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비관세 무역정책
1.수입수량제한
2.관세쿼터
3.수입쿼터와 지대추구
4.수출자율규제
5.생산보조금
6.정부조달 참여 제한
7.행정적, 기술적 수입 장벽
8.수출보조금
1.수입수량제한
수입쿼터(import quota)제도
: 정부가 특정 상품의 일정기간 동안의 수입가능 물량을 정하고 이 수준 이상으로는 수입을 허가하지 않는 제도.
수입 쿼터의 효과
§.무역이 전혀 없는 경우
*국내시장 가격 : P₁
*생산과 소비량 : OQ
§.수입제한이 없는 경우
*국내시장 가격 : P₃
*수입량 : Q₁Q₄
§.수입제한의 경우
*국내시장가격 : P₂
*수입량 : Q₂Q₃
관세와 쿼터의 동등성
정부가 Q₂Q₃의 쿼터 대신 P₂P₃만큼의 수입관세를 부과한다면 두 경우의 모든 경제적 효과는 같아 진다. 이것을 우리는 관세와 쿼터의 동등성(tariff-quota equivalence)이라고 부른다.
1.수입수량제한
2.관세쿼터
3.수입쿼터와 지대추구
4.수출자율규제
5.생산보조금
6.정부조달 참여 제한
7.행정적, 기술적 수입 장벽
8.수출보조금
1.수입수량제한
수입쿼터(import quota)제도
: 정부가 특정 상품의 일정기간 동안의 수입가능 물량을 정하고 이 수준 이상으로는 수입을 허가하지 않는 제도.
수입 쿼터의 효과
§.무역이 전혀 없는 경우
*국내시장 가격 : P₁
*생산과 소비량 : OQ
§.수입제한이 없는 경우
*국내시장 가격 : P₃
*수입량 : Q₁Q₄
§.수입제한의 경우
*국내시장가격 : P₂
*수입량 : Q₂Q₃
관세와 쿼터의 동등성
정부가 Q₂Q₃의 쿼터 대신 P₂P₃만큼의 수입관세를 부과한다면 두 경우의 모든 경제적 효과는 같아 진다. 이것을 우리는 관세와 쿼터의 동등성(tariff-quota equivalence)이라고 부른다.
키워드
추천자료
비관세 장벽에 대한 종합적 고찰
비관세장벽과 신보호주의
[국제경영학]관세와 비관세 장벽
자유무역협정(FTA) 및 스크린쿼터제에 대한 찬반론
비관세 장벽 [NTB]에 관하여
세계무역기구의 출범과 관련한 미국, 유럽, 한국농업 문제와 정책
관세법의 국제관세양허협력 및 운송수단 및 운송에 관한 무역법규 요약
비관세장벽에 대해서
[수산물][원산지표시기준][가공사업][수출][시장개방정책]수산물의 특성, 수산물의 물가동향,...
비관세장벽과 신보호주의
글로벌무역 관세제도
[무역학과 공통] 한·중 FTA의 현황과 관세의 역할에 대하여 논함 (관세)
비관세장벽의 사례를 찾아 사실관계를 분석하시오
세계무역기구(WTO)와 자유무역협정(FTA)은 궁극적으로 각 국가 간 관세나 수출입제한조치 등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