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東學) 그리고 천도교(天道敎)의 실체 - 동학과 천도교의 정의 및 시대적 배경, 천도교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학(東學) 그리고 천도교(天道敎)의 실체 - 동학과 천도교의 정의 및 시대적 배경, 천도교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동학과 천도교의 정의

2. 동학과 천도교의 시대적 배경

3. 천도교에 관하여
 1) 천도교(동학)의 본질
 2) 신앙의 대상
 3) 천도교의 경전
 4) 지기일원론과 시천주 신앙
 5) 내세관
 6) 후천개벽사상
 7) 주문
 8) 천도교 현황

4. 동학은 동학, 천도교는 천도교?
 1) 천도교의 한울님과 동학의 하느님
 2) 동학의 종지는 시천주, 천도교의 종지는 인내천?
 3) 동학은 동학, 천도교는 천도교?

본문내용

모르고, 하날님이라는 것도 경상도 지역의 사투리 발음이거든요. 결국 한울님이나 하느님이나 하늘에 있는 절대자를 뜻한다는 점에서는 같은 겁니다.”
※반론(이세권): “천도교의 한울님이 천주가 아니라 큰울타리님이다. 한울님은 우리말에 없는 조어로 큰 우주를 뜻하며 절대자, 신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다. 동학의 교주 최제우가 직접 쓴 한글경전 『용담유사』에는 분명 하느님(당시 표기는 하날님.천주)으로 나와있다. 의암 손병희는 수운의 하느님(천주)으로부터 인격적인 성격을 제거하고 하늘(천)이라고 표현했다. 일제는 하느님이라는 표현을 조화 부리는 미신이라 해서 못 쓰게 했는데, 손병희 선생은 이를 받아들인 것이다. 결국 우리 나라는 일제의 의해 나라만 빼앗긴 것이 아니라 고유의 하느님까지 빼앗기게 된 것이다. 해방 이후 창씨개명했던 국민들은 모두 이름을 바꿨다. 민족종교도 의당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가야 할 것이다.”
2) 동학의 종지는 시천주, 천도교의 종지는 인내천?
-> 천도교에 대해 비판하는 사람들은 원래 동학의 종지(宗指)는 인내천이 아니라 시천주라고 합니다.
- “사실 종지는 천주를 모신다는 뜻의 시천주가 맞다고 봅니다. 그런데 인내천이란 말에서 ‘내’자는 같다는 뜻이 아닌 비슷하다는 뜻이지 인즉천이 아니예요. 따라서 인내천도 틀리진 않지만 정확히 하면 시천주가 옳아요.”
-> 그렇다면 천도교의 종지를 시천주로 바꿔야 하는 것 아닙니까?
- “종지를 시천주로 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지만, 인내천은 우리 손병희 스승님께서 정한 것이기 때문에 그건 신성불가침입니다.”
-> 천도교의 교주가 손병희 선생님입니까. 최제우 선생님입니까?
-“천지인 3세예요. 최제우가 1세 교주고, 최시형이 2세, 손병희가 3세 교조입니다. 천도교 1세 교조가 손병희라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후천 세상에 세 분의 스승을 모시기 때문에 감히 고칠 수가 없는 것입니다.
※반론(이세권): “천도교의 종지는 인내천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동학의 사상이 아니다. 동학의 어느 경전에도 인내천이라는 말은 나오지 않는다.
인내천은 일본 사상가들의 영향을 받아 도입된 것이며 살아있는 신을 인정하는 천황제를 정당화하는 논리이기도 하다. 인내천에서 자심자배(自心自拜) 자기 마음을 스스로 숭배하는 것
사상이 나오고 향아설위(向我設位) 제사의식 때 제수를 모시는 사람을 향해 차려 놓는 것. 조상이나 스승의 영이 내안에 모셔져 있다고 보는 것.
가 나온다. 자신의 몸 속에 조상의 혼령이 깃들어 있다고 보고 제사 지낼 때 조상신이 아니라 자신을 향해 제사상을 차리는 예법은 반 민족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3) 동학은 동학, 천도교는 천도교?
김재중 교령이 정의 내린 천도교의 한울님은 인격신이면서도 번신론적 신이라는 것이고, 종지는 시천주가 맞지만 인내천도 틀리지 않다는 것이었다. 김 교령의 의대대로 천도교는 동학을 근대적인 종교로 발전시킨 것일 수도 있을 것이다. 종교적인 해석을 떠나서 판단한다면 ‘사람이 하늘이다’라는 사상만큼 진보적인 사상도 없을 것이다. 천도교의 개벽사상, 만민평등주의, 생명존중 정신, 지상천국 건설 이념도 모두 인내천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러나 하느님을 섬기고 시천주를 중시하는 동학과 한울님을 섬기고 인내천을 종지로 하는 천도교에는 큰 차이가 있다“는 주장도 귀담아 들을 만하다.
종교의 경전은 절대적인 것이다. 더구나 동학의 경전은 창시자인 수운이 직접 쓴 것이기에 함부로 손 댈 수 없고, 수운의 하느님을 한울님으로 바꿔 부르고 시천주 사상을 인내천 사상으로 바꾼 천도교를 동학의 후신이라 할 수 없다는 것이 동학은 동학이고 천도교는 천도교라 주장하는 사람들의 한결같은 대답이다.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8.31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59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