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아 일과 지도
간식 및 점심 식사
이 닦기와 손 씻기
화장실 이용하기
낮잠 및 휴식
나들이
귀가 지도
간식 및 점심 식사
이 닦기와 손 씻기
화장실 이용하기
낮잠 및 휴식
나들이
귀가 지도
본문내용
보육실습
간식 및 점심 식사
간식 및 점심식사 시간에 교사가 유의해야 할 점
● 식사 전/배식
1.유아 손 씻기를 지도하며, 상 닦기, 배식 테이블 준비 등을 준비 등을 한다. 수건이나 종이수건, 비누 등을 사전에 점검해 두는 것도 필요하다.
2.식사를 준비하는 과정, 즉 상 닦기나 수저 놓는 일 등에 참여시켜서 유아가 식사에 관심을 갖게 하는 것이 좋다.
3.선행 활동을 아직 마치지 않은 유아가 있으면 관심을 갖고 격려한다.
4.유아가 배식에도 참여한다면 맡을 일을 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음식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는 경우 음식을 더는 도구나 동선은 매우 중요하다. 음식이 담긴 그릇을 들고 다니며 덜어주는 방법은 음식을 엎을 위험이 높으므로 피하고, 테이블에 놓고 배식을 받을 유아가 와서 받아가도록 한다. 단, 만 3세 반 이하의 경우 유아들이 앉아 있고 교사가 배식을 해주는 것이 적절하다.
5.바닥에 걸려 넘어질 물건, 가방 등이 없는지 살피고, 식판을 잡은 위치가 불안정한 경우 손의 위치를 바꾸도록 돕는다.
6.접시나 컵, 간식의 수량이 모자라지는 않는지 살펴서 모자란다면 신속하게 보충해 주며, 마실 물이 충분한지 미리 알아본다.
● 식사 중
1.맛있고 즐겁게 먹는 분위기가 중요하다. 식사 시간은 즐거워야 하므로 기분 좋은 화제를 가지고 유아들과 대화를 하며, 많은 관심을 표현해 주는 것이 좋다.
2.유아기의 편식은 습관화될 수 있으므로 음식을 골고루 먹도록 지도 하여야 한다. 단, 유아가 거부하는 음식은 억지로 먹이지 않는 것이 좋다. 배식시 유아의 기호나 많이 먹고 싶지 않다는 의사표현을 수용해서 양을 조절해 준다.
3.유아가 이전에 먹지 않았던 음식을 먹었을 경우에는 칭찬을 해준다.
4.특정 유아의 옆에만 앉지 말고 매일 매 식사 및 간식 때마다 여러 아이들을 만날 수 있어야 한다. 유아들은 “선생님, 여기 앉아요!” 하며 교사를 청하는데, 이럴 때 응해 주는 것도 좋지만 한 유아하고만 식사하는 것은 좋지 않다.
5.잘 먹지 않는 유아의 경우 이유를 묻고, 좋아하지 않는 음식인지, 아픈 곳이 있는지 파악한다. 유아들은 싫어하는 반찬이 나오면 배가 아프다고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내면의 이유를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6.실습생이 앉을 자리는 모든 유아들이 다 보이고 지도교사와 눈으로 대화를 할 수 있는 위치가 좋다. 만약에 남은 자리가 구석이며 다른 유아 혹은 지도교사와 눈을 마주칠 수 없는 자지라면 다른 유아에게 양해를 구하여 “우리,자리 바꿔 앉을까?” 하고 제안할 수도 있다.
● 식사 후
1.식기와 식탁을 정리하도록 돕는다.
2.개인용 식판과 수저, 물병이 쏟아지지 않도록 뚜껑을 확인해 준다.
3.식사 후에는 휴식 활동을 하도록 돕는다.
간식 및 점심 식사
간식 및 점심식사 시간에 교사가 유의해야 할 점
● 식사 전/배식
1.유아 손 씻기를 지도하며, 상 닦기, 배식 테이블 준비 등을 준비 등을 한다. 수건이나 종이수건, 비누 등을 사전에 점검해 두는 것도 필요하다.
2.식사를 준비하는 과정, 즉 상 닦기나 수저 놓는 일 등에 참여시켜서 유아가 식사에 관심을 갖게 하는 것이 좋다.
3.선행 활동을 아직 마치지 않은 유아가 있으면 관심을 갖고 격려한다.
4.유아가 배식에도 참여한다면 맡을 일을 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음식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는 경우 음식을 더는 도구나 동선은 매우 중요하다. 음식이 담긴 그릇을 들고 다니며 덜어주는 방법은 음식을 엎을 위험이 높으므로 피하고, 테이블에 놓고 배식을 받을 유아가 와서 받아가도록 한다. 단, 만 3세 반 이하의 경우 유아들이 앉아 있고 교사가 배식을 해주는 것이 적절하다.
5.바닥에 걸려 넘어질 물건, 가방 등이 없는지 살피고, 식판을 잡은 위치가 불안정한 경우 손의 위치를 바꾸도록 돕는다.
6.접시나 컵, 간식의 수량이 모자라지는 않는지 살펴서 모자란다면 신속하게 보충해 주며, 마실 물이 충분한지 미리 알아본다.
● 식사 중
1.맛있고 즐겁게 먹는 분위기가 중요하다. 식사 시간은 즐거워야 하므로 기분 좋은 화제를 가지고 유아들과 대화를 하며, 많은 관심을 표현해 주는 것이 좋다.
2.유아기의 편식은 습관화될 수 있으므로 음식을 골고루 먹도록 지도 하여야 한다. 단, 유아가 거부하는 음식은 억지로 먹이지 않는 것이 좋다. 배식시 유아의 기호나 많이 먹고 싶지 않다는 의사표현을 수용해서 양을 조절해 준다.
3.유아가 이전에 먹지 않았던 음식을 먹었을 경우에는 칭찬을 해준다.
4.특정 유아의 옆에만 앉지 말고 매일 매 식사 및 간식 때마다 여러 아이들을 만날 수 있어야 한다. 유아들은 “선생님, 여기 앉아요!” 하며 교사를 청하는데, 이럴 때 응해 주는 것도 좋지만 한 유아하고만 식사하는 것은 좋지 않다.
5.잘 먹지 않는 유아의 경우 이유를 묻고, 좋아하지 않는 음식인지, 아픈 곳이 있는지 파악한다. 유아들은 싫어하는 반찬이 나오면 배가 아프다고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내면의 이유를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6.실습생이 앉을 자리는 모든 유아들이 다 보이고 지도교사와 눈으로 대화를 할 수 있는 위치가 좋다. 만약에 남은 자리가 구석이며 다른 유아 혹은 지도교사와 눈을 마주칠 수 없는 자지라면 다른 유아에게 양해를 구하여 “우리,자리 바꿔 앉을까?” 하고 제안할 수도 있다.
● 식사 후
1.식기와 식탁을 정리하도록 돕는다.
2.개인용 식판과 수저, 물병이 쏟아지지 않도록 뚜껑을 확인해 준다.
3.식사 후에는 휴식 활동을 하도록 돕는다.
추천자료
유아기의 예절지도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것이 좋은가?
지도자가 갖춰야 할 효율적인 리더십-3명의 거장들을 통해 본 스포츠 리더십
가정과 학습지도안
영유아 독서지도
부모의 유아 식습관지도
가정 지도안 - 청소년기의 영양(영양과 건강)
유아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급식지도의 장단점에 대해서 논하라.
유아기 바람직한 식생활 지도에 대해 서술하시오.
아동생활지도를 위한 환경적 접근 (물리적 환경, 정서‧사회적 환경)
아동건강교육_ 아동기 식생활 지도 및 학교 급식지도에 대한 이해
아동생활지도
[놀이지도] 자유선택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기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