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학벌’논의의 우선과제
Ⅱ. 학벌의 실체
1. 학벌 유명론(唯名論)
2. 가족공동체의 변형으로서 학벌의 성립
(1) 전통사회의 가족이데올로기
(2) 가족공동체와 권력과 학문의 공속
(3) 근대화와 제2의 가족공동체로서 학벌의 탄생
Ⅲ. 학벌이기주의와 공동체의 붕괴
1. 동문애와 공동체의 붕괴
2. 서울대 학벌의 예
Ⅳ. 결어
Ⅴ. 참고도서
Ⅱ. 학벌의 실체
1. 학벌 유명론(唯名論)
2. 가족공동체의 변형으로서 학벌의 성립
(1) 전통사회의 가족이데올로기
(2) 가족공동체와 권력과 학문의 공속
(3) 근대화와 제2의 가족공동체로서 학벌의 탄생
Ⅲ. 학벌이기주의와 공동체의 붕괴
1. 동문애와 공동체의 붕괴
2. 서울대 학벌의 예
Ⅳ. 결어
Ⅴ. 참고도서
본문내용
게 당신이 송사에 휘말린다면 판사와 검사, 그리고 변호사의 최소한 절반 이상이 당신의 동문일 것이며, 당신이 혹시 외국에라도 나가게 된다면 대사관이나 영사관에 어김없이 당신의 동문이 앉아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Ⅳ. 결어
학벌사회에서 개인은 개인의 시험점수에 따라 배움의 목적 그 자체보다는 지배 권력인 지배학벌의 일원이 되고자 능동적 선택이 아닌 주어진 학벌서열에 수동적으로 속하게 된다. 자율적이고 자유로운 주체가 아닌 집단에 귀속하는 구성원으로서 ‘나는 서울대 출신이다’, ‘나는 고대출신이다’, ‘나는 연대 출신이다’와 같은 집단의식 속에서 자기가 사회에서 대접받고 있음을 느끼고 안심하는 나약한 주체를 양산하는 것이 학벌의식이다. 가족공동체를 대신해 이들 나약한 주체의 복지를 위해 헌신하며 학문의 연구와 교수의 목적을 저버린 대학으로부터 학벌은 확대생산된다. 가족(학벌구성원)과 가족이 아닌 남을 구분하여 가족끼리의 맹목적 친밀감으로 모든 것을 초월해 밀고 당기면서 사회의 권력을 독식하는 지배학벌의 문제는 숱하게 논의 되고 있는바, 그 해결방법을 모색하기 전에 먼저 학벌의 개념과 실체를 규명하는 노력을 함으로써 문제 대상에 대한 공통의 인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에만 존재하는 비극인 학벌사회의 모순이 해결되길 기원한다.
Ⅴ. 참고도서
김상봉, 『학벌사회 -사회적 주체성에 대한 철학적 탐구-』, 한길사, 2004
김동훈, 『한국의 학벌, 또 하나의 카스트인가』, 책세상, 2001
정진상, 『국립대 통합 네트워크 -입시지옥과 학벌 사회를 넘어』, 책세상, 2004
Ⅳ. 결어
학벌사회에서 개인은 개인의 시험점수에 따라 배움의 목적 그 자체보다는 지배 권력인 지배학벌의 일원이 되고자 능동적 선택이 아닌 주어진 학벌서열에 수동적으로 속하게 된다. 자율적이고 자유로운 주체가 아닌 집단에 귀속하는 구성원으로서 ‘나는 서울대 출신이다’, ‘나는 고대출신이다’, ‘나는 연대 출신이다’와 같은 집단의식 속에서 자기가 사회에서 대접받고 있음을 느끼고 안심하는 나약한 주체를 양산하는 것이 학벌의식이다. 가족공동체를 대신해 이들 나약한 주체의 복지를 위해 헌신하며 학문의 연구와 교수의 목적을 저버린 대학으로부터 학벌은 확대생산된다. 가족(학벌구성원)과 가족이 아닌 남을 구분하여 가족끼리의 맹목적 친밀감으로 모든 것을 초월해 밀고 당기면서 사회의 권력을 독식하는 지배학벌의 문제는 숱하게 논의 되고 있는바, 그 해결방법을 모색하기 전에 먼저 학벌의 개념과 실체를 규명하는 노력을 함으로써 문제 대상에 대한 공통의 인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에만 존재하는 비극인 학벌사회의 모순이 해결되길 기원한다.
Ⅴ. 참고도서
김상봉, 『학벌사회 -사회적 주체성에 대한 철학적 탐구-』, 한길사, 2004
김동훈, 『한국의 학벌, 또 하나의 카스트인가』, 책세상, 2001
정진상, 『국립대 통합 네트워크 -입시지옥과 학벌 사회를 넘어』, 책세상, 2004
추천자료
탈근대의 교육과 사회 - 학교붕괴와 탈근대적 의미(감상문)
봉건귀족사회 교육과 문화
전통 교육과 유아 사회생활
[교육][교육의 본질][국가][학문][지역사회][교육의 교사역할]교육의 개념, 교육의 본질, 교...
교육과 사회평등의 관계를 논하시오
영유아의 발달과 교육과 관련되 사회적이슈 3가지 및 문제점과 해결방안
[현대인의 생활과 여가] 삶과 여가, 생활과 여가의 관계 (노동과 여가, 종교와 여가, 교육과 ...
[교육과 사회][평생교육으로서의 사이버대학]
[교육과 사회][대안학교 그들이 가는 길]
[교육과 현대사회 독후감 및 바판적 견해] 『과연 그럴까?』 -「교육개혁을 디자인(Design)한...
03. 스포츠 사회학 {사회이론 및 과정과 스포츠, 사회제도와 스포츠, 사회문제와 스포츠} [임...
교직敎職실무3공통)사회변화에 따른 유아교사의 역할 및 교직의 변화에 대해 논하시오. -유아...
유아교육과 4학년 아동복지 공통 영유아보육서비스의 사회적 역할과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
[교육과 사회] 당신이 영어를 못하는 진짜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