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청각-구두식 교수법을 이용한 사례 연구 』
Ⅰ. 교수 ․ 학습지도안의 기획
Ⅱ. 한국어 교육에서의 적용
1) 청각구두식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 모형
2) 청각구두식 교수법을 적용한 지도안
Ⅲ. 청각구두식 교수법을 적용한 위의 지도안의 장점과 단점
Ⅰ. 교수 ․ 학습지도안의 기획
Ⅱ. 한국어 교육에서의 적용
1) 청각구두식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 모형
2) 청각구두식 교수법을 적용한 지도안
Ⅲ. 청각구두식 교수법을 적용한 위의 지도안의 장점과 단점
본문내용
: 가방이/가 의자의 옆(위/아래…)에 있습니까?
S² : 아니오, 가방 이/가 의자 의 옆 에 없습니다.
S¹ : 가방 이/가 의자 의 옆 에 있습니까?
S² : 네, 가방 이/가 의자 의 옆 에 있습니다.
T : 와, 참 잘 했어요 두 학생 모두.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고 정확하게 문형을 익힐 수 있도록 흥미로운 게임을 이용한다. 단 한명의 학생도 소외되어서는 안되고 모든 학생들이 동등하게 참여해야 한다.
대화만들기를 통해서, 학생들은 자신이 이미 알고 있던 다양한 한국어 단어들을 사용하는 기회를 갖는다.
교사는 시간을 적당히 조정하며 원하는 팀에게는 발표의 기회를 주고 피드백을 준다.
핸드아웃
정리
(5분)
확인
정리
T: 자, 그럼 수업을 마치기 전에, 본문의 내용을 다시
들어 보겠어요. 여러분들 모두 오늘 익혔던 표현들을
생각하며 잘 듣고 따라해 봅시다. (본문 내용을 들려준다.
학생들이 잘 따라 할 수 있게, 문장 단위로 끊어서 들려
준다.)
S: (본문 내용을 듣고 따라한다.)
T: 모두 잘 들었나요? (교탁위의 종을 가리키며) 여러분,
종이 어디에 있죠?
S: 종이 교탁의 위에 있습니다.
T: 네, 오늘 익혔던 표현들을 지금처럼 잊지 마시고,
이것으로 오늘의 수업을 끝내겠어요. 혹시 질문이 있는
사람 있나요?
S: 없습니다.
T: 좋아요, 그럼 내일 다시 만나요!
S: 네! 내일 만나요!
정리하는 의미로 본문내용을 다시 듣고 따라한다.
즉흥적인 질문을 통해서 마지막으로 학습상태를 파악하고 질문유무를 파악하고 수업을 마친다.
Tape
Ⅲ. 청각구두식 교수법을 적용한 위의 지도안의 장점과 단점
장점
단점
한국인들이 외국어를 배울 때와 마찬가지로,
다소 헷갈리는 부분인 방향을 나타내는 명사를
쉽고 빠르게 배울 수 있다.
수업에서 배운 문형은 실생활에서도 빈도가
높은 내용이기에, 실용적이다.
학습자가 정확한 문형을 발화할 수 있게 된다.
학습자의 연령과 한국어 수준과 전체 학습자의
수를 잘 고려한 교수법과 지도안이다.
학습의 공간이 교실로 재한 되었고, 사용했던 예
의 종류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실생활
에서도 자연스럽게 위 문형을 사용할 수 있다는
확신을 할 수 없다.
학습자의 발화의 수준이 심화되지 못하고, 간단
한 기본 문형에만 머무를 가능성이 있다.
교수자 중심의 교수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학생
들의 창조성과 자율성을 무시할 가능성이 있다.
S² : 아니오, 가방 이/가 의자 의 옆 에 없습니다.
S¹ : 가방 이/가 의자 의 옆 에 있습니까?
S² : 네, 가방 이/가 의자 의 옆 에 있습니다.
T : 와, 참 잘 했어요 두 학생 모두.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고 정확하게 문형을 익힐 수 있도록 흥미로운 게임을 이용한다. 단 한명의 학생도 소외되어서는 안되고 모든 학생들이 동등하게 참여해야 한다.
대화만들기를 통해서, 학생들은 자신이 이미 알고 있던 다양한 한국어 단어들을 사용하는 기회를 갖는다.
교사는 시간을 적당히 조정하며 원하는 팀에게는 발표의 기회를 주고 피드백을 준다.
핸드아웃
정리
(5분)
확인
정리
T: 자, 그럼 수업을 마치기 전에, 본문의 내용을 다시
들어 보겠어요. 여러분들 모두 오늘 익혔던 표현들을
생각하며 잘 듣고 따라해 봅시다. (본문 내용을 들려준다.
학생들이 잘 따라 할 수 있게, 문장 단위로 끊어서 들려
준다.)
S: (본문 내용을 듣고 따라한다.)
T: 모두 잘 들었나요? (교탁위의 종을 가리키며) 여러분,
종이 어디에 있죠?
S: 종이 교탁의 위에 있습니다.
T: 네, 오늘 익혔던 표현들을 지금처럼 잊지 마시고,
이것으로 오늘의 수업을 끝내겠어요. 혹시 질문이 있는
사람 있나요?
S: 없습니다.
T: 좋아요, 그럼 내일 다시 만나요!
S: 네! 내일 만나요!
정리하는 의미로 본문내용을 다시 듣고 따라한다.
즉흥적인 질문을 통해서 마지막으로 학습상태를 파악하고 질문유무를 파악하고 수업을 마친다.
Tape
Ⅲ. 청각구두식 교수법을 적용한 위의 지도안의 장점과 단점
장점
단점
한국인들이 외국어를 배울 때와 마찬가지로,
다소 헷갈리는 부분인 방향을 나타내는 명사를
쉽고 빠르게 배울 수 있다.
수업에서 배운 문형은 실생활에서도 빈도가
높은 내용이기에, 실용적이다.
학습자가 정확한 문형을 발화할 수 있게 된다.
학습자의 연령과 한국어 수준과 전체 학습자의
수를 잘 고려한 교수법과 지도안이다.
학습의 공간이 교실로 재한 되었고, 사용했던 예
의 종류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실생활
에서도 자연스럽게 위 문형을 사용할 수 있다는
확신을 할 수 없다.
학습자의 발화의 수준이 심화되지 못하고, 간단
한 기본 문형에만 머무를 가능성이 있다.
교수자 중심의 교수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학생
들의 창조성과 자율성을 무시할 가능성이 있다.
추천자료
[교육학]탐구수업중심의 교수모형
WBI(웹기반교육, 웹기반수업,학습) 특성과 유용성, WBI(웹기반교육, 웹기반수업,학습) 가능성...
체육과교육 기능수업(운동기능학습)의 개념과 이론, 체육과교육 기능수업(운동기능학습)의 단...
[창작수업][창작학습][음악교육]음악과 창작활동중심수업(창작학습) 기본개념과 특성, 음악과...
체육과(체육교육) 운동기능학습(기능수업)의 의미와 지도단계, 체육과(체육교육) 운동기능학...
[체육교육]체육과 기능수업(운동기능학습)의 개념과 원리, 체육과 기능수업(운동기능학습)의 ...
국어과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업)의 특징과 도입배경, 국어과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업)...
국어과 수준별수업(학습, 교육과정)의 특징과 도입의의, 국어과 수준별수업(학습, 교육과정)...
체육과교육 표현활동수업(표현활동학습) 정의와 요소, 체육과교육 표현활동수업(표현활동학습...
체육과(체육교육) 게임활동학습(게임활동수업)의 특징과 학년별 내용, 체육과(체육교육) 게임...
영어교육(영어수업, 학습)의 중요성과 내용, 영어교육(영어수업, 학습)과 역할놀이, 드라마활...
과학과교육(학습, 수업)의 특징, 과학과교육(학습, 수업)의 열린교육과 실험수업, 과학과교육...
체육과수업(학습, 교육)의 성격과 목표, 체육과수업(학습, 교육)의 교과서, 체육과수업(학습,...
인터넷활용수업(인터넷활용교육, 인터넷활용학습)의 정의와 특징, 인터넷활용수업(인터넷활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