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초대교회의 교리
2. 어거스틴의 성경불오의 교리
3. 성경의 권위와 스콜라 철학
4. 루터와 성경불오
5. 느낀점
참고문헌
2. 어거스틴의 성경불오의 교리
3. 성경의 권위와 스콜라 철학
4. 루터와 성경불오
5. 느낀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록하셨다. 루터의 성경론과 그의 말씀교리는 정말로 복음적이다. 그는 성경의 중심적 교훈이 믿음을 통하여 그리스도로 인한 은혜로 말미암은 칭의의 복음적 교리뿐만 아니라 성경이 그런 복음을 위하여 기록되었음을 믿었다.
5. 느낀점
초대 교회 성직자들은 성경이 성령의 의하여 기록되었으므로 하나님의 무오한 말씀이라는 것을 이론과 실제에서 증거한다. 초대교회가 성육신하신 구세주와 거룩한 성경에서 인류를 위한 하나님의 엄청난 겸손의 정통성을 인정했다는 것이다. 어거스틴이 이해한대로 성령의 목적은 선지자들의 단어들의 본질적인 통일성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동일한 성령은 여러 선지자들을 통하여 표현 했기 때문이다. 무오성과 관련하여 성경과 다른 문서들 사이의 동일한 구별은 어거스틴의 마니교도 파우스투스 대한 답변에서 매우 충분하고 명료하게 표현되었다. “구약과 신약의 권위적인 정경의 책들로부터 사도시대까지 이어지는 모든 저작들을 구별하는 어떤 구별된 경계선이 있다.
이 책들의 권위는 사도로부터 감독의 계승과 교회의 확장을 통하여, 그리고 고귀한 최고의 위치로부터 우리에게 내려와서 모든 신실하고 경건한 마음의 복종을 요구한다. 만약 우리가 성경의 명백한 모순에 의하여 당혹하게 되더러도 성경의 저자가 실수 했다고 말하는 것이 허용될 수 없다. 성경은 그 자체로 특별한 신성을 갖고 있다. 신성한 문서들의 구별된 특성의 결과로 우리는 성경이 선지자나, 사도나, 복음서기록자의 단 한 사람에 의하여 말해진 것으로 나타난 것은 무엇이든지 진리로 받아야 한다”. 고 했다. 스콜라 철학자는 “그분이 그들에게 주신 신적인 메시지를 신실하게 받아 기록하기 위하여 그들의 의지를 움직여서 그분이 그들에게 기록하기 원하는 것을 분명하고 정확하게 이해 하도록 인간 저자들의 정신을 조명하면서 그들을 영감하신”, 하나님의 기록된 말씀으로서 전통적 정통적 성경관을 공유했다고 한다.
루터는 성경의 규범적 권위와 인위적인 권위, 성경의 원인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규범적인 권위를 모두 확신 했다. 성경의 규범적 권위는 교회의 모든 교리와 교사의 자료와 규범과 마찬가지로 성경의 불오한 권위로서 규정될 수 있다. 성경의 원인적 권위는 죄인의 마음에 신앙을 창조하고 용서와 영생을 수여하는 성경적 복음의 고유한 능력이다 그러한 두 개의권위는 서로 충돌하지 않고, 완전히 합치하고 함께 일한다. 전자가 없이는 사람이 예언의 말씀이 오류와 변질에 빠져서 개종하는 능력이 없는 복음을 전한다.
그러한 두 개의 강한 강조는 개혁자들 가운데서 아주 크게 분명하게, 거의 유일하게 다가오고, 그이 성경 교리와 그것의 신적 권위를 진실하게 그리고 뛰어 나게 복음 적인 것으로 특정 짓는다. 성령이 성경의 저자이기 때문에, 그분이 선지자들과 사도들을 통하여 말씀하셨기 때문에, 성경이 그분의 책이기 때문에, 성경을 통하여 그분이 세상에 설교하고 말씀하신다. 그러므로 나는 성경의 무오를 믿는다.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성경무오는 진리이다.
참고문헌
존 D. 한나 저, 성경무오와 교회, 그리심 2009
5. 느낀점
초대 교회 성직자들은 성경이 성령의 의하여 기록되었으므로 하나님의 무오한 말씀이라는 것을 이론과 실제에서 증거한다. 초대교회가 성육신하신 구세주와 거룩한 성경에서 인류를 위한 하나님의 엄청난 겸손의 정통성을 인정했다는 것이다. 어거스틴이 이해한대로 성령의 목적은 선지자들의 단어들의 본질적인 통일성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동일한 성령은 여러 선지자들을 통하여 표현 했기 때문이다. 무오성과 관련하여 성경과 다른 문서들 사이의 동일한 구별은 어거스틴의 마니교도 파우스투스 대한 답변에서 매우 충분하고 명료하게 표현되었다. “구약과 신약의 권위적인 정경의 책들로부터 사도시대까지 이어지는 모든 저작들을 구별하는 어떤 구별된 경계선이 있다.
이 책들의 권위는 사도로부터 감독의 계승과 교회의 확장을 통하여, 그리고 고귀한 최고의 위치로부터 우리에게 내려와서 모든 신실하고 경건한 마음의 복종을 요구한다. 만약 우리가 성경의 명백한 모순에 의하여 당혹하게 되더러도 성경의 저자가 실수 했다고 말하는 것이 허용될 수 없다. 성경은 그 자체로 특별한 신성을 갖고 있다. 신성한 문서들의 구별된 특성의 결과로 우리는 성경이 선지자나, 사도나, 복음서기록자의 단 한 사람에 의하여 말해진 것으로 나타난 것은 무엇이든지 진리로 받아야 한다”. 고 했다. 스콜라 철학자는 “그분이 그들에게 주신 신적인 메시지를 신실하게 받아 기록하기 위하여 그들의 의지를 움직여서 그분이 그들에게 기록하기 원하는 것을 분명하고 정확하게 이해 하도록 인간 저자들의 정신을 조명하면서 그들을 영감하신”, 하나님의 기록된 말씀으로서 전통적 정통적 성경관을 공유했다고 한다.
루터는 성경의 규범적 권위와 인위적인 권위, 성경의 원인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규범적인 권위를 모두 확신 했다. 성경의 규범적 권위는 교회의 모든 교리와 교사의 자료와 규범과 마찬가지로 성경의 불오한 권위로서 규정될 수 있다. 성경의 원인적 권위는 죄인의 마음에 신앙을 창조하고 용서와 영생을 수여하는 성경적 복음의 고유한 능력이다 그러한 두 개의권위는 서로 충돌하지 않고, 완전히 합치하고 함께 일한다. 전자가 없이는 사람이 예언의 말씀이 오류와 변질에 빠져서 개종하는 능력이 없는 복음을 전한다.
그러한 두 개의 강한 강조는 개혁자들 가운데서 아주 크게 분명하게, 거의 유일하게 다가오고, 그이 성경 교리와 그것의 신적 권위를 진실하게 그리고 뛰어 나게 복음 적인 것으로 특정 짓는다. 성령이 성경의 저자이기 때문에, 그분이 선지자들과 사도들을 통하여 말씀하셨기 때문에, 성경이 그분의 책이기 때문에, 성경을 통하여 그분이 세상에 설교하고 말씀하신다. 그러므로 나는 성경의 무오를 믿는다.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성경무오는 진리이다.
참고문헌
존 D. 한나 저, 성경무오와 교회, 그리심 2009
키워드
추천자료
바람직한 교회 모델
중세의 교회
개혁신학과 교회
[교회][예배][교회학교][현대교회][한국교회]교회와 예배 및 교회학교 분석 고찰(예배, 바람...
“고백록”을 통해서 본 어거스틴의 사상 소고
[감리교회][감리교회 역사][감리교회 총칙][감리교회 전통][감리교회 독립운동][감리교회 의...
[삼위일체][삼위일체론]삼위일체의 개념과 삼위일체의 동일성 및 부처의 삼위일체론, 그리스...
교회역사(교회사) 요약 정리
[가톨릭교회][카톨릭교회][천주교회][성당]가톨릭교회(카톨릭교회, 천주교회, 성당)의 개념, ...
[성경신학 본질][성경신학 위치][구약신학 유형][구약신학 본질][신약신학 정의][신약신학 본...
[신학][군켈][칼빈][칼뱅][루터][캅][바르트][라드][어거스틴]헤르만 군켈의 신학, 존 칼빈(...
제목. 서평. 자유에로 초대하는 진리
신플라톤주의를극복한어거스틴사상
하나님에 대한 성경의 진술과 기독교인의 이해, 삼위일체 하나님과 예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