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께서 빵을 나누고(분병) 공동체가 식사를 하고나서야 포도주를 나누었다(분잔)고 배웠는데 이때 이 저자는 중간 공동체 식사 때에 생선을 반찬으로 먹은 것으로 쓴 것인지요...}
그리스에서는 채식주의 자들이 생선을 기피하였는데 비즈라고 알려진 여성으로 구성된 집단은 데메테르의 신도로서 정결하고 덕성스러운 생활을 유지하며 오로지 채식만 한다. 오르페우스 숭배자들도 은둔하여 떠돌이 거지 승려나 예언자, 금욕주의자로 생활하며 육류, 달걀, 콩, 포도주 등을 전혀 먹지 않았고, 피타고라스학파 역시 가장확실한 생선기피자들이었다. 그들은 고도의 도덕적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헌신한 개혁가들로 우정과 관용과 경건함, 결혼의 성실성, 단순한 생활 및 과잉의 기피로 절제하였고 채식주의였고, 역시 콩도 먹지 않고 생야채와 물만으로 살았다.
이도에서 생선은 풍요의 상징이었다. 힌두교도에서 일시적인 고기잡이 금지 조치가 있었으나 계속되지 않았다. 그러나 브라만 계급과 자이나교도는 생선 먹기를 엄격히 금지한다.
불교도 자이나교와 힌두교의 채식주의 원칙을 공유한다. 그러나 부처는 세 가지 청정 원칙을 준수한 경우에만 생선을 허용했다. 즉 자기가 보거나, 듣거나, 자기에게 대접하기 위해 잡은 것으로 의심되는 생선을 먹어서는 안 되었다.
몽고인들도 대다수 고기잡이를 멸시했으나 최근 크게 바뀌고 있다.
중국의 채식주의 요리는 불교와의 연관성이 강하여 주로 콩이나 두부를 재료로 한 채식 전문 식당이 있다.
건조 지역과 반 건조 지역, 유목 생활의 전통이 있는 지역에서 생선 기피 현상이 뚜렷하고, 열대 우림 지역에서 전반적으로 생선 기피 현상이 없다는 사실은 놀랍다. 생선을 기피하는 유목민족 중 생선을 먹는 이들은 주로 가난한 사람들인데, 이런 행동은 곧 그들의 낮은 사회적 신분을 더욱 공고히 해주며, 목축민들은 자신들의 가축에게서 고기와 우유의 단백질을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더욱 쉽게 어업이나 생선 식용을 멸시하기도 한다.
또한 어떤 생물이든 생명을 빼앗고 그 고기를 먹는 행동은 나쁘다는 신념이 흐르고 있고, 신성한 물에 사는 신성한 존재인 물고기이기에 잡아먹어서 안 된다는 원칙 속에 신성한 물의 개념이 발견되기도 한다.
특정 음식을 금기시 하는 원인에는 인류의 문화를 형성해 온 모든 것(관습, 종교, 지리적 조건, 기후, 집단의 기호, 특수상황, 신념, 전통 등)이 관련되어 있음을 몇몇 실례를 짚어보며 확인하였다. 특히 음식은 정치사상이나 이념과는 달라서 국가별 관점보다는 소수 종족별로 그 관점이 옮겨가고 있음을 보며 무수히 나오는 지명과 종족들과 종교의 이름들을 대하며 이것들과 관련하여 각각의 깊이를 더할 수 있는 시각으로 교양의 폭을 넓혀가야 할 방향을 또 하나의 숙제를 얻는 심정으로 잡았다고 본다.
그리고 학우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까하여 성서와 관련된 부분은 가능한 최대한 인용을 하였고, 음식이 발달한 지역에 대한 서술도 많았으나 제목처럼 육식 음식을 터부시하는 지역이나 집단, 그리고 그 이유에 초점을 맞추어 요약하였고, 우리 삶과 조금이라도 밀접한 돼지고기, 개고기, 생선에 지면을 더 할애하려 했음을 밝힌다.
Ref)
1. 그들이 먹지 않으려 한 음식은? 육식 터부의 문화사 (이 고기는 먹지 마라?)
/ 프레데릭 J.시문스 / 돌베개 출판사
2. 악마의 정원에서 - 죄악과 매혹으로 가득 찬 금기 음식의 역사
(In The Devil's Garden: A Sinful History of Forbidden Food )
/스튜어트 리 앨런 / 생각의 나무
3. 금기의 수수께끼 - 성서 속의 금기와 인간의 지혜
/ 최창모 / 한길사
(책 중 제 2부 유대인의 음식 금기들)
그리스에서는 채식주의 자들이 생선을 기피하였는데 비즈라고 알려진 여성으로 구성된 집단은 데메테르의 신도로서 정결하고 덕성스러운 생활을 유지하며 오로지 채식만 한다. 오르페우스 숭배자들도 은둔하여 떠돌이 거지 승려나 예언자, 금욕주의자로 생활하며 육류, 달걀, 콩, 포도주 등을 전혀 먹지 않았고, 피타고라스학파 역시 가장확실한 생선기피자들이었다. 그들은 고도의 도덕적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헌신한 개혁가들로 우정과 관용과 경건함, 결혼의 성실성, 단순한 생활 및 과잉의 기피로 절제하였고 채식주의였고, 역시 콩도 먹지 않고 생야채와 물만으로 살았다.
이도에서 생선은 풍요의 상징이었다. 힌두교도에서 일시적인 고기잡이 금지 조치가 있었으나 계속되지 않았다. 그러나 브라만 계급과 자이나교도는 생선 먹기를 엄격히 금지한다.
불교도 자이나교와 힌두교의 채식주의 원칙을 공유한다. 그러나 부처는 세 가지 청정 원칙을 준수한 경우에만 생선을 허용했다. 즉 자기가 보거나, 듣거나, 자기에게 대접하기 위해 잡은 것으로 의심되는 생선을 먹어서는 안 되었다.
몽고인들도 대다수 고기잡이를 멸시했으나 최근 크게 바뀌고 있다.
중국의 채식주의 요리는 불교와의 연관성이 강하여 주로 콩이나 두부를 재료로 한 채식 전문 식당이 있다.
건조 지역과 반 건조 지역, 유목 생활의 전통이 있는 지역에서 생선 기피 현상이 뚜렷하고, 열대 우림 지역에서 전반적으로 생선 기피 현상이 없다는 사실은 놀랍다. 생선을 기피하는 유목민족 중 생선을 먹는 이들은 주로 가난한 사람들인데, 이런 행동은 곧 그들의 낮은 사회적 신분을 더욱 공고히 해주며, 목축민들은 자신들의 가축에게서 고기와 우유의 단백질을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더욱 쉽게 어업이나 생선 식용을 멸시하기도 한다.
또한 어떤 생물이든 생명을 빼앗고 그 고기를 먹는 행동은 나쁘다는 신념이 흐르고 있고, 신성한 물에 사는 신성한 존재인 물고기이기에 잡아먹어서 안 된다는 원칙 속에 신성한 물의 개념이 발견되기도 한다.
특정 음식을 금기시 하는 원인에는 인류의 문화를 형성해 온 모든 것(관습, 종교, 지리적 조건, 기후, 집단의 기호, 특수상황, 신념, 전통 등)이 관련되어 있음을 몇몇 실례를 짚어보며 확인하였다. 특히 음식은 정치사상이나 이념과는 달라서 국가별 관점보다는 소수 종족별로 그 관점이 옮겨가고 있음을 보며 무수히 나오는 지명과 종족들과 종교의 이름들을 대하며 이것들과 관련하여 각각의 깊이를 더할 수 있는 시각으로 교양의 폭을 넓혀가야 할 방향을 또 하나의 숙제를 얻는 심정으로 잡았다고 본다.
그리고 학우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까하여 성서와 관련된 부분은 가능한 최대한 인용을 하였고, 음식이 발달한 지역에 대한 서술도 많았으나 제목처럼 육식 음식을 터부시하는 지역이나 집단, 그리고 그 이유에 초점을 맞추어 요약하였고, 우리 삶과 조금이라도 밀접한 돼지고기, 개고기, 생선에 지면을 더 할애하려 했음을 밝힌다.
Ref)
1. 그들이 먹지 않으려 한 음식은? 육식 터부의 문화사 (이 고기는 먹지 마라?)
/ 프레데릭 J.시문스 / 돌베개 출판사
2. 악마의 정원에서 - 죄악과 매혹으로 가득 찬 금기 음식의 역사
(In The Devil's Garden: A Sinful History of Forbidden Food )
/스튜어트 리 앨런 / 생각의 나무
3. 금기의 수수께끼 - 성서 속의 금기와 인간의 지혜
/ 최창모 / 한길사
(책 중 제 2부 유대인의 음식 금기들)
키워드
추천자료
[지역사회영양학 (A+완성) ]우리나라 식생활 변화와 식품 영양섭취변화 조사 및 건강한 식생...
육식의 종말 감상문
생명과학과 불교윤리-육식과 생태위기
식중독의 발생상황과 식중독의 발생 특징에 대한 연구(식품위생관리 D형)
한식의 세계화 (한식의 특징, 한식을 세계화할수있는 음식 3가지,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과제)
식품매개질환 장티푸스와 A형간염,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균과 황색포도상구균, 식품매개질환...
식품매개질환 보툴리누스균과 세레우스균 식중독, 식품매개질환 포도상구균과 살모넬라균 식...
★★★(A+) 식생활문화형성과정과 동서양의비교.. 음식과문화의 관계... <음식문화,음식과 문화,...
질병에 약이 되는 식품과 독이 되는 식품 (암(cancer), 뇌졸중(뇌출혈), 당뇨병, 고혈압, 심...
[유기화학실험] 비누합성 결과보고서 : 동물성과 식물성 기름을 이용하여 비누를 만들어 본다...
[식품위생과 보건] 식품위생의 정의, 식품과 전염병, 식품과 기생충질환
[식중독] 식중독의 종류와 특징 - 세균성 식중독(감염형 식중독, 독소형 식중독), 자연독 식...
[식중독] 세균성 식중독, 화학성 식중독(화학적 식중독), 자연독에 의한 식중독 - 살모넬라균...
[식품알레르기] 알레르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식품알레르겐, 식품알레르기의 치료요법(치...
소개글