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Mentor)의 어원, 개념, 정의와 필요성 및 멘토에 대한 모든 것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멘토(Mentor)의 어원, 개념, 정의와 필요성 및 멘토에 대한 모든 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멘토의 정의와 필요성 및 멘토에 대한 모든 것



1. 서론
1) 멘토의 어원
2) 조직에서의 멘토, 멘토 의미에 대한 개념정의 여러 가지 제시
3) 우리조가 선택한 멘토의 정의


2. 본론
(설문지 통계 낸 결과를 토대로)
1) 멘토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
2) 멘토의 존재여부
3) 멘토의 명수
4) 멘토의 성별
5) 멘토 설정 시기 및 설정에 대한 변동 여부
6) 멘토가 되는 모델
7) 멘토로 삼은 이유
8) 멘토를 알게 된 계기
9) 멘토의 영향력
10) 멘토를 정한 후 노력 여부
11) 멘토의 다양한 면 인식여부
12) 멘토에 대한 간과성
13) 멘토의 필요성


3. 결론

본문내용

공식적인 관계와 달리 멘티가 작성한 서류에 근거하여 조직내 멘토 담당 부서에서 지정하는 멘토와 연결되면서 시작된다. 이처럼 일방적인 관계에서 출발하므로 비공식적인 멘토관계에 비해 사회심리적 기능 즉, 역할 모형, 우정기능 그리고 상담기능이 상대적으로 저조할 수 있다. 반면, 공식적인 멘토관계는 단기적인 경력 목표달성에는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멘토관계가 서비스 운영 방법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 대학원, 나상균 (2003) , 석사 p18
멘토시스템을 통한 신입사원의 조직사회화 전략, 서강경영논총 7집, p95~109. 박경규(1996
직장에서의 멘토는 공식적 멘토관계로서 상부에서 1:1로 정해준 것으로서 멘토는 지식을 갖추고 있으며 인격을 갖춘 사람이다. 또한 조직에서는 멘토와 멘티의 친목관계를 위한 환경을 만드는 데도 큰 관심을 기울인다. 이로써 사회심리적인 기능이 상대적으로 저조할 수 있는 점을 해결할 수 있다.
반면, 개개인이 삼는 멘토는 비공식적 멘토관계에 더 가까우며, 자발성, 적극성이라는 측면에서 직장에서의 멘토와 차이가 존재한다. 개개인이 삼는 멘토는 자신이 성찰적으로 사고해서 멘토를 설정하는 적극적인 자발성을 보이지 않는다면 저절로 생기지 않는 것이라는 데 그 차이가 있다.
* 멘토의 필요성
멘토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사람 뿐만 아니라 멘토가 존재하지 않고 생각해본 적이 없더라도 멘토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건 무슨 이유에서 비롯되는 것일까?
>> 설문조사 결과
완벽한 사람은 없다. 그게 멘토가 되었든, 멘티가 되었든 어느 위치에 놓이건 간에 말이다. 그렇기에 사람들은 각자 멘토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혼자 해나가는 것보다 실수를 줄일 수 있고, 보다 더 쉽게 목표에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멘토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보다 더 조화롭게 살아가기 위해서 멘토가 필요하다.
어떤 장벽에 부딪혔을 때, 보다 수월하게 넘을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멘토가 필요하다.
삶에 자극을 주고 자신에게 채찍질을 해주기 때문에 멘토가 필요하다.
* 멘토의 필요성에 대한 3조의 결론
“자신의 인생의 목표점이 되는 누군가가 있는 것은 좋지만, 나의 진정한 본래모습을 변화시키면서까지 따라갈 필요는 없을 것 같다.”라는 답이 있었다. 이것은 하나는 보고 둘은 보지 못하는 것이라고 본다. 자신의 지금 행동과 생각도 어렸을 적에 부모님이나 선생님 등 누군가를 모방하면서부터 시작된 것이다. 無에서 有를 창조해낼 수 있는 것은 없다고 본다. 심지어 자동차도 동물이나 곤충을 본 따서 만들지 아니했던가.
또 다른 대답으로는“멘토가 없어도 잘 지내왔다, 멘토가 없다고 해서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라는 것이 있었다. 멘토가 없다고 해서 절대적인 부정적인 영향은 없을 수 있다. 그러나 멘토가 있음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이 있다.
우리는 응답자들이 자기계발에 관심있고, 적극적, 성찰적 사고를 한 사람만이 멘토에 다가갈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생각해보지 않으면 다가갈 수조차 없으며 또한 생각에서만 그치면 자기계발이나 좀 더 나은 삶을 살 수 없다는 것이다.
이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다. 심지어 멘토조차도 그렇다. 그런 측면에서 사람들에게 멘토의 부정적인 측면을 알고 있냐는 질문을 했다. 그 결과, 57명이 부정적인 면을 알고 있거나 생각해보았고, 부정적인 면이 있지만 긍정적인 면을 더 많이 가지고 있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부정-긍정의 척도에서도 67명 중, 39명이 부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긍정적인 측면이 더 많다고 나타내는 4를 택했다.
따라서 우리에게 또한 우리의 멘토에게도 역할 모델이 필요하다. 때때로 자신이 포기하고 싶을 때 희망을 불어넣어주기도 하고, 조언과 상담을 해주기도 하고, 궁극적 목표를 추구하는 삶을 살도록 도와주는, 바로 잡아주는 멘토는 인생에 있어 꼭 필요한 필수요소인 것이다. 멘토라는 것이 선택사항을 넘어 필수사항으로 인식한다면 보다 자신의 성공에 자신의 어려움 극복에 훨씬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하며 결론을 짓는다.
* 느낀점
설문지를 작성하고 통계를 내고, 딱 떨어지는 명쾌한 답을 얻을 것을 기대했다. 설문지를 어떻게 작성할 것인가 에서부터 통계를 내는 것까지 생각했던 것보다 많이 어려웠다. 구체적으로 적어달라고 부탁했는데 추상적으로 간단하게 적는 등 원하는 데로 응답이 잘 나오지 않았다. 또한 결과들을 가지고 통계를 낼 때 설문지를 이렇게 만들었다면 더 좋았을 걸 하는 후회가 많았다. 더군다나 우리조가 맡은 주제가 인터뷰를 했을 때가 훨씬 더 효과적으로 사람들의 인식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이라 더 그랬던 것 같다. 설문조사를 통해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멘토에 대한 인식과 존재여부, 특징 등 여러 가지를 살펴보면서 멘토를 갖는 사람들은 스스로 성찰적으로 사고하고 자기계발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이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하면 스스로 성찰하고 자발적으로 다가서지 않는 이상 멘토에 대해 접근한다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는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나는 어떤 멘토를 갖고 있고, 나는 나의 멘토에 대해 얼마나 생각해보았나 스스로를 돌아보게 되었으며, 이로써 나를 정비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다.
* 참고자료
멘토의 성격, 멘토의 기능 및 조직유효성의 상관관계 연구, 곽인정, 충남대대학원 2004, 석사
멘토관계가 서비스 운영 방법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나상균, 서강대대학원, 2003, 석사
멘토시스템을 통한 신입사원의 조직사회화 전략, 서강경영논총 7집, p95~109. 박경규(1996)
네이버 백과사전
부산일보, 힘든 첫 직장생활 '멘토'를 불러주세요, 부산도시공사 후견인지, 2007. 3. 23
http://www.busanilbo.com/news2000/html/2007/0323/020020070323.1012111323.html
이재우(2004), “호텔 조직의 멘토역할이 직원의 경력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진규(2001), 전략적 윤리적 인사관리, 박영사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4.06.07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22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