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농업현황
2.쌀 산업현황
3.벼 생산성과 수확후 손실에 관한 원인 분석
가 : 재래식 기계 수확과 보관 소홀
나 : 건조 방법의 낙후
다 : 과도한 건조
4.RPC건립의 기본과정과 규모
가 : 기본과정
나 : RPC 건립의 역할 분담
다 : RPC 가공능력 설계
1.농업현황
2.쌀 산업현황
3.벼 생산성과 수확후 손실에 관한 원인 분석
가 : 재래식 기계 수확과 보관 소홀
나 : 건조 방법의 낙후
다 : 과도한 건조
4.RPC건립의 기본과정과 규모
가 : 기본과정
나 : RPC 건립의 역할 분담
다 : RPC 가공능력 설계
본문내용
2. 쌀 산업현황
캄보디아는 쌀 중심 농업국가로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1996년 이후로는 쌀 자급자족을 이루었다. 캄보디아 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벼 재배면적은 1981년 144만 ha에서 2008년에 258만 ha로 늘었고, 이에 따라 생산량 또한 같은 기간에 172만 톤에서 673만 톤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에 단수는 ha에서 1.2톤에서 2.6톤으로 향상되었다.
그러나 생산 이후 손실률이 상당히 높다. 실제로 2009년에 벼 생산량 717만톤 가운데 13%인 93만톤이 수확 후 손실되었다(UNCTAD). 이처럼 벼 손실률이 높은 것은 보관 및 도정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결과이다. 많은 쌀이 남아도는 데도 수출등으로 이를 해소하지 못하는 이유는 수출을 위한 항만 및 유통시설이 열악하고, 쌀 가공시설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벼의 유통구조가 취약하기 때문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조사한 자료는 벼 손실률을 10~37%로 추정하고 있다.
3. 벼 생산성과 수확 후 손실에 관한 원인분석
2008년에 캄보디아의 벼 수확량은 ha당 2.6톤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으나, 베트남 4.9, 태국 2.8, 필리핀 3.8, 인도네시아 4.7, 말레이시아 3.5, 중국 6.3등 주변국과 견주면 낮은 편이다(World Bank 2009).
이는 벼 재배농가 대부분이 2ha미만의 영세농이란 점과 관개시설 부족, 기계화율 저조, 우량품종 보급미흡, 농업분야에 대한 투자 부족등의 요인에 기인한다(한국수출입은행 2008) 이에 따라 캄보디아 정부는 이미 설정한 중장기 경제성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세운 [2006~2010년 국가전략 개발계획(National Strategic Development Plan)에서 4대 핵심과제중 농업 분야의 생산성 향상을 제 1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Roral Goverement of Cambodia 2006).
캄보디아는 쌀 중심 농업국가로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1996년 이후로는 쌀 자급자족을 이루었다. 캄보디아 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벼 재배면적은 1981년 144만 ha에서 2008년에 258만 ha로 늘었고, 이에 따라 생산량 또한 같은 기간에 172만 톤에서 673만 톤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에 단수는 ha에서 1.2톤에서 2.6톤으로 향상되었다.
그러나 생산 이후 손실률이 상당히 높다. 실제로 2009년에 벼 생산량 717만톤 가운데 13%인 93만톤이 수확 후 손실되었다(UNCTAD). 이처럼 벼 손실률이 높은 것은 보관 및 도정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결과이다. 많은 쌀이 남아도는 데도 수출등으로 이를 해소하지 못하는 이유는 수출을 위한 항만 및 유통시설이 열악하고, 쌀 가공시설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벼의 유통구조가 취약하기 때문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조사한 자료는 벼 손실률을 10~37%로 추정하고 있다.
3. 벼 생산성과 수확 후 손실에 관한 원인분석
2008년에 캄보디아의 벼 수확량은 ha당 2.6톤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으나, 베트남 4.9, 태국 2.8, 필리핀 3.8, 인도네시아 4.7, 말레이시아 3.5, 중국 6.3등 주변국과 견주면 낮은 편이다(World Bank 2009).
이는 벼 재배농가 대부분이 2ha미만의 영세농이란 점과 관개시설 부족, 기계화율 저조, 우량품종 보급미흡, 농업분야에 대한 투자 부족등의 요인에 기인한다(한국수출입은행 2008) 이에 따라 캄보디아 정부는 이미 설정한 중장기 경제성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세운 [2006~2010년 국가전략 개발계획(National Strategic Development Plan)에서 4대 핵심과제중 농업 분야의 생산성 향상을 제 1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Roral Goverement of Cambodia 2006).
추천자료
[국제마케팅] 국제마케팅
할인점 유형별 마케팅 전략 연구
미국경제사( 미국경제와 세계경제)
민요란 무엇인가?
김유정의 작품세계와 소낙비 비평
신세계 윤리경영
막걸리 조사
<금 따는 콩&#48171;> 정리 요약 및 서평
오디션프로그램 신드롬분석및 향후발전방향과 나의 의견 (슈퍼스타k,위대한탄생 사례)
[푸드코디] Chapter 3 일본의 식사문화 -일본 테이블.ppt
[문화재탐사] 인천 대표 중요무형문화제 은율탈춤 (일본의 노(能) 비교)
[주류 위스키][주류][술][위스키][소비량][제품 사례][증류방법]주류(술) 위스키의 역사, 주...
우즈베키스탄 조사(현대통상의 이해)
한국 근현대사를 통해보는 나의 가족사 - 우리 할머니의 잠재워지지 않는 어릴 적 아픈 기억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