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제품의 조단백질 정량분석실험 결과레포트 입니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제품의 조단백질 정량분석실험 결과레포트 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원리

4. 실험 기구 및 시약

5. 실험방법

6. 실험결과

7. 고찰

8. 요약

9. 참고문헌

본문내용

(ml)
1회
9.7 ml
2회
9.8 ml
조단백질(%) =
5. 고찰
이번 실험은 유제품의 조단백질 함량 분석 실험으로 분유의 조단백질 함량을 구하는 실험을 하였다.
여러 단백질 정량 방법 중에서 킬달법에 의한 질소 정량법을 이용하여 조단백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조단백질 분석은 분해-증류-중화-적정 순으로 분석 하였다. 우선 분해과정에서 시료의 양을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험에 사용할 시료가 전지분유인 경우 단백질함량은 42% 이지만 우리가 사용한 탈지분유의 단백질 함량은 35%이다. 분해 후 250ml로 정용하고 10ml를 증류, 0.1N NaOH인 경우에는 계산식에 대입해 보면 638mg 이 나오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이번 실험에서 시료량을 0.638g을 취하게 되었다.
분해과정에서는 황산을 사용하기 때문에 반드시 후드에서 사용하여야 하며 분해 시 맹독가스가 나오기 때문에 실험실에 환기를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 분해 할 때 비등석을 넣어 주는 이유는 용액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비등석의 모세관은 가늘수록 좋다고 한다.
공실험과 본실험을 진행하는데 본실험에서 시료와 유산지를 같이 넣어주는데, 공실험에서도 유산지를 같이 집어넣는 것이 원칙이라고 한다. 그 이유는 유산지에 질소가 함유되어 있을지 아닌지 모르기 때문이다.
증류 과정 중 제일 중요한 점검사항은 NaOH 의 투입량인데 그 이유는 NaOH 양이 적으면 증류반응이 안되어 질소량이 적거나 거의 검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다음 계산식에서 단백질의 함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질소 단백질 계수를 곱해줘야 하는데 이것은 식품에 따라 달라진다. 여러 단백질 중의 질소분석을 해보면 통계적으로 16% 이다. 따라서 질소와 단백질의 비는
Protein : N = 100 : 16 = X : 1
→ X = 6.25 이다.
즉, 질소가 1% 일 때 protein 은 6.25배가 된다. 따라서 질소를 단백질로 환산하는 계수가 된다.
이번 실험에서 사용한 전지분유의 단백질 계수는 6.38 이므로 계산 할 때 6.38을 곱하여 준다.
실험결과 우리조의 조단백질 함량은 38.5 % 와 35% 로서 평균 36.75% 가 나왔다. 다른 조와 비교해 보았을 때 거의 비슷한 단백질 함량을 나타내게 되었고 탈지분유의 단백질함량인 35% 와 거의 일치하였다. 총질소량을 계산해 본 결과 각각 6.03%, 5.49% 로 평균 5.76% 가 나오게 되었다.
6. 요약
시료를 진한 황산 및 촉매로 강하게 가열하여 시료중의 유기물을 분해하고 질소를 황산 암모니아로 바꾼 다음 과잉의 알칼리를 가하여 증류하고 유출되는 암모니아를 일정량의 산에 흡수시킨 후 이의 양을 적정 하여 생성된 암모니아의 양을 구하고 이 값에서 질소량을 구한다.
7. 참고문헌
http://www.happycampus.com/doc/4441808/?agent_type=naver
http://blog.naver.com/jiny202040?Redirect=Log&logNo=70132461866
8. 사진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2.02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38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