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신경계통의 흥분 정도 측정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율신경계통의 흥분 정도 측정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버렸다.
조별과제는 팀워크를 중점적으로 보는데 우리 조는 최하점수를 얻게 되었다. 학기말에 나의점수는 D가 나와 너무 화가 나고 눈물이 났다.
실험에 앞서 피험자 고으리의 맥박을 3회 테스트한 결과 각각 72 / 75 / 70이 나왔다.
성인 평균 맥박수는 60~80정도 나오는데 평균치에 맞는 정상적인 결과가 나왔다.
(2) 본 실험 단계
시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8
23
맥박
71
69
73
78
84
86
81
84
80
79
76
72
70
65
66
< 표 1 >
1) 첫 3분간 : 기저율 측정시기
편안한 마음을 가지기 위해 의자에 앉아 휴식을 가졌다.
실험이라는 생각을 안 하고 상황에 몰입하려고 노력하였다.
눈을 감고 심호흡을 하며 안정을 찾아갔다.
2) 다음 6분간 : 흥분시기
상황 기술과 동시에 머릿속에서 그때의 일을 상상하였다.
점점 흥분도가 높아져 갔다.
몸에서 열이 나는 것이 느껴졌다.
3) 다음 4분간 : 회복시기
상황 몰입을 중지하고 심호흡을 크게 하여 몸이 이완되도록 편안하게 앉았다.
4) 다음 5분 간격으로 2회 : 최종 기저율 시기
거의 다 회복이 된 후 5분 간격으로 최종적으로 맥박을 두 번 측정하였다.
(3) 실험 후 주관적 보고서
1. 이완되었는지?
앞의 피험자보다 기저율 시기의 맥박이 높지 않아 흥분도가 많이 올라가지 않을거라 생각했다.
흥분시기에서 기저율 때보다 높은 맥박수로 몸이 뻐근하고 몸에서 열이 나는 것이 느껴졌는데,
상황몰입을 중단 하고 나서 심호흡을 하였을 때 어느 정도 이완되는 느낌이 들었다.
경직된 몸이 약간 풀어졌고 맥박도 정상으로 돌아오며 체온도 다시 낮아졌다.
2. 잔여 긴장(residual tension)이 남아 있는지?( 찌뿌둥한 곳은 없는지? )
머릿속에 스트레스지수가 올라간 것 같았다.
맥박수는 정상으로 돌아왔으나 그때 그 상황의 흥분도가 가시지 않았다.
뒷목이 약간 뻐근했고 속이 약간 더부룩하였다.
잔여 긴장도가 많이 남아 있었다.
3. 논의하고 싶은 특이한 감각이 있는지?
이미 지난 일인데도 그때의 흥분이 채 가시지 않아 맥박이 올라가는 원리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야 흥분도가 가라앉아 몸이 이완되는지 알게 되었다.
실험자체가 맥박을 위주로 설명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가슴이 답답하고 더부룩한 느낌과
같은 증상들이 제대로 반영이 되는지 의문이 들었고 심리와 맥박의 연관성에대해 좀 더
깊게 알고 싶어졌다.
  • 가격13,86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4.30
  • 저작시기201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21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