 들었고 심리와 맥박의 연관성에대해 좀 더
깊게 알고 싶어졌다.
조별과제는 팀워크를 중점적으로 보는데 우리 조는 최하점수를 얻게 되었다. 학기말에 나의점수는 D가 나와 너무 화가 나고 눈물이 났다.
실험에 앞서 피험자 고으리의 맥박을 3회 테스트한 결과 각각 72 / 75 / 70이 나왔다.
성인 평균 맥박수는 60~80정도 나오는데 평균치에 맞는 정상적인 결과가 나왔다.
(2) 본 실험 단계
시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8
23
맥박
71
69
73
78
84
86
81
84
80
79
76
72
70
65
66
< 표 1 >
1) 첫 3분간 : 기저율 측정시기
편안한 마음을 가지기 위해 의자에 앉아 휴식을 가졌다.
실험이라는 생각을 안 하고 상황에 몰입하려고 노력하였다.
눈을 감고 심호흡을 하며 안정을 찾아갔다.
2) 다음 6분간 : 흥분시기
상황 기술과 동시에 머릿속에서 그때의 일을 상상하였다.
점점 흥분도가 높아져 갔다.
몸에서 열이 나는 것이 느껴졌다.
3) 다음 4분간 : 회복시기
상황 몰입을 중지하고 심호흡을 크게 하여 몸이 이완되도록 편안하게 앉았다.
4) 다음 5분 간격으로 2회 : 최종 기저율 시기
거의 다 회복이 된 후 5분 간격으로 최종적으로 맥박을 두 번 측정하였다.
(3) 실험 후 주관적 보고서
1. 이완되었는지?
앞의 피험자보다 기저율 시기의 맥박이 높지 않아 흥분도가 많이 올라가지 않을거라 생각했다.
흥분시기에서 기저율 때보다 높은 맥박수로 몸이 뻐근하고 몸에서 열이 나는 것이 느껴졌는데,
상황몰입을 중단 하고 나서 심호흡을 하였을 때 어느 정도 이완되는 느낌이 들었다.
경직된 몸이 약간 풀어졌고 맥박도 정상으로 돌아오며 체온도 다시 낮아졌다.
2. 잔여 긴장(residual tension)이 남아 있는지?( 찌뿌둥한 곳은 없는지? )
머릿속에 스트레스지수가 올라간 것 같았다.
맥박수는 정상으로 돌아왔으나 그때 그 상황의 흥분도가 가시지 않았다.
뒷목이 약간 뻐근했고 속이 약간 더부룩하였다.
잔여 긴장도가 많이 남아 있었다.
3. 논의하고 싶은 특이한 감각이 있는지?
이미 지난 일인데도 그때의 흥분이 채 가시지 않아 맥박이 올라가는 원리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야 흥분도가 가라앉아 몸이 이완되는지 알게 되었다.
실험자체가 맥박을 위주로 설명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가슴이 답답하고 더부룩한 느낌과
같은 증상들이 제대로 반영이 되는지 의문이 들었고 심리와 맥박의 연관성에대해 좀 더
깊게 알고 싶어졌다.
추천자료
심근경색 약물요법
아동발달 수업내용정리
유아 감각 교육의 계보
Chest Pain
양선 전립선 비대증
마취과적 합병증
발기부전치료제의 종류의 장,단점 그리고 발기부전 치료제에 잘못 알려진 상식들
사회학습이론 핵심요점정리
심장기능검사 안내서
환경오염공정시험법
[영유아교사론 E형] 효율적인 교사의 교수계획과 실천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신체형장애) 통증장애(통증장애의 개념과 특징, 발병률, 요인, 진단, 치료적 접근)
[치료적간호중재] 아로마테라피 관련 논문요약 (총7편의 논문이 제시되어 있으며 요약되어 있...
[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이론(성격발달단계) - 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단계(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